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 유교넷 http://www.ugyo.net

한국국학진흥원은 도난과 훼손으로 멸실위기에 처해 있는 국학자료를 조사·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학 전문연구기관입니다. 특히 고문서, 고서, 목판 등 기록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유교문화와 관련된 기록유산을 DB화하고 문중기탁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요소 형태로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유교연표 : 1,187건
  • 제목
    송간 이정회(松澗 李庭檜)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경직(景直). 호는 송간(松澗). 권대기ㆍ이황의 문인이다.

    1568년 정탁ㆍ구봉령의 추천으로 수의부위에 제수되었고, 임진왜란 때 횡성현감으로 적을 막아 백성을 보호하면서 동생 정백을 안동으로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게 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날 무렵 진보 문악산에 은거하여 옥동서원을 세웠다. 선조때 종실의 계통을 바로잡는데 공을 세워 광국공신에 책봉되었다.
  • 제목
    비지 남치리(賁趾 南致利)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의중(義中). 호는 비지(賁趾). 김언기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퇴계의 문하로 들어가 독학역행하여 문과에 응시했으나, 두 번이나 실패하고는 수양을 위한 학문에만 열중하였다.

    문장이 뛰어났으므로, '계문안자(퇴계 문하의 안자)'라고 불렸다. 이황이 죽었을 때 동문의 추대로 상례를 맡아보았으며, 1578년(선조 11) 정구와 함께 유일에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남선 노림서원에 배향되었으며, 문집에 『비지문집』이 있다.
  • 제목
    지헌 정사성(芝軒 鄭士誠)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명(子明). 호는 지헌(芝軒). 마암촌(와룡면 태이리) 출생. 이황ㆍ김언기ㆍ구봉령의 문인으로 이덕홍ㆍ김성일ㆍ유성룡 등과 교우하였다.

    1568년(선조 1)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했다. 1590년 유일로 천거받아 태릉참봉을 거쳐 양구현감을 역임했다.

    임진왜란시 태조의 영정을 받들어 난이 평정될 때까지 봉안했고, 정묘왜란시는 의병장 곽재우와 화왕산성 전투에 참가하였다. 서후 학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제목
    안동부사 성근(成謹)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산읍 내포리에 묘가 있다. 자는 신지(愼之),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을 지낸 세명(世明)의 아들이다.
    통정대부의 품계에 올라 벼슬이 안동대도호부사에 이르렀다.

    안동부사 시절 1547년 대홍수로 영호루가 유실될 때 누에서 상번을 서던 부방군을 구하지 못해 그 책임을 물어 파면되었다.
  • 제목
    용만 권 기(龍巒 權 紀)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립(士立). 호는 용만(龍巒)이다.

    권호문의 문인으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향촌교화에 힘썼다. 서애 유성룡의 명을 받들어 안동의 향토지인 『영가지』를 편찬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만년에 제용감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친상으로 나아가지 않았으며, 저서로는『권씨세보』?『영가지』?『용만집』이 있다.
  • 제목
    송소 권우(松巢 權宇)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보(定甫). 호는 송소(松巢). 권대기의 아들로 이계(와룡면 이상리)에서 출생했다.

    퇴계의 문인으로 일찍부터 학명이 높았다.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을 단념하고 성리학에 전념했다.

    1586년(선조 19) 경릉참봉에 임명되고, 1589년 세자(광해군)의 사부에 제수되었으나 이듬해에 서울에서 두역(痘疫)으로 몰하였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좌승지로 추증되고, 안동 경광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 『송소집』이 있다.
  • 제목
    옥봉 권위(玉峯 權暐)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숙회(叔晦). 호는 옥봉(玉峰). 김성일?김언기?조목의 문인이다.

    어려서 동당시 별시에 합격하였으며, 1601년에 문과 급제를 하고 전적?공조좌랑을 거쳐 호조좌랑?예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뒤에 형조?예조정랑을 제수받았지만 부임하지 않았으며, 사후 도계서원에 제향되었다.
  • 제목
    유연당 김대현(悠然堂 金大賢)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풍산(?山). 자는 희지(希之). 호는 유연당(悠然堂). 허백당 김양진의 증손으로 우계 성혼 문인이다.

