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상과 유일체제의 대두와 위기를 시대별로 서술하다
북한의 역사 2 -주체사상과 유일체제(1960~1994)-

- 제목
- 북한의 역사 2 -주체사상과 유일체제(1960~1994)-
- 저자
- 이종석 저,김성보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14-09-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사회주의 건설이 본격화되는 1960년대부터 김일성이 사망하는 1994년까지를 다룬 책이다. 10년 주기로 열린 조선노동당 4, 5, 6차 대회를 기준으로 주체사상이 북한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어떻게 지배했고,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던 유일체제가 어떻게 체제위기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지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수록내용
주체 노선의 고창과 유일체제의 대두, 김정일 후계 체제의 등장과 유일체제의 확립, 위기시대의 도래,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주요사건일지 등과 함께 스페셜 테마 수록
- ●발간사 _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책머리에 _ 위기의 북한사회, 역사와 현실을 돌아본다
- ●01 주체 노선의 고창과 유일체제의 대두
- 김일성 권력의 공고화와 사회주의 제도의 확립
- 중소분쟁과 주체 노선의 고창
- 유격대 국가로의 길 - 항일유격대식 삶을 지향하다
- 북한과 중국의 갈등과 화해
- 주체사상의 등장
- 전면화된 개인숭배 캠페인, 동원화된 사회 체계
- 자립경제와 국방ㆍ경제 병진 노선, 그리고 경제난
- 남조선혁명론과 게릴라 침투 - 군사 모험주의의 발호
- 주체사상의 사유화 - ‘김일성 사상’
- 스페셜 테마 _ 1967년의 북한사회, 사회적 굴절의 발생
- 스페셜 테마 _ 북한사회의 개인숭배 토양
- ●02 김정일 후계 체제의 등장과 유일체제의 확립
- 사회주의 헌법의 제정과 유일체제의 확립
- 중국과의 공조를 통한 남북대화의 모색
- 김일성주의로 굴절된 주체사상
- 김정일의 후계자 부상과 3대혁명소조운동
- 경제난 극복을 위한 외자 도입과 실패
- 사회적 도덕률이 된 수령제 담론
- 스페셜 테마 _ 주체사상의 내용과 체계
- 스페셜 테마 _ 유일체제로서의 북한사회
- 스페셜 테마 _ 남한의 정치 변동과 유일체제 형성의 상관성
- ●03 위기시대의 도래
- 수령-후계자 공동통치 시대의 개막
- 계속되는 경제 계획의 미달성과 대안 모색의 실패
- 포기하지 않은 주관주의 노선 - 사회주의 완전승리 테제와 중국 노선의 비교
-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와 북한의 대응
- 깨닫는 현실, 변화하는 통일 방안
- 헌법 개정과 김정일 시대를 위한 준비
- 스페셜 테마 _ 북한의 근로단체가 하는 일
- 스페셜 테마 _ 북한 외교의 변천 과정
- ●04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 북한 핵개발의 쟁점화와 미국과의 갈등
- 동맹의 동요와 새로운 관계의 모색
- 김일성 사망,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 심화되는 경제 침체, 이완되는 사회 체제
- 자구책의 한계와 사적 시장의 발생
- 위기 극복의 대안으로 부각된 군사국가화
- 스페셜 테마 _ 1990년대 북한 경제 위기의 원인
- 스페셜 테마 _ ‘북한 문제’의 국제적 쟁점의 발생과 배경
- 스페셜 테마 _ 조선노동당의 공식 위상과 실제
- ●05 글을 맺으며 _ 북한 사회주의의 침체, 그 원인을 생각한다
- 유일체제의 비효율성
- 인민주권을 무력화시킨 개인숭배 담론들
- 자주성 테제의 당위와 현실적 모순
- ‘정치 우선 사고’의 한계
- 스페셜 테마 _ 북한 역사 시기구분하기
- 스페셜 테마 _ 북한의 공식 규범과 주민의 의식구조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발간사 _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책머리에 _ 위기의 북한사회, 역사와 현실을 돌아본다
- ●01 주체 노선의 고창과 유일체제의 대두
- 김일성 권력의 공고화와 사회주의 제도의 확립
- 중소분쟁과 주체 노선의 고창
- 유격대 국가로의 길 - 항일유격대식 삶을 지향하다
- 북한과 중국의 갈등과 화해
- 주체사상의 등장
- 전면화된 개인숭배 캠페인, 동원화된 사회 체계
- 자립경제와 국방ㆍ경제 병진 노선, 그리고 경제난
- 남조선혁명론과 게릴라 침투 - 군사 모험주의의 발호
- 주체사상의 사유화 - ‘김일성 사상’
- 스페셜 테마 _ 1967년의 북한사회, 사회적 굴절의 발생
- 스페셜 테마 _ 북한사회의 개인숭배 토양
- ●02 김정일 후계 체제의 등장과 유일체제의 확립
- 사회주의 헌법의 제정과 유일체제의 확립
- 중국과의 공조를 통한 남북대화의 모색
- 김일성주의로 굴절된 주체사상
- 김정일의 후계자 부상과 3대혁명소조운동
- 경제난 극복을 위한 외자 도입과 실패
- 사회적 도덕률이 된 수령제 담론
- 스페셜 테마 _ 주체사상의 내용과 체계
- 스페셜 테마 _ 유일체제로서의 북한사회
- 스페셜 테마 _ 남한의 정치 변동과 유일체제 형성의 상관성
- ●03 위기시대의 도래
- 수령-후계자 공동통치 시대의 개막
- 계속되는 경제 계획의 미달성과 대안 모색의 실패
- 포기하지 않은 주관주의 노선 - 사회주의 완전승리 테제와 중국 노선의 비교
-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와 북한의 대응
- 깨닫는 현실, 변화하는 통일 방안
- 헌법 개정과 김정일 시대를 위한 준비
- 스페셜 테마 _ 북한의 근로단체가 하는 일
- 스페셜 테마 _ 북한 외교의 변천 과정
- ●04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 북한 핵개발의 쟁점화와 미국과의 갈등
- 동맹의 동요와 새로운 관계의 모색
- 김일성 사망, 신화시대의 종언과 김정일 시대의 개막
- 심화되는 경제 침체, 이완되는 사회 체제
- 자구책의 한계와 사적 시장의 발생
- 위기 극복의 대안으로 부각된 군사국가화
- 스페셜 테마 _ 1990년대 북한 경제 위기의 원인
- 스페셜 테마 _ ‘북한 문제’의 국제적 쟁점의 발생과 배경
- 스페셜 테마 _ 조선노동당의 공식 위상과 실제
- ●05 글을 맺으며 _ 북한 사회주의의 침체, 그 원인을 생각한다
- 유일체제의 비효율성
- 인민주권을 무력화시킨 개인숭배 담론들
- 자주성 테제의 당위와 현실적 모순
- ‘정치 우선 사고’의 한계
- 스페셜 테마 _ 북한 역사 시기구분하기
- 스페셜 테마 _ 북한의 공식 규범과 주민의 의식구조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