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찰순례 3 : 우리나라 유명사찰 현장답사기

- 제목
- 명찰순례 3 : 우리나라 유명사찰 현장답사기
- 저자
- 최완수 저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수록내용
머리말
38. 흥국사(興國寺) - 경산(京山) 불화 본한(佛畵本山) 수락산(水落山)
39. 쌍봉사(雙峯寺) - 초기(初期) 남종선(南宗禪)의 중심 도량(重心道량) 화순(和順) 중조산(中條山)
40. 용화사(龍華寺) - 삼도수군(三道水軍) 통제영(統制營) 승군도량(僧軍道량) 충무(忠武) 미륵산(彌勒山)
41. 석남사(石南寺) - 고신라(古新羅) 지역 최초의 남종선찰(南宗禪刹) 언양(彦陽) 가지산(迦智山)
42. 봉원사(奉元寺) - 한국 불교 태고종(太古宗) 총본산(總本山) 서울 금화산(金華山)
43. 광덕사(廣德寺) - 삼천불전(三千佛殿) 건립의 효시(曉矢)를 보인 천안(天安) 태화산(泰華山)
44. 백양사(白羊寺) - 근대 선강법회(禪講法會)의 중심지 장성(長城) 백암산(白巖山)
45. 옥천사(玉泉寺) - 소가야(小伽倻) 지역의 화엄종찰(華嚴宗刹) 고성(固城) 연화산(蓮華山)
46. 증심사(證心寺) - 왕건(王建)세력의 외호 도량(外護道량) 광주(光州) 무등산(無等山)
47. 기림사(祇林寺) - 신라(新羅)가 불국토(佛國土)임을 표방한 경주(慶州) 함월산(含月山)
48. 갑사(甲寺) - 옛 백제 수도권 지역을 관장하던 화엄종찰(華嚴宗刹) 공주(公州) 계룡산(鷄龍山)
49. 경국사(慶國寺) - 태조(太祖) 신덕왕후(신德王后) 정릉(貞陵) 원찰(願刹) 서울 삼각산(三角山)
50. 화계사(華溪寺) - 덕흥(德興)·흥선(興宣) 양(兩) 대원군가(大院君家)의 원찰(願刹) 서울 삼각산(三角山)
51. 용연사(龍淵寺) - 석가세존의 진신사리탑(眞身舍利塔)이 모셔져 있는 달성(達城) 비슬산(琵瑟山)
52. 태안사(泰安寺) - 구산선문(九山禪文)의 하나인 동리산문(桐裏山門) 종찰(宗刹) 곡성(谷城) 동리산(桐裏山)
53. 각연사(覺淵寺) - 통일대사(通一大師)의 유훈(遺薰)이 서린 선문고찰(禪門古刹) 괴산(槐山) 보개산(寶蓋山)
54. 고운사(孤雲寺) - 자재암(自在庵) 부용반개(芙蓉半開)의 길지(吉地)에 터 잡은 의성(義城) 등운난(謄雲山)
55. 도피안사(倒彼安寺) ㆍ 자재암(自在庵) - 북녁땅이 바라다 보이는 영험(靈驗)의 도량(道량) 철원(鐵原) 화개산(花蓋山)
56. 무위사(無爲寺) - 백제(百濟) 고찰(古刹)로 남종선(南宗禪)을 꽃피운 강진(康津) 월출산(月出山)
부록
38. 흥국사(興國寺) - 경산(京山) 불화 본한(佛畵本山) 수락산(水落山)
39. 쌍봉사(雙峯寺) - 초기(初期) 남종선(南宗禪)의 중심 도량(重心道량) 화순(和順) 중조산(中條山)
40. 용화사(龍華寺) - 삼도수군(三道水軍) 통제영(統制營) 승군도량(僧軍道량) 충무(忠武) 미륵산(彌勒山)
41. 석남사(石南寺) - 고신라(古新羅) 지역 최초의 남종선찰(南宗禪刹) 언양(彦陽) 가지산(迦智山)
42. 봉원사(奉元寺) - 한국 불교 태고종(太古宗) 총본산(總本山) 서울 금화산(金華山)
43. 광덕사(廣德寺) - 삼천불전(三千佛殿) 건립의 효시(曉矢)를 보인 천안(天安) 태화산(泰華山)
44. 백양사(白羊寺) - 근대 선강법회(禪講法會)의 중심지 장성(長城) 백암산(白巖山)
45. 옥천사(玉泉寺) - 소가야(小伽倻) 지역의 화엄종찰(華嚴宗刹) 고성(固城) 연화산(蓮華山)
46. 증심사(證心寺) - 왕건(王建)세력의 외호 도량(外護道량) 광주(光州) 무등산(無等山)
47. 기림사(祇林寺) - 신라(新羅)가 불국토(佛國土)임을 표방한 경주(慶州) 함월산(含月山)
48. 갑사(甲寺) - 옛 백제 수도권 지역을 관장하던 화엄종찰(華嚴宗刹) 공주(公州) 계룡산(鷄龍山)
49. 경국사(慶國寺) - 태조(太祖) 신덕왕후(신德王后) 정릉(貞陵) 원찰(願刹) 서울 삼각산(三角山)
50. 화계사(華溪寺) - 덕흥(德興)·흥선(興宣) 양(兩) 대원군가(大院君家)의 원찰(願刹) 서울 삼각산(三角山)
51. 용연사(龍淵寺) - 석가세존의 진신사리탑(眞身舍利塔)이 모셔져 있는 달성(達城) 비슬산(琵瑟山)
52. 태안사(泰安寺) - 구산선문(九山禪文)의 하나인 동리산문(桐裏山門) 종찰(宗刹) 곡성(谷城) 동리산(桐裏山)
53. 각연사(覺淵寺) - 통일대사(通一大師)의 유훈(遺薰)이 서린 선문고찰(禪門古刹) 괴산(槐山) 보개산(寶蓋山)
54. 고운사(孤雲寺) - 자재암(自在庵) 부용반개(芙蓉半開)의 길지(吉地)에 터 잡은 의성(義城) 등운난(謄雲山)
55. 도피안사(倒彼安寺) ㆍ 자재암(自在庵) - 북녁땅이 바라다 보이는 영험(靈驗)의 도량(道량) 철원(鐵原) 화개산(花蓋山)
56. 무위사(無爲寺) - 백제(百濟) 고찰(古刹)로 남종선(南宗禪)을 꽃피운 강진(康津) 월출산(月出山)
부록
시리즈
- 명찰 순례 시리즈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