    1582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1592년 임진왜란 때에 향병을 조직하고 안집사 김륵의 휘하에 들어가 항쟁하였다. 난중에 기민의 구제와 병자의 규휼에 진력하여 1595년 그 덕행으로 천거되어 성현도 찰방이 되었다.

    1601년 산음현감 재직시 봉록을 털어 향교를 중건하고 교학에 힘썼으며, 청백리에도 녹선되었다.

    뒤에 아들 8형제 모두가 소과에 합격하고, 그중 다섯이 대과에 급제함으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영주 구호서원과 안동 도림추원사에 제향되었다.
  • 제목
    금역당 배용길(琴易堂 裵龍吉)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명서(明瑞). 호는 금역당(琴易堂)ㆍ장륙당(藏六堂). 예안 출생으로 김성일의 문인이다.

    1585년(선조 18) 성균관에 입관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영남의병대장 김해의 휘하에서 부장으로 활약하였다. 1602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사에 이르렀다.

    천문ㆍ지리ㆍ율력ㆍ병전ㆍ의학 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었으며, 아버지인 임연재와 같이 월곡 도생서원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금역당집』이 있다.
  • 제목
    운천 김용(雲川 金涌)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도원(道源). 호는 운천(雲川). 김수일의 장자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로 등용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수성장으로 향군을 일으켜 고장을 지키다가 그해 가을에 왕이 파천해 있는 의주로 올라가서 예문관의 검열ㆍ대교 등를 역임했다.

    환도 후 성균관전적ㆍ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하며 과연 학봉의 조카답다는 칭찬을 들었다. 1609년(광해군 1) 태상시정으로 편수관이 되어 『선조실록』 수찬에 참여하였다. 이 공으로 통정대부에 올라 병조참의를 지냈다.

    임하 임호서원 제향되고, 저서에 『운천집』ㆍ『운천호종일기』 등이 있다.
  • 제목
    용담 임흘(龍潭 任屹)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풍산(?川). 자는 탁이(卓爾). 호는 용담(龍潭). 조목과 정구의 문인으로 1582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출세에 뜻이 없어 영남으로 내려와 안동 내성현 용담에 터전을 잡고 살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막았으나, 패하여 영남의병대장 김해의 의진에 군사를 다시 모아 왜적에 대항하였다. 만년에 예안 온혜에 은거하며 독서하며 자적하였다.
  • 제목
    동암 이영도(東巖 李詠道)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성여(聖輿). 호는 동암(東巖). 퇴계의 손자이다.

    음보로 군자감참봉을 역임하고, 1592년(선조 28) 임진왜란 때는 안동에 내려가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웠다. 1596년(선조 29) 한때 좌천당하였다가 유성룡의 상소로 복직된 뒤 군량미를 조달에 큰 공을 세워 그 공으로 호조정랑이 되었다.

    1598년 현풍현감으로 재직하며 치적이 뛰어나 표리를 하사받았다. 이후 영천군수ㆍ익산군수ㆍ원주목사를 역임하고, 1636년 군기감정에 올랐다. 선무원종공신에 추록되었으며,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제목
    우복 정경세(愚伏 鄭經世)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진주(晉州). 자 경임(景任). 호 우복(愚伏). 상주(尙州) 출생으로 유성룡의 문인이다.

    1586년(선조 19) 알성문과에 급제, 승문원 부정자로 등용된 뒤 검열ㆍ봉교를 거쳤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공을 세워 수찬이 되고 1598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부제학에 발탁되고 전라도관찰사 등을 거쳐 1629년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밝았고 이기설에서 이황의 학설에 반대, 이이에 동조하였으며 특히 예론에 밝아서 김장생 등과 함께 예학파로 불렸다.

