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총서 12] 송명유학사상사

- 제목
- [성리총서 12] 송명유학사상사
- 저자
- 구스모토 마사쓰구 저,구스모토 마사쓰구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송명대의 사상은 중국사상의 본령으로 지목되는 유학의 정통을 이은 것으로 평가되면서 연구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재해석되어 왔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우주와 인간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가운데 어떤 상황에서도 삶에 임하는 인간의 자세를 문제삼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 책은 바로 여기에 초점을 두고 이것을 리학과 심학이라는 거대한 구도로 읽어 내고 있다.
역사적 서술은 문제 중심의 서술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저자의 믿음은 이 책 전체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학문의 특질이 그대로 시대의 전체적 정신 안에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지은이는 사상을 '동적인 양상에서 포착'하여 전체적인 거대한 흐름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어느 한 학파에 매몰되지 않고 객관적인 비평정신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나하나의 사상을 이해해 가는 지은이의 관대함은, 상대성을 넘어설 때만 진정으로 상대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자의 주장을 실감나게 한다.
역사적 서술은 문제 중심의 서술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저자의 믿음은 이 책 전체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학문의 특질이 그대로 시대의 전체적 정신 안에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지은이는 사상을 '동적인 양상에서 포착'하여 전체적인 거대한 흐름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어느 한 학파에 매몰되지 않고 객관적인 비평정신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나하나의 사상을 이해해 가는 지은이의 관대함은, 상대성을 넘어설 때만 진정으로 상대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자의 주장을 실감나게 한다.
수록내용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제1부 송대의 유학사상
제1장 신유학의 발생
제2장 송대 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은일사상
제2절 비평정신의 발흥
제3절 정학의 사상: 윤리적 입장의 자각
제3장 송대 중기의 유학사상
제1절 소옹
제2절 주돈이
제3절 장재
제4절 정호
제5절 정이
제6절 이정 문하의 제자들
제4장 송대 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정靜 사상의 심화와 주희의 선배학자들
제2절 호남학
제3절 주희의 교우
제4절 영가·영강의 학문
제5절 주희
제6절 주희 문하의 제자들
제2부 명대의 유학사상
제1장 명대 유학사상의 연원
제1절 주자학의 이원화 경향에 대한 반성
제2절 상산학의 선구
제3절 육구연
제4절 육구연 문하의 제자들
제5절 주육절충의 시대 ― 원대
제2장 명대 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오여필
제2절 진헌장
제3절 나륜
제4절 누량
제3장 명대 중기의 유학사상
제1절 왕수인
제2절 왕수인의 비판자들
제3절 왕수인 문하의 제자들
제4장 명대 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왕벽과 나여방
제2절 이지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제1부 송대의 유학사상
제1장 신유학의 발생
제2장 송대 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은일사상
제2절 비평정신의 발흥
제3절 정학의 사상: 윤리적 입장의 자각
제3장 송대 중기의 유학사상
제1절 소옹
제2절 주돈이
제3절 장재
제4절 정호
제5절 정이
제6절 이정 문하의 제자들
제4장 송대 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정靜 사상의 심화와 주희의 선배학자들
제2절 호남학
제3절 주희의 교우
제4절 영가·영강의 학문
제5절 주희
제6절 주희 문하의 제자들
제2부 명대의 유학사상
제1장 명대 유학사상의 연원
제1절 주자학의 이원화 경향에 대한 반성
제2절 상산학의 선구
제3절 육구연
제4절 육구연 문하의 제자들
제5절 주육절충의 시대 ― 원대
제2장 명대 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오여필
제2절 진헌장
제3절 나륜
제4절 누량
제3장 명대 중기의 유학사상
제1절 왕수인
제2절 왕수인의 비판자들
제3절 왕수인 문하의 제자들
제4장 명대 후기의 유학사상
제1절 왕벽과 나여방
제2절 이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