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예술적인 사진과 명쾌한 해설을 갖춘 사찰 순례서

범어사

제목
범어사
저자
채상식 저,서치상 저,김창균 저,김종섭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범어사의 가람 배치가 어떻게 화장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지를 자세히 알아보고, 불화와 불상, 석조 건축 등을 통해 역사적 의의를 되새기게 하는 이 책은 예술적인 사진과 명쾌한 해설을 갖춘 새로운 개념의 사찰 순례서라 할 수 있다.

저자소개

김종섭
대원사 사진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김창균
동국대학교 미술학과(불교미술 전공)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였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 문화체육부 문화재전문위원ㆍ문화재감정위원으로 김포공항 문화재감정관을 맡고 있으며,동국대학교와 강원대학교에 출강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청동은입사향완의 연구’ ‘동국여지승람과 조선 전기까지의 금속공예’ ‘불교공양구’ 등이 있다.

서치상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건축사를 전공하여 ‘조선왕조 원당사찰의 조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순천대학교 건축공학과 부교수이며,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역사학회, 문화재보존학회의 회원으로 활동중이다. 저서로는 『전라좌수영성의 복원적 고찰』, 『여천 흥국사의 건축』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한국불사건축의 히에로파니적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송광사의 복원에 관한 연구’, ‘원각사 창건공사에 관한 연구’ 등 여러 편이 있다.

수록내용

범어사의 가람 배치가 어떻게 화장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지를 자세히 소개

- 창사(創寺) 정신
- 창사 배경
- 의상과 화엄종
- 연혁
- 범어사의 주석 스님들
- 범어사의 경제적 배경
- 범어사와 근대 불교
- 가람 배치
- 상단의 건물
- 대웅전(大雄殿)
- 관음전(觀音殿)
- 일로향각(一爐香閣)
- 팔상(捌相)ㆍ독성(獨聖)ㆍ나한전(羅漢殿)
- 지장전(地藏殿)
- 산령각(山靈閣)
- 중단의 건물
- 보제루(普濟樓)
- 미륵전(彌勒殿)
- 비로전(毘盧殿)
- 심검당(尋劍堂)
- 종루(鐘樓)
- 하단의 건물
- 일주문(一柱門)
- 천왕문(天王門)
- 불이문(不二門)
- 선원(禪院)과 요사(寮舍)
- 원응방(圓應房)
- 금어선원(金魚禪院)
- 해행당(解行堂)
- 함홍당(含弘堂)
- 안심료(安心寮)
- 유물과 유적
- 불화(佛畵)
- 비로자나불회도(毘盧舍那佛會圖)
- 대웅전 석가모니 후불탱화(釋迦牟尼後佛幀?)
- 대웅전 삼장탱화(三藏幀?)
- 대웅전 신중탱화(神衆幀?)
- 관음전 관음탱화(觀音幀?)
- 나한전 석가모니 후불탱화(釋迦牟尼後佛幀?)
- 나한잔 나한탱화(羅漢幀?)
- 팔상전 석가모니 후불탱화(釋迦牟尼後佛幀?)
- 팔상전 팔상탱화(八相幀?)
- 독성전 독성탱화(獨聖幀?)
- 산령각 산신탱화(山神幀?)
- 불상(佛像)
- 대웅전 목조 석가모니 삼존불 좌상(釋迦牟尼三尊佛坐像)
- 나한전 소조(塑造) 석가모니 삼존불 좌상(釋迦牟尼三尊佛坐像)
- 나한전 소조(塑造) 16나한상(十六羅漢像)
- 팔상전 목조(木造) 석가모니 삼존불 좌상(釋迦牟尼三尊佛坐像)
- 관음전 목조(木造) 관세음보살 좌상(觀世音菩薩坐像)
- 미륵전 목조(木造) 미륵불 좌상(彌勒佛坐像)
- 비로전 목조(木造) 비로자나 삼존불 좌상(毘盧舍那三尊佛坐像)
- 지장전 지장 삼존상(地藏三尊像) 및 제상(諸相)
- 공예물(工藝物)
- 청동종(靑銅鐘)
- 금고(金鼓)
- 법고(法鼓)
- 목어(木魚)
- 운판(雲板)
- 목패(木牌)
- 석조 건축(石造建築)
- 3층석탑(三層石塔)
- 석등(石燈)
- 7층석탑(七層石塔)
- 기타 석조물(石造物)
- 당간지주(幢竿支柱)
- 괘불대(掛佛臺)
- 석제 수조(石製水槽)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