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조명한 기념비적인 저작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 제목
-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 저자
- 이두 지음,홍상훈 역,이소영 역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8-0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중국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중국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은 이두(李斗)의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건륭, 가경嘉慶(1796∼1820) 연간의 가장 번성했던 양주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조명하여, 당시의 지리적 환경은 물론 각종 역사적 사건과 명승지, 문화, 풍속, 종교, 오락 등을 망라하여 백과사전적으로 세밀하게 기록해 놓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지역학은 물론 문학과 역사, 민속학, 건축 등 18∼19세기 양주(혹은 그것으로 대표되는 강남 지역)를 연구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제품입니다.
저자소개
이두
이소영
홍상훈
자(子)가 북유(北有)이고 호(號)는 애당(艾塘)이며, 청나라 때 강소(江蘇) 의징(儀徵) 사람으로, 제생(諸生) 출신이다. 희곡과 시, 음악, 수학에 두루 정통했던 그는 『세성기(歲星記)』와 『기산기(奇酸記)』라는 전기(傳奇)작품과 『애당곡록(艾塘曲錄)』을 남겼고, 무엇보다도 17~18세기 중국의 희곡과 공연 예술, 양주의 문화를 두루 기록한 필기집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을 편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 외의 시 작품들은 『영보당시집(永報堂詩集)』과 『방풍관시(防風館詩)』에 수록되어 있다.
이소영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중국문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전통시기 중국의 서면어와 글쓰기의 상관성 연구」, 「삼국연의 다시 읽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만화 맹자』, 『만화 노자』, 『서유기』(공역) 등이 있다.
홍상훈
1965년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중국문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인제대학교 조교수로 있다. 「고대 중국에서 서사 구조 변천의 특성」을 비롯한 20여 편의 논문 외에 지은 책으로는 『전통시기 중국의 서사론』, 『하늘의 나는 수레』, 『한시 읽기의 즐거움』, 『그래서 그들은 서천으로 갔다-서유기 다시 읽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서유기』(공역), 『두보율시』(공역), 『사귀의 노래-완역 이하 시집』, 『중국소설비평사략』, 『별과 우주의 문화사』, 『베이징』, 『손오공의 여행』 등이 있다.
수록내용
초하록 상/하
신성북록 상/중/하
성북록
성남록
성서록
소진회록
홍교록 상/하
교동록
교서록
강동록
강서록
촉강록
공단영조록
방편록
신성북록 상/중/하
성북록
성남록
성서록
소진회록
홍교록 상/하
교동록
교서록
강동록
강서록
촉강록
공단영조록
방편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