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문자도의 의미와 내용을 간추리다

문자도

제목
문자도
저자
유홍준 저,이태호 저,유홍준 사진,이태호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미술
  • [KDC ] 예술 > 예술

제품소개

조선 후기 민화에 속하는 문자도에 대해 소개한다. 유학의 윤리관을 압축한 효, 제, 충, 신, 예, 의, 염, 치 등 여덟 글자로 그려진 문자도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문자도를 담아내 이해를 도와준다

저자소개

유홍준
1949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문리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 대학원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였다. 198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부문에 당선한 이후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를 역임했다.1985년부터 매년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 강좌를 개설하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고 있으며, 현재는 영남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1986, 열화당),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1993, 창작과 비평사), 편역서로 「미학에세이」(1988, 청년사) 등이 있으며 ‘단원 김홍도 연구’ 등 한국미술사 관계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이태호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였고 같은 학교 대학원 미학ㆍ미술사학과를 졸엽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대 산수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 ‘겸재 정선의 가계와 생애’ ‘김홍도의 진경산수’ ‘다산 정약용의 예술 세계’ ‘조선시대의 초상화’ ‘1940년대 친일 미술’ 등이 있으며 「고구려 고분 벽화」 「조선 후기 회화사 연구」 「그림으로 본 옛 서울」 등의 저서와 평론집 「우리 시대, 우리 미술」이 있다.

수록내용

조선 후기 민화에 속하는 문자도에 대해 소개

- 글머리에
- 조선 후기 민화의 유행과 쓰임새
- 민화의 성격에 대한 문화사적 의의
- 민화의 확산
- 민화의 성격
- 효제 문자도의 의미와 쓰임새
- 문자도의 표현 내용
- 효(孝)
- 제(悌)
- 충(忠)
- 신(信)
- 예(禮)
- 의(義)
- 염(廉)
- 치(恥)
- 문자도의 양식 변천
- 맺음말
- 명품 감상
- 도판 해설
- 도판 1
- 도판 2
- 도판 3
- 도판 4
- 도판 5
- 도판 6
- 도판 7
- 도판 8
- 도판 9
- 도판 10

연관검색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