    시문과 서예에도 뛰어났으며, 사후 상주의 도남서원, 대구의 연경서원, 강릉의 퇴곡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우복집』『상례참고』『주문작해』 등이 있다.
  • 제목
    안동부사 윤복(尹復)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부사 윤 복이 부임하여 1567년(명종 22)에 안동향교를 중수하였다.
  • 제목
    청음 김상헌(淸陰 金尙憲)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안동.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ㆍ석실산인(石室山人). 윤근수의 문인이다.

    1608년 문과중시에 급제했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 등이 상소를 올려 이황과 이언적을 비난하자, 승지로 있으면서 정인홍을 비난하였다. 광해군 말년에는 연이어 부모상을 맞아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인조반정 후 대사간ㆍ이조참의ㆍ도승지로 임명되었다.

    병자호란 때 이조판서로서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한 후 선전후화론을 주장하다가 대세가 항복하는 쪽으로 굳어지자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 통곡하였으며, 식음을 전폐하고 자결을 기도하다가 실패한 뒤 안동 서미동에 은거하였다.

    1641년 주전을 주장한 죄로 청에 끌려가 4년여 동안 잡혀있었으나 강직한 기개로써 청인들에 끝까지 저항하였다. 1645년 소현세자와 함께 귀국하여 좌의정ㆍ영돈령부사를 역임하고, 1649년 효종 즉위 뒤 대현으로 추대받아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대표적인 척화신으로서 추앙받았으며, 풍산 서간사 등 전국의 많은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청음집』,『야인담록』,『풍악문답』등이 있다.
  • 제목
    학호 김봉조(鶴湖 金奉祖)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백(孝伯). 호는 학호(鶴湖). 유성룡의 문인으로 유진ㆍ김령ㆍ김광계 등과 교유했다.

    임진왜란 때는 의병장 곽재우의 화왕산성 전투에 참여했다. 1601년(선조 34) 사마시 합격했다. 1611년 정인홍의 이황ㆍ이언적에 대한 무고 사건에 이황과 이언적을 변호하는 영남 유생들의 상소에서 소두로 활약했다.

    1613년(광해군 5)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사도시직장에 임명되었다. 경상도도사ㆍ예조정랑ㆍ사헌부지평을 거쳐, 제용감정에 이르렀다. 문예에 조예가 깊어 동생 영조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쳤다. 아버지인 대현과 같이 영주 구호서원에 제향되었으며, 문집에 『학호문집』이 있다.
  • 제목
    안동부사 양희(梁喜)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1574년에 양희(梁喜)가 안동부사로 부임하였다.
  • 제목
    간재 변중일(簡齋 邊仲一)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가순(可純). 호는 간재(簡齋)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곽재우와 함께 화왕산성을 수비하였다. 만년에 건원릉참봉에 제수되고, 통정대부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686년 충효의 정려각이 세워지고, 사후 금고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간재집』이 있다.
  • 제목
    도헌 유우잠(陶軒 柳友潛) 출생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상지(尙之). 호는 도헌(陶軒). 장흥효ㆍ김시온 등과 교유하였다.

    임진왜란 때 부친이 창의하자 19세의 나이로 부친을 따라 의병진에서 활약하였다. 1597년 창녕의 화왕산성 수비에 참여하였다.

    1636년 인조의 삼전도 굴욕에 비분강개한 후 과거의 뜻을 포기하고 독서하며 후진을 양성하였다. 저서에 『도헌집』이 있다.
  • 제목
    안동현감 서 익(徐 益) 부임
    제작연도
    2007-10-30
    해제
    본관은 부여, 자는 군수(君受), 호는 만죽헌(萬竹軒)이다. 1564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3년 종부사첨정으로 순문관이 되어 북방에 파견되었다.

    의주목사로 있을 당시 정여립으로부터 탄핵을 받은 이이와 정철을 변호하는 소를 올렸다가 파직되고 1587년(선조 20) 낙향하여 46세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 『만죽헌집』과 시조 2수가 전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