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동양문화산책 28] (유교문화권 전통마을 8) 안동 원촌마을 : 선비들의 이상향

제목
[동양문화산책 28] (유교문화권 전통마을 8) 안동 원촌마을 : 선비들의 이상향
저자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저,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저
발행처
예문서원
발행년도
2013-01-0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안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원촌마을은 1970년대 안동댐의 준공으로 하계와 함께 마을 대부분이 수몰되어 사실상 사라진 마을이나 다름없다. 원촌마을은 옛 예안지역이었던 안동의 북동, 낙동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강가마을로, 진성이씨 동성마을이다. 퇴계의 손자 이영도의 후손이 퇴계의 묘소 바로 아래인 하계에 정착한 다음 단사마을로 들어갔다가 원대처사 이구 대에 이르러 다시 원촌으로 옮겨와 살기 시작하였다 하니 지금으로부터 근 300여 년이 되었다.

원촌은 하계, 단사마을과 함께 강한 혈연적 연대의식과 퇴계가 남긴 정신적 유산을 공통의 정체성으로 하여 마을의 규범을 만들었고, 그것을 충실히 지켜나간 사람들의 정신과 역사적 자취가 강하게 남아있다. 비록 그 실체는 사라져 버렸지만, 원촌마을과 사람들의 숨결, 그 후손들이 끝까지 지키고 있는 정신을 생생하게 복원해 낸 것은 이 책의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수록내용

1장 아름다운 산수풍광에 성리학적 이상을 실현한 원촌마을

2장 원촌마을과 진성이씨

3장 원촌마을 가학의 전승과 양상

4장 원촌의 규방가사

5장 원촌의 제례문화, 지혜로운 계승

6장 이육사와 원촌마을 독립운동가들

7장 원촌의 신문화 수용: 이원영 목사의 기독교 활동

8장 이육사의 문학과 현대문학

9장 원촌마을에서 자란 문학평론가 이원조

연관검색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