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 유교넷 http://www.ugyo.net

한국국학진흥원은 도난과 훼손으로 멸실위기에 처해 있는 국학자료를 조사·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학 전문연구기관입니다. 특히 고문서, 고서, 목판 등 기록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유교문화와 관련된 기록유산을 DB화하고 문중기탁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요소 형태로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유교연표 : 1,187건
  • 제목
    수해 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천 등지에 물에 떠내려갔거나 무너진 백성의 집이 많고, 논밭이 수해를 입었으므로 경상도 감사가 재해 면적을 보고했다.
  • 제목
    순흥향교(順興鄕校) 건립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순흥향교(順興鄕校)는 고려 충렬왕 30년(1340)에 처음 지었다.
  • 제목
    순흥향교(順興鄕校) 이건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순흥향교(順興鄕校)는 고려 충렬왕 30년(1340)에 처음 지었으나, 단종 복위운동으로 고을과 함께 향교가 혁파당하여 약 200여년이 지난 숙종 9년(1683) 부(府)가 회복되면서 다시 세웠다. 이후 여러 차례 위치를 옮겨 세운 끝에 정조 14년(1790)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제목
    순흥향교(順興鄕校) 중건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순흥향교(順興鄕校)는 고려 충렬왕 30년(1340)에 처음 지었으나, 단종 복위운동으로 고을과 함께 향교가 혁파당하여 약 200여년이 지난 숙종 9년(1683) 부(府)가 회복되면서 다시 세웠다.
  • 제목
    영주향교(榮州鄕校) 건립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주향교(榮州鄕校)는 1368년(공민왕 17)에 당시의 군수인 지군 하륜(知郡 河崙)이 창건하였다.
  • 제목
    영주향교(榮州鄕校) 중건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주향교(榮州鄕校)는 조선시대인 1433년(세종15)에 군수 반저(潘渚)가 중수하였다.
  • 제목
    영주향교(榮州鄕校) 중건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주향교(榮州鄕校)는 1577년(선조10)에 군수 이희득(李希得)이 다시 고쳐 지었다.
  • 제목
    영훈정(迎薰亭) 건립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훈정(迎薰亭)은 1460년경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할 목적으로 고을 남쪽 화천(禾川) 돌다리 북쪽에 세웠다고 한다.
  • 제목
    영훈정(迎薰亭) 중건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영훈정(迎薰亭)은 1460년경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할 목적으로 고을 남쪽 화천(禾川) 돌다리 북쪽에 세웠다고 한다. 그 후 1643년(인조 21) 군수 신속이 다시 세웠다.
  • 제목
    오계서원(汚溪書院) 건립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오계서원(汚溪書院)은 1571년(선조3) 간재 이덕홍이 세운 오계정사의 후신이다.
  • 제목
    조목(趙穆)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목(趙穆)은 횡성인(橫成人)으로 호는 월천(月川)이다. 1577년 1월에 부임하여 1579년 9월에 이임(離任)하는 2년 9개월의 재임기간중 도학적 덕행으로 휼민(恤民)하고 허물어져 가는 향교와 서원문묘(書院文廟)를 이건개축(移建改築)하고 치산치수에도 역점을 기울여 한수재(旱水災)가 없도록 하고 현민(縣民)들에게 주경야독(晝耕夜讀)을 적극권장했다. 현재 봉화향교(奉化鄕校)의 은행(銀杏)나무는 공(公)이 심었다 한다. 현민들이 불망선정비(不忘善政碑)를 세웠다.
  • 제목
    조병익(趙秉益)이 현감으로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병익(趙秉益)은 1868년 6월부터 1873년 1월까지 재임 4년 8개월간 선정하다가 경기도 고양군수로 영전(榮轉)하니 주민들이 송덕비(頌德碑)를 건립하다.
  • 제목
    현감 금란수(琴蘭秀)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금란수(琴蘭秀)는 본군(本郡) 출신 현감(縣監)으로 1599년 5월에서 1604년 6월까지 5년 1개월간 근무하는 기간 봉화향약을 준행(遵行)하도록 교화선도하며 후학배양에 힘쓰다가 전출발령이 있자 사임(辭任)했다.
  • 제목
    홍사제(洪思濟)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홍사제(洪思濟, 1539~)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제경(濟卿), 호는 승제(承濟)이다. 좌의정 휴휴당 응(休休棠 應)의 후예이고 충재의 외손이다. 1580년(선조 10)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정자(弘文正字)를 하였으며 필법이 뛰어났다.
  • 제목
    홍세공(洪世恭)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홍세공(洪世恭, 1541~1598)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중안(仲安), 호는 봉계(鳳溪)이며 시호는 충헌(忠憲)으로 군수를 지낸 보(?)의 아들이다. 1567년(명종 22)에 생원이 되고 1573년(선조 6)에 문과에 급제 현감, 부사를 역임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관찰사가 되고 다음해 전주부윤에 전주관찰사로 전주부윤을 겸했다. 1594년 평안도조경사(平安道調慶使)로 군량미 조달에 힘쓰다가 재임중 순직했다.
  • 제목
    홍우정(洪宇定)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홍우정(洪宇定, 1593∼1654)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정이(靜而), 호는 두곡(杜谷).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가신(可臣)이고, 아버지는 한성서윤(漢城庶尹) 영(榮)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허성(許筬)의 딸이다. 1616년(광해군 8) 진사가 되었으나 1616년 장인 해주목사 최기(崔沂)가 해주옥사의 역적괴수로 몰려 처형되자 이에 연루되어 천안에 부처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모든 것이 무고로 드러나 석방되었다. 이어서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오랑캐에게 수모를 당하자 태백산 속에 은거하매, 영남인사들은 숭정처사(崇禎處士)라 칭하였다. 그 절의(節義)가 탁월함이 조정에 알려져 태인현감·공조좌랑·사부(師傅) 등을 제수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두곡집』 5권이 있다. 1820년(순조 20)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개절(介節)이다.
  • 제목
    홍익한(洪翼漢)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홍익한(洪翼漢, 1586~1635)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포(花浦). 초명은 습(?)이고,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1624년(인조 2) 공주행재정시문과(公州行在庭試文科)에 장원, 사서(司書)를 거쳐 장령(掌令)이 되었다. 1636년 청나라가 속국시하는 모욕적 조건을 내세워 사신을 보내왔을 때 사신을 죽임으로써 설욕하자고 주장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남한산성에서 왕이 화의하니 오달제(吳達濟) ·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에 잡혀가 끝내 굽히지 않고 죽음을 당해 적들이 감탄하여 ‘삼한삼두(三韓三斗)’의 비(碑)를 세웠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화포집』, 『북행록(北行錄)』, 『서정록(西征錄)』 등이 있다.
  • 제목
    조운의 설치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기존에 해로로 서해를 거쳐 경창(京倉)으로 조세를 운송하는 제도에서 육로로 문경새재를 넘어 충주까지 운송하여 한강의 배편으로 운송하는 제도로 개편
  • 제목
    현감 파견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6품관의 현감을 둠
  • 제목
    小祀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주흘산(主屹山)이 소사가 됨
first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