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 유교넷 http://www.ugyo.net

한국국학진흥원은 도난과 훼손으로 멸실위기에 처해 있는 국학자료를 조사·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학 전문연구기관입니다. 특히 고문서, 고서, 목판 등 기록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유교문화와 관련된 기록유산을 DB화하고 문중기탁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요소 형태로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유교연표 : 1,187건
  • 제목
    안동부사 김곤(金?)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김 곤이 안동부사로 부임하였다.
  • 제목
    목은 이색(牧隱 李穡) 졸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 본관 한산(韓山). 영해(寧海) 출생.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 한산군 곡의 아들이다.

    이제현의 문인으로,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난 때 임금을 호종하여 잠시 안동에 머물렀을 뿐 안동 출신이 아니다. 후손들이 안동에 정착하여 그 영당(影堂)을 받들고, 서원을 세워 제향하고 있다.
  • 제목
    회헌 유의손(檜軒 柳義孫)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 전주(全州). 자 효숙(孝叔). 호 회헌(檜軒)ㆍ농암(聾巖)이다. 1426년(세종 8) 식년문과에 급제, 검열을 거쳐 감찰ㆍ수찬을 역임하고, 1436년(세종 18) 문과중시에 급제하여 직제학에 올랐다.

    문장이 뛰어났으며 안동의 기양서당(岐陽書堂)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회헌일고』가 있다.
  • 제목
    단계 하위지(丹溪 河緯地)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 진주(晉州). 자 천장(天章)ㆍ중장(仲章). 호 단계(丹溪)ㆍ연풍(延風).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1435년(세종 17) 생원을 거쳐 1438년 식년문과에 장원을 하였다.1454년(단종 2) 부제학ㆍ예조참의를 거쳐 이듬해 예조참판에 올랐다. 1456년 성삼문 등과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 체포되어 거열형에 처해졌다.

    과천의 민절서원, 홍주의 노운서원, 연산의 충곡서원, 의성의 충렬사, 안동의 창렬서원(彰烈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 제목
    백죽당 배상지(栢竹堂 裵尙志) 졸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 흥해. 호 백죽당(柏竹堂). 사복시판사를 지냈으나, 정국이 혼란하여 변혁이 있을 것을 깨닫고 사직하였다. 고향에 돌아가 영가군, 즉 지금의 안동 금계촌에 은거하면서 집 주위에 백죽을 심었는데, 백죽당이라는 그의 아호는 여기서 유래하였다.

    그 뒤 조선이 개국되고 수차에 걸쳐 출사 명령이 내려졌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숙종 때 사림의 상소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제목
    상촌 김자수(桑村 金自粹) 졸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 경주(慶州). 자는 순중(純仲). 호는 상촌(桑村). 통례문부사 오(?)의 자로 부내 상촌(현 금곡동)에서 태어났다.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덕녕부주부가 되었다. 고려 말 정세가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선 개국 후 태종 때 형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고려가 망한 것을 비관하여 자결하였다.

    일직 타양서원(陀陽書院) 등 전국 여러 서원에 제향되었다.
  • 제목
    비안공 김삼근(比安公 金三近)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안동(安東). 호는 사은(謝隱). 후(後) 안동김씨(安東金氏) 소산(素山) 입향조 혁(革)의 자. 1419(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비안현감을 역임했다.
  • 제목
    노송정 이계양(老松亭 李繼陽)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 진성(眞城). 호는 노송정(老松亭). 퇴계 이황의 조부로 퇴계선생이 이 집에서 났다하여 노송정종택을 퇴계태실이라 부르기도 한다.
  • 제목
    등암 권징(藤巖 權徵)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초기의 무신. 본관 안동(安東). 호는 등암(藤巖). 안동 부내에 살았다. 1447년(세종 29)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함길도병마평사로 참전하였을 때 형세가 매우 위급하게 되자 반란군을 꾸짖고 자결하였다. 사후에 사헌부집의로 추증되었다.
  • 제목
    안동부사 변계손(卞季孫)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초계(草溪).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했다. 관은 1404년 안동판관을 거쳐 세종조에 대사간에 이르렀다.

    1404년 안동판관으로 부임해서 예안현에 마곡서당(磨谷書堂)을 짓고 사람들을 가르침으로써 학문을 진흥시켰다. 녹전 마곡서원(磨谷書院)에 제향되었다.
  • 제목
    보백당 김계행(寶白堂 金係行)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안동. 자는 취사(取斯). 호는 보백당(寶白堂). 시호는 정헌(定獻). 비안현감 삼근(三近)의 자.

    1447년(세종 29) 생원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김종직과 교유하였다. 연산군 때 대사간에 있으면서 척신들의 비리를 논박하였으나, 시정될 가망이 없음을 알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안동 풍산에 은거하였다.

    무오ㆍ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나, 큰 화는 면하였다. 67세에 길안 묵계에 만휴정(晩休亭)을 짓고 이거했다. 청백리로 뽑혔고, 길안 묵계서원(?溪書院)에 제향되었다.
  • 제목
    응계 옥고(凝溪 玉沽) 졸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의령(宜寧). 자는 대수(待?). 호는 응계(凝溪). 김해(金海) 출생이다.

