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주도해왔던 모든 동양 사상의 기원
제자백가서

- 제목
- 제자백가서
- 저자
- 제자백가서 저본
- 발행처
- 한국사사료연구소
- 발행년도
- 2008-03-3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특징
총 3,394개의 목차별 내용열람 가능
각 책별 교감 및 주석내용 등 최고의 판본을 원본으로 구성
유니코드 한자 지원을 통한 원문 낱자 검색의 지원
각 책별 교감 및 주석내용 등 최고의 판본을 원본으로 구성
유니코드 한자 지원을 통한 원문 낱자 검색의 지원
제품소개
제자백가(諸子百家)는 중국 고대의 여러 학파와 그들의 저서(著書)의 총칭(總稱)입니다.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는 이들의 사상을 담고 있는 책들로서 동양의 고전들이 총망라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공자, 노자, 맹자, 장자, 묵자, 열자, 한비자, 손자 등 10개 학파 189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된 학파로는 유가(儒家)와 묵가(墨家), 도가(道家), 법가(法家), 병가(兵家)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본 제품에는 유가의 대표적인 책인 논어와 맹자를 비롯하여, 관자, 노자, 논형, 묵자, 법인, 상군서, 세설신어, 손자병법, 순자, 신감, 신어, 신자, 안자춘추, 여씨춘추, 열자, 염철론, 오자, 윤문자, 잠부론, 장자, 포박자, 한비자, 회남자를 수록하였습니다.
본 제품을 통해 춘추전국시대의 일세를 풍미하면서 후대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제자백가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
본 제품을 통해 춘추전국시대의 일세를 풍미하면서 후대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제자백가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
저자소개
제자백가서
논어(論語); 완원(阮元) 교각본(校刻本)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맹자(孟子); 완원(阮元) 교각(校刻)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1980年 北京 中華書局 影印本)
관자(管子); 관중(管仲)
노자(老子); 노자(老子)
논형(論衡); 황휘 찬(黃暉 撰), 논형교석≪論衡校釋≫(全4冊), 1990, 北京, 中華書局.
묵자(墨子); 묵자(墨子)
법언(法言); 이궤 주(李軌 注), 법언≪法言≫(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상군서(商君書); 엄가균 교(嚴可均 校) 상군서≪商君書≫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세설신어(世說新語); 류효표 주(劉孝標 注) 세설신어≪世說新語≫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손자병법(孫子兵法); 조조 등 주(曹操 等 注), 손자십가주≪孫子十家注≫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순자(荀子); 왕선겸(王先謙) 순자집해≪荀子集解≫(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신감(申鑒); 순열(荀悅)
신어(新語); 육가(陸賈)
신자(愼子); 신도(愼到)
안자춘추(晏子春秋); 장순일(張純一) 안자춘추교주≪晏子春秋校注≫(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여씨춘추(呂氏春秋); 고유주(高誘注) 여씨춘추≪呂氏春秋≫ 上海書店刊 諸子集成本
열자(列子); 장담(張湛) 열자주≪列子注≫(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염철론(鹽鐵論); 염철론≪鹽鐵論≫ (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
오자(吳子); 오기(吳起)
윤문자(尹文子); 윤문(尹文)
잠부론(潛夫論); 왕부(王符)
장자(莊子); 장자금주금역≪莊子今註今譯≫, 진고응(陳鼓應), 中華書局(香港), 1991
포박자(抱朴子); 갈홍 저(葛弘 著), 포박자≪抱朴子≫(上海書店 諸子集成本)
한비자(韓非子); 왕선겸(王先謙)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上海書店 諸子集成本)
회남자(淮南子); 류안(劉安)
맹자(孟子); 완원(阮元) 교각(校刻)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1980年 北京 中華書局 影印本)
관자(管子); 관중(管仲)
노자(老子); 노자(老子)
논형(論衡); 황휘 찬(黃暉 撰), 논형교석≪論衡校釋≫(全4冊), 1990, 北京, 中華書局.
묵자(墨子); 묵자(墨子)
법언(法言); 이궤 주(李軌 注), 법언≪法言≫(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상군서(商君書); 엄가균 교(嚴可均 校) 상군서≪商君書≫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세설신어(世說新語); 류효표 주(劉孝標 注) 세설신어≪世說新語≫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손자병법(孫子兵法); 조조 등 주(曹操 等 注), 손자십가주≪孫子十家注≫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순자(荀子); 왕선겸(王先謙) 순자집해≪荀子集解≫(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신감(申鑒); 순열(荀悅)
신어(新語); 육가(陸賈)
신자(愼子); 신도(愼到)
안자춘추(晏子春秋); 장순일(張純一) 안자춘추교주≪晏子春秋校注≫(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여씨춘추(呂氏春秋); 고유주(高誘注) 여씨춘추≪呂氏春秋≫ 上海書店刊 諸子集成本
열자(列子); 장담(張湛) 열자주≪列子注≫(上海書店, 諸子集成本)
염철론(鹽鐵論); 염철론≪鹽鐵論≫ ( 上海書店, ≪諸子集成≫本 )
오자(吳子); 오기(吳起)
윤문자(尹文子); 윤문(尹文)
잠부론(潛夫論); 왕부(王符)
장자(莊子); 장자금주금역≪莊子今註今譯≫, 진고응(陳鼓應), 中華書局(香港), 1991
포박자(抱朴子); 갈홍 저(葛弘 著), 포박자≪抱朴子≫(上海書店 諸子集成本)
한비자(韓非子); 왕선겸(王先謙)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上海書店 諸子集成本)
회남자(淮南子); 류안(劉安)
수록내용
논어(論語)
맹자(孟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논형(論衡)
묵자(墨子)
법언(法言)
상군서(商君書)
세설신어(世說新語)
손자병법(孫子兵法)
순자(荀子)
신감(申鑒)
신어(新語)
신자(愼子)
안자춘추(晏子春秋)
여씨춘추(呂氏春秋)
열자(列子)
염철론(鹽鐵論)
오자(吳子)
윤문자(尹文子)
잠부론(潛夫論)
장자(莊子)
포박자(抱朴子)
한비자(韓非子)
회남자(淮南子)
맹자(孟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논형(論衡)
묵자(墨子)
법언(法言)
상군서(商君書)
세설신어(世說新語)
손자병법(孫子兵法)
순자(荀子)
신감(申鑒)
신어(新語)
신자(愼子)
안자춘추(晏子春秋)
여씨춘추(呂氏春秋)
열자(列子)
염철론(鹽鐵論)
오자(吳子)
윤문자(尹文子)
잠부론(潛夫論)
장자(莊子)
포박자(抱朴子)
한비자(韓非子)
회남자(淮南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