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우리 고대의 문화와 영토에 대한 자부심

동사(東史)

제목
동사(東史)
저자
이종휘 저,김영심 역주,정재훈 역주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2-0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특징

번역문 구성
주석을 통해 연구성과 반영

제품소개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가 지은 역사책으로 기전체 형식에 따라 본기(本紀), 세가(世家), 열전(列傳), 연표(年表), 표(表), 지(志)로 구성되어 고조선과 삼한, 부여·고구려 계통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사 서술에서 최초로 '단군본기(檀君本紀)'를 설정한 점과 열전이나 지에서 드러나는 고구려 중심의 고대사 인식체계는 『동사(東史)』의 가장 큰 특징으로 우리 고대의 문화와 영토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본 제품에서는 이종휘의 문집 『수산집(修山集)』권 11~권13의 『동사(東史)』 부분과 함께 『동사(東史)』를 보완할 수 있는 권14의 『동국여지잡기』 「만필(漫筆)」 및 권6의 「사론(史論)」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김영심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책임연구원


저서 : 『역주 한국고대금석문』(공역) 『백제의 지방통치』(공저),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공저) 등


이종휘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이다. 병조참판을 지낸 정철(廷喆)의 아들이다. 집아이 소론에 속하였으며, 양명학을 받아들여 주자학과 대등하게 긍정하였다. 그의 개인적 기록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데, 1792년 사이에 공주에서 판관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관력이 분명하지 않다. 그가 지운 『동사』는 기전체로 쓰여진 고대사인데, 고조선과 삼한, 부여, 삼국, 고려까지를 소재로 한 통사적 저술이다. 1803년 간행된 그의 문집인 『수산집』에 포함되어 있다.

정재훈
서울대학교 규장각 책임연구원


주요논문 :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연구」,「조선전기 『대학』의 이해와 성학론」, 「청조학술과 조선성리학」등

수록내용

제1부 동사
제1장 본기(本紀)
제2장 세가(世家)
제3장 열전(列傳)
제4장 연표(年表)
제5장 지(志)

2부 동국여지잡기·만필·사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