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사건별로 살펴보는 198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제목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저자
정해구 저,역사문제연구소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14-09-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현대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근현대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198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물론 1980년대를 지배한 전두환 정권의 정치·경제·사회도 아울러 서술함으로써 20세기 끝자락의 한국사회를 들여다본다.

저자소개

정해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학 교수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수록내용

서울의 봄'과 신군부 세력, 5·18 광주민중항쟁, 전두환 정권의 등장과 체제 정비, 민주화운동의 부활과 전두환 정권의 대응, 6월 민주항쟁, 민주화 이행과 지역주의 정치의 등장, 민주화 이후 민주개혁의 성과와 한계, 1980년대 남북관계와 경제·사회 등 수록

- ●발간사 _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프롤로그 _ 1980년대 이전의 민주화운동
- 한국 민주주의와 1980년대 민주화운동
- 이승만 정권 시기의 민주화운동
- 박정희 정권 시기의 민주화운동
- ●01 _ ‘서울의봄’과 신군부 세력
- 부마항쟁과 10ㆍ26사태
- 12ㆍ12군사반란과 신군부 세력의 등장
- ‘서울의 봄’시기 민주화 과정의 전개
- 쿠데타의 준비, ‘충정훈련’과 ‘K-공작계획’
- 갈림길에 선 민주화
- ●02 _ 5ㆍ18 광주민중항쟁
- 5ㆍ17 군사쿠데타
- 신군부 세력의 과잉진압
- 항쟁으로의 전화와 진압의 실패
- ‘절대공동체’ 광주의 ‘해방’
- 광주의 고뇌
- 상무충정작전
- ●03 _ 전두환 정권의 등장과 체제 정비
- 국보위 설치, ‘숙정’과 ‘정화’
- ‘사회악 일소’와 삼청교육
- 전두환 정권의 출범과 ‘관제 민주주의’
- 국가보위입법회의와 악법의 양산
- 정당성의 부족과 대체적 정당성의 모색
- 민주화운동의 시련과 내연
- ●04 _ 민주화운동의 부활과 전두환 정권의 대응
- 유화조치
- 학생운동의 부활
- 노동운동의 확산과 강화
- 2ㆍ12총선과 선명 야당의 등장
- 재야세력의 결집과 민통련의 등장
- 개헌정국의 갈등과 민주화운동 진영의 분열
- 전두환 정권의 탄압 강화
- ●05 _ 6월민주항쟁
- 항쟁의 배경과 촉발
- 국본의 탄생
- 6월민주항쟁의 전개
- 지방에서의 항쟁
- 6ㆍ29선언, 양보와 분리 지배
- 또 하나의 항쟁, 7ㆍ8ㆍ9월 노동자대투쟁
- ●06 _ 민주화 이행과 지역주의 정치의 등장
- 민주화 이행의 한국적 맥락
- 헌법 개정과 1987년 헌법의 등장
- 양 김씨의 분열, 재야세력의 분열, 지역의 분열
-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그 결과
- 민주화의 성공, 민주정부 수립의 실패
- 지역주의 정치의 고착
- ●07 _ 민주화 이후 민주개혁의 성과와 한계
- 야대여소 국회와 5공청산의 추진
- 통일운동의 부상
- 공안정국
- 야권 공조의 약화와 ‘의사 민주화’
- 민주화운동 조직의 새로운 결성과 재편
- ●08 _ 1980년대 남북관계와 경제ㆍ사회
- 1980년대 중반의 남북대화
-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 추진
- 경제안정화 정책과 ‘3저 호황’
- 주식ㆍ부동산 투기 열풍과 ‘중산층 신화’
- 대규모 권력비리와 정경유착
- 탈정치의 ‘스포츠공화국’
- 대중문화와 대중조작
- ●에필로그 _ 1980년대를 넘어 1990년대로
- 민주화 이후의 보수화 : 3당 합당과 5월투쟁
- 탈냉전과 남북관계의 진전
- 장밋빛 환상과 경제 현실
- ●부록
- 미주
- 참고문헌
- 이 책에 쓰인 사진의 출처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