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 설명한 수덕사의 건축과 유물
수덕사

- 제목
- 수덕사
- 저자
- 고영섭 저,윤희상 저,유마리 저,박보하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수덕사의 역사와 건축, 유물을 100여 컷의 사진을 중심으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이 사진들 가운데 특히 『오가와 게이기찌 조사 문화재 자료』에 수록된 일제강점기(1937년) 때의 대웅전 수리 전·후의 모습과 당시 발견된 묵서명은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처음 공개되는 것이다. 선(禪)의 으뜸 사찰로 일컬어지는 수덕사는 그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배움과 덕성을 닦는 도량이다. 백제시대 창사 이래로 절 이름을 그대로 고수해오고 있는 수덕사는 수행과 분리될 수 없는 절이며, 때문에 이 곳은 경허선사와 만공선사, 그 이후의 많은 법자(法子)·법손(法孫)들로 이어지는 한국 근·현대 선불교의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다. 수덕사의 가장 대표적인 유물은 대웅전(국보 49호)이다. 이 건물은 남한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전통 건축물 5동 가운데 하나로, 1308년 건립되어 조선시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을 단위로 보수하였다. 그리고 고려시대 건축의 아름다운 곡선미를 자랑하는 수덕사 대웅전의 건축적인 미, 또 그 안에 장식된 여러 컷의 벽화 모사도는 고려시대 불교 문화의 정신까지도 읽을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 선불교계의 유명한 선사들에 대한 일례들은 선지종찰(禪之宗刹) 수덕사의 진면목을 독자들에게 보여줄 것이다.
저자소개
고영섭
박보하
유마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한국불교사 및 한국사상사 전공). 동국대, 서울대, 강원대, 한림대 등에서 강의하였고, 현재는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강의하면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는『한국불학사』, 『원효, 한국사상의 새벽』, 『문아(원측)대사』,『 원효탐색』,『 수덕사』(공저),『 새천년에 부르는 석굴암 관세음』등 다수가 있다.
박보하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으며 세 번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을 가졌다. 1993년『월간 사진 예술』에서 주최하는 올해의 사진가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에는『Korean Culture』사진 촬영으로 한국일보에서 주관하는 한국출판문화상 사진예술상을 수상하였다. 한국의 전통 문화를 주제로 한 사진들을 주로 촬영하고 있다.
유마리
홍익대학교 대학원(문학석사)과 동국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 불교미술사전공)을 졸업했으며 파리4대학(소르본느)에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D.E.A: 동양미술사 전공). 국립중앙박물관 재직시 프랑스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파리 기메국립동양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연구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를 거쳐 현재 궁중유물전시관 전시과장으로 재직중이다.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수록내용
수덕사의 역사와 건축, 유물 등을 사진과 함께 자세한 설명 수록
- 선의 으뜸 사찰, 수덕사
- 연혁
- 창사의 정신
- 덕을 받드는 산
- 학덕을 닦는 도량
- 혜현법사의 주석 도량
- 수덕사 창건 연기 설화
- 중창의 역사
- 고려 말 조선 초의 수덕사
- 조선 중기 이후의 수덕사
- 1937년의 대웅전 해체ㆍ복원 공사
- 수덕사의 고승
- 경허와 만공 그리고 하엽(일엽)
- 교구 본사 및 덕숭총림 승격 뒤의 중흥 불사
- 건축
- 수덕사의 가람 배치
- 도입부
- 전개부
- 결말부
- 수덕사 대웅전
- 대웅전의 공간 구성
- 대웅전 건축 구조 및 의장
- 가구
- 고려시대의 건축과 수덕사 대웅전
- 공포 형식의 변화
- 구조 형식의 전개
- 장식과 의장
- 공포 형식의 계통
- 유물
- 불화
- 괘불탱
-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 후불탱화
- 대웅전 삼세불회 후불탱화
- 대웅전 벽화 모사도
- 불상
- 대웅전 삼세불좌상
- 항운각 석조관음보살입상
- 불구
- 종
- 대웅전 동종
- 범종각 범종
- 범고각 범고ㆍ목어ㆍ운판
- 석탑
- 3층석탑
- 7층석탑
- 만공탑
- 근역성보관
- 수덕사 출토 유물
- 수덕사 및 말사 유물
- 문수사 금동아미타불 복장 유물 일괄
- 고승유품관
- 수덕사 가는 길
- 참고 문헌
- 선의 으뜸 사찰, 수덕사
- 연혁
- 창사의 정신
- 덕을 받드는 산
- 학덕을 닦는 도량
- 혜현법사의 주석 도량
- 수덕사 창건 연기 설화
- 중창의 역사
- 고려 말 조선 초의 수덕사
- 조선 중기 이후의 수덕사
- 1937년의 대웅전 해체ㆍ복원 공사
- 수덕사의 고승
- 경허와 만공 그리고 하엽(일엽)
- 교구 본사 및 덕숭총림 승격 뒤의 중흥 불사
- 건축
- 수덕사의 가람 배치
- 도입부
- 전개부
- 결말부
- 수덕사 대웅전
- 대웅전의 공간 구성
- 대웅전 건축 구조 및 의장
- 가구
- 고려시대의 건축과 수덕사 대웅전
- 공포 형식의 변화
- 구조 형식의 전개
- 장식과 의장
- 공포 형식의 계통
- 유물
- 불화
- 괘불탱
-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 후불탱화
- 대웅전 삼세불회 후불탱화
- 대웅전 벽화 모사도
- 불상
- 대웅전 삼세불좌상
- 항운각 석조관음보살입상
- 불구
- 종
- 대웅전 동종
- 범종각 범종
- 범고각 범고ㆍ목어ㆍ운판
- 석탑
- 3층석탑
- 7층석탑
- 만공탑
- 근역성보관
- 수덕사 출토 유물
- 수덕사 및 말사 유물
- 문수사 금동아미타불 복장 유물 일괄
- 고승유품관
- 수덕사 가는 길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