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종교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Ⅹ - 宗敎思想編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Ⅹ - 宗敎思想編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10권에서는 종교사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유교의 종교적 세계, 고대와 고려시대의 국가제사, 여말선초 삼교의 교섭과 대립, 조선성리학의 절의정신과 종교적 성격, 유교와 민간신앙, 유교와 한국 신종교, 현대사회의 종교적 상황과 한국유교 등 수록

- 간행사
- 서장: 유교의 종교적 세계 / 최영진
- 제1절 유교는 종교인가
- 제2절 궁극적 실재: 천·상제와 태극
- 1. 천·상재와 귀신
- 2. 궁극적 존재의 인격성과 이법성
- 제3절 긍극적 관심의 주체: 인간, 궁극적 실재의 내재화
- 제4절 궁극적 변화: 수양
- 제5절 궁극적 관심의 실천양식: 제례
- 제6절 궁극적 실재에 대한 신앙공동체: 국가·향촌·가족
- 제7절 유교 종교성의 한국적 전개
- 제1장 고대와 고려시대의 국가제사 / 서영대
- 제1절 국가제사의 의미와 대상
- 제2절 한국 고대의 천신
- 제3절 고조선의 제천의례
- 제4절『삼국지』「위지·동이전」에 보이는 제천의례
- 1. 제천의례 자료
- 2. 제천의례의 명칭 문제
- 3. 제천의례의 시기와 성격
- 4. 제천의례의 규모
- 제5절 삼국시대의 제천의례
- 제6절 고려시대의 제천의례
- 제2장 여말선초 삼교의 교섭과 대립 / 오지섭
- 제1절 한국삼교교섭사 관련 기존 연구
- 제2절 여말선초 이전의 삼교 관계
- 1. 삼교 수용 과정상의 특징
- 2. 삼국시대의 삼교 관계
- 3. 고려 주자학 도입 이전의 삼교 관계
- 제3절 여말선초 삼교 교섭 양상 변화의 배경
- 1. 주자학 수용의 영향
- 2. 고려왕조 부정과 신왕조 추진 세력의 의도
- 제4절 초선 초 배불론과 배불정책
- 1. 정도전의 배불론
- 2. 조선 초 배불정책
- 3. 조선 왕실의 불교 신앙
- 제5절 조선 초 배불정책에 대한 불교의 대응
- 1. 조선 초 불교 교단의 상황
- 2. 불교 측의 호교론적 유불조화론
- 제6절 조선초 호불 유자들
- 제7절 조선시대 벽이단정책 속 도교의 상황
- 1. 조선 초 국가도교 의례의 축소
- 2. 조선시대 수련도교의 흐름
- 제3장 조선시대 유교이념과 국가제례의 변모 / 이욱
- 제1절 조선시대 국가제례 연구사
- 제2절 조선 전기 국가사전 변화
- 1. 조선시대 사전의 정립
- 2. 사전의 대상과 공덕
- 3. 봉작제도 폐지와 신관의 변화
- 제3절 제천의례의 폐지와 그 영향
- 1. 조선 전기 원구제의 치폐 과정
- 2. 세조 대 왕권과 제천의례
- 3. 제천의 욕망과 대체 의례
- 제4절 종묘와 왕실의 제사
- 1. 조선 전기 종묘제도의 확립
- 2. 원묘의 정비와 문소전
- 3. 조선 후기 왕위계승과 사친묘
- 제5절 문묘와 유교이념
- 1. 조선 전기 문묘의례의 정비
- 2. 도통과 문묘종사 논의
- 3. 조선 후기 문묘와 계성사
- 제4장 조선성리학의 절의정신과 종교적 성격 / 이상성
- 제1절 성리학의 근본이념과 절의정신
- 제2절 여말선초 성리학파의 사직 수호와 불이정신
- 1. 삼은의 강상의리와 사직의 수호
- 2. 두문동 72인의 항절과 불이정신
- 제3절 사·생육신의 충절과 의리정신
- 1. 사육신의 절개와 의리정신
- 2. 생육신의 의리와 역사의식
- 제4절 도학파의 지치적 순수주의와 진리의 파지(把持)
- 1. 전기 도학파의 의리분변과 행도
- 2. 조광조의 지치주의와 이신순도(以身殉道)
- 제5절 국가적 위란과 절의정신의 종교적 승화
- 1. 조헌과 칠백의사의 순국과 충렬정신
- 2. 삼학사의 척화정신과 화이분변
- 제6절 한말 의리학파의 척사위정과 자존의식
- 1. 외세의 침투와 척양척왜의 벽이단론
- 2. 화서학파의 정도(正道) 수호와 순국
- 제7절 절의정신의 정신사적 의의와 종교적 함의
- 제5장 조선성리학 심성수양론의 종교성 / 김형찬
- 제1절 성리학의 발전과 초월성의 문제
- 제2절 천인관계에 대한 리기론적 이해
- 1. 리기론 구조 안에서의 천인상감
- 2. 활물로서의 리와 유행하는 천명
- 3. 리통기국의 체계와 천일합일의 추구
- 제3절 심성론의 종교성: 천명의 내재화와 심성정의 구조 분석
- 1. 본연지성·기질지성의 구분과 천리·인성의 합일
- 2. 사단칠정논쟁과 천리의 주재
- 3. 인심·도심에서 리의 발현과 기의 정화
- 제4절 수양론의 종교성: 천명에 대한 경외와 인간의 성의
- 1. 경외와 신독
- 2. 성의와 기질변화
- 제5절 심성수양론의 종교성과 조선성리학의 특성
- 제6장 유교적 귀신사생론과 의례의 실천 / 박종천
- 제1절 문제의 성격과 기존 연구의 검토
- 제2절 유교적 귀신사생론과 의례관의 사상적 배경
- 1. 유교적 귀신사생론과 의례관의 사상적 특성
- 2. 공자와 귀신사생론과 유교적 귀신사생론의 경학적 근거
- 3. 송대 도학의 자연절학적 귀신사생론
- 제3절 조선 초기 귀신사생론의 정립과『주자가례』의 도입
- 1. 여말선초 성리학적 귀신사생론과『주자가례』의 도입
- 2. 김시습의 기일원론적 귀신사생론과 전기소설의 혁신
- 3. 남효은의 포괄적 귀신사생론과 통속적 귀신담 비판
- 제4절 조선 중기 귀신사생론의 심화와『주자가례』의 실천 양상
- 1. 귀산사생론의 심화와『주자가례』의 준행
- 2. 서경덕의 일기항존적 귀신사생론
- 3. 이황의 리기불상잡적 귀신사생론
- 4. 이이의 리기불상리적 귀신사생론
- 제5절 조선 후기 귀신사생론의 분화와 종법질서의 확립
- 1. 성리학적 귀신론의 분화 양상과 종법질서의 확립
- 2. 귀신 담론의 다양성: 유교적 귀신론과 민간의 귀신담
- 3. 유교적 사생론의 분화: 공의와 사정의 중층성
- 제6절 한국유교의 성리학적 귀신사생론과 인본주의적 의례관
- 제7장 예서의 보급과 종법제의 착근 / 장동우
- 제1절 종법제의 종교·문화적 특성
- 제2절 예서 보급의 시대적 추이와 특색
- 1. 예전·법전의 정비 및 보완 과정
- 2. 예서의 도입과 보급과정
- 3. 예서의 편찬과 보급과정
- 제3절 법전과 예전에 반영된 종법관념의 진전과정
- 1. 법전에 반영된 종법 이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