    길재의 문인으로 생원시를 거쳐 1399년(정종 1) 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했다. 1420년(세종 2) 집현전 설치와 함께 재행이 있다 하여 홍문관교리에 선발되었으며, 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고 대구에 거주했다.

    성품이 청령 결백하고, 총명한 자질로 학문에 힘써 명망이 높았다. 길안 묵계서원(?溪書院)에 제향되었다.
  • 제목
    안동부사 안완경(安完慶)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정암(貞菴)이다. 1423년(세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안동부사와 병조참의 좌부승지 등을 거쳤다.

    1451년(문종 1) 대사헌이 되고, 이듬해 주문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와서, 1453년(단종 1)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이 해 계유정난 때 안평대군의 일파로 몰려 양산에 유배되었다가 곧 사사되었다.
  • 제목
    용재 이종준(?齋 李宗準)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 경주(慶州). 자는 중균(仲鈞). 호는 용재(?齋)ㆍ용헌(?軒). 서후 출생.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급제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부령으로 유배되어가던 도중 단천 마곡역에 이르러 벽에다 이사중의 시를 써붙인 것이 불온하다는 죄로 서울에 압송, 이듬해 사형되었다.

    서후 경광서원과 봉화 백록리사에 배향되었으며, 저서에 『용재유고』가 있다.
  • 제목
    안동부사 김담(金淡)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천문학자. 본관 예안(禮安). 자는 거원(巨源). 호는 무송헌(撫松軒). 시호는 문절(文節). 영주 출생이다.

    1435년(세종 17)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왕명으로 이순지와 함께 『회회력』을 참고하여 『칠정산외편』을 저술하였는데, 이것은 조선을 기준으로 한 최초 역법이었다. 1447년(세종 29) 문과중시에 급제하고, 충주목사ㆍ안동부사등을 역임하고,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

    세종대왕의 천문ㆍ역법사업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주 구강서원에 제향되었다.
  • 제목
    화산 권주(花山 權柱)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안동(安東). 자는 지경(支卿). 호는 화산(花山). 풍천 가곡(佳谷) 출생.

    1474년(성종 5)에 진사가 되고, 1480년 친시문과에 급제하였다. 1497년(연산군 3) 도승지를 거쳐 충청도관찰사를 지냈고, 이어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성종이 폐비 윤씨를 사사할 때 사약을 가지고 갔다 하여 그 죄로 평해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교살되었다. 중종 때 신원되어 우참찬이 추증되었다. 문집에 『화산유고』가 있다.
  • 제목
    안동부사 한치의(韓致義)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의지(誼之), 시호는 장도(章悼). 덕종비 소혜왕후의 오빠로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1456년(세조 2)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459년 통례문 봉례랑을 거쳐 안동 부사ㆍ경상좌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470년(성종 1) 3월 5일에 한성부 좌윤으로 임명되었고, 1471년에는 호조 참판으로 좌리공신 4등이 되었고 공조 참판을 거쳐 병조 판서에 이르렀다.
  • 제목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영천(永川). 자는 비중(?仲). 호는 농암. 시호는 효절(孝節). 예안 분천(汾川)에서 태어났다.

    1498년(연산군 4)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1504년 사간원정언으로 있을 때, 서연관의 비행을 공박하여 안동으로 귀양갔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복직, 밀양부사ㆍ안동부사, 충주목사를 지냈다.

    1523년(중종 18) 성주목사 때 선정을 베풀어 왕으로부터 표리를 하사받았다. 1542년 호조참판에 이르러 은퇴를 청하여 낙향했다.

    ‘어부단가’ 5수와 ‘귀전록’ 3수 등 자연을 노래한 여러 편의 시조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예안 분강서원(汾江書院)에 배향되었다.
  • 제목
    허백당 김양진(虛白堂 金楊震)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풍산(豊山). 자는 백기(伯起). 호는 허백당.
    1497년(연산군 3) 별시문과에 급제하였다. 1504년 홍문관부수찬으로 있을 때 연산군이 모비 능묘의 호를 추존하려 하자 이를 반대하여 예천에 유배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 형조좌랑이 되고, 1520년(중종 15) 전라도관찰사로 임명되어서는 녹봉을 털어 빈민 구제에 힘썼으며, 황해감사로 부임해서는 각 고을의 폐단을 일소하고 선정을 펴 칭송을 받았다.

    중종 때 청백리로 녹선되고, 예천 물계서원(勿溪書院)에 배향되었다. 풍산 오미동에 살았다.
  • 제목
    송재 이우(松齋 李?)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진성(眞城). 자는 명중(明仲). 호는 송재. 진사 계양(繼陽)의 자로 퇴계의 숙부이다.

    1498년(연산군 4)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1511년 형조참판을 거쳐 강원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512년 늙은 모친을 봉양하고자 사직 귀향했다. 이 때 온계ㆍ퇴계 두 조카들을 가르쳤다.

    1515년 다시 안동부사로 부임하였으며, 1517년 겨울 병으로 관아에서 몰하니 나라에서 예관을 보내어 치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