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세의 바이블, 한국 최초 완역본
관자

- 제목
- 관자
- 저자
- 김필수 역,고대혁 역,장승구 역,신창호 역
- 발행처
- 소나무
- 발행년도
- 2010-11-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특징
관자 원문과 설명문 동시 수록(설명문 하단에 원문수록)
원문은 24권이나, 1권으로 묶어 출판된 제품
원문은 24권이나, 1권으로 묶어 출판된 제품
제품소개
관자는 유교나 도가의 고전에 비해 실용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는 경세서로, 중국 춘추전국 시대의 대표적 고전 중 하나이면서도 논어, 맹자, 노자, 장자, 한비자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습니다. 순수한 도덕이나 이상적 철학에 대한 내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다른 고전들과는 달리 관자는 도덕과 철학을 바탕으로 한 경제, 정치, 법학, 외교, 행정, 군사, 교육 등 경세와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관자는 고대 중국의 학술과 사상의 백과사전이자 경세의 바이블로, 이 도서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것이다. 중국 5천년 역사에서 최고의 정치가로 꼽히는 관자가 춘추전국의 오랜 전쟁과 혼란 속에서 터득한 경영의 노하우를 전해주고 있는데, 군주가 어떻게 국가를 잘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즉 다양한 종류의 조직을 경영하는 CEO들이 어떻게 조직과 시스템을 관리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관자는 고대 중국의 학술과 사상의 백과사전이자 경세의 바이블로, 이 도서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것이다. 중국 5천년 역사에서 최고의 정치가로 꼽히는 관자가 춘추전국의 오랜 전쟁과 혼란 속에서 터득한 경영의 노하우를 전해주고 있는데, 군주가 어떻게 국가를 잘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즉 다양한 종류의 조직을 경영하는 CEO들이 어떻게 조직과 시스템을 관리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수록내용
전체 24권 86편 수록
1067개 주석 수록
1067개 주석 수록
목차
- 해제 - 관자라는 인물과 사상 - 그리고 문헌
- 일러두기
- 제1편 목민牧民 - 정치의 근본 원리
- 제2편 형세形勢 - 위정자의 자세와 통치 방법
- 제3편 권수權修 -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
- 제4편 입정立政 - 정무政務의 주요 사항
- 제5편 승마乘馬 - 국가 기본 정책의 수립
- 제6편 칠법七法 - 군사와 용병 전략
- 제7편 판법版法 - 정치의 요체
- 제8편 유관幼官 - 군주의 일상생활과 정치
- 제9편 유관도幼官圖 - 군주의 일상생활과 정치에 대한 도해圖解
- 제10편 오보五輔 - 정치에 요구되는 다섯 가지 조목
- 제11편 주합宙合 - 천지 만물의 조화 법칙
- 제12편 추언樞言 - 정치의 관건關鍵
- 제13편 팔관八觀 - 국정을 판단하는 여덟 가지 방법
- 제14편 법금法禁 - 법으로 금해야 할 행태
- 제15편 중령重令 - 명령의 중시
- 제16편 법법法法 - 법의 제정과 시행
- 제17편 병법兵法 - 군대를 다스리는 방법
- 제18편 대광大匡 - 군주를 보좌하는 방법 (1)
- 제19편 중광中匡 - 군주를 보좌하는 방법 (2)
- 제20편 소광小匡 - 군주를 보좌하는 방법 (3)
- 제21편 왕언王言(亡)
- 제22편 패형覇形 - 패도 정치의 규모와 형세
- 제23편 패언覇言 - 패업과 왕도의 형세
- 제24편 문問 - 국정 자문의 원칙과 내용
- 제25편 모실謀失(亡)
- 제26편 계戒 - 정치에서 경계할 사항
- 제27편 지도地圖 - 지형과 용병술
- 제28편 참환參患 - 내우외환內憂外患에 대한 경계와 군대 운용
- 제29편 제분制分 - 명분과 등급의 제정
- 제30편 군신君臣 상上 - 군주와 신하의 도리 (1)
- 제31편 군신君臣 하下 - 군주와 신하의 도리 (2)
- 제32편 소칭小稱 - 수신修身의 방법과 중요성
- 제33편 사칭四稱 - 정치 지도자의 네 가지 모습
- 제34편 정언正言 (亡)
- 제35편 치미侈靡 - 경기 부양의 조건
- 제36편 심술心術 상上 - 마음의 기능과 수양 방법 (1)
- 제37편 심술心術 하下 - 마음의 기능과 수양 방법 (2)
- 제38편 백심白心 - 마음의 함양과 심령의 정화
- 제39편 수지水地 - 수성水性과 심성心性의 형성
- 제40편 사시四時 - 계절에 따른 정치 방법
- 제41편 오행五行 - 오행의 원리와 정치
- 제42편 세勢 - 군사 전략의 원칙
- 제43편 정正 - 정치의 사명
- 제44편 구변九變 - 전쟁에서 용감히 싸우는 까닭
- 제45편 임법任法 - 법 운용의 원칙
- 제46편 명법明法 - 법치의 확립
- 제47편 정세正世 - 세상을 바로잡는 방법
- 제48편 치국治國 -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
- 제49편 내업內業 - 마음을 수양하는 방법
- 제50편 봉선封禪 - 제례 의식의 중요성
- 제51편 소문小問 - 다양한 문답과 지혜
- 제52편 칠신칠주七臣七主 - 군주와 신하의 일곱 유형
- 제53편 금장禁藏 - 군주의 통치 전략
- 제54편 입국入國 - 복지 정책의 방향과 원칙
- 제55편 구수九守 - 정치 지도자의 집정 원칙
- 제56편 환공문桓公問 - 현명한 군주의 조건
- 제57편 탁지度地 - 토목 공사와 치수 방법
- 제58편 지원地員 - 토양의 등급과 물산
- 제59편 제자직弟子職 - 학생들이 지켜야 하는 법도
- 제60편 언소言昭 (亡)
- 제61편 수신修身(亡)
- 제62편 문패問覇(亡)
- 제63편 목민해牧民解(亡)
- 제64편 형세해形勢解 -『형세形勢』편의 해설
- 제65편 입정구패해立政九敗解 -『입정구패立政九敗』편의 해설
- 제66편 판법해版法解 -『판법』편의 해설
- 제67편 명법해明法解 -『명법』편의 해설
- 제68편 광승마匡乘馬 - 계획에 의한 경제 관리
- 제69편 승마수乘馬數 - 경제 운용 정책
- 제70편 문승마問乘馬(亡)
- 제71편 사어事語 -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과 전략
- 제72편 해왕海王 - 바다와 산림 자원의 중요성
- 제73편 국축國蓄 - 나라의 재정 축적 관리와 물가 조절 정책
- 제74편 산국궤山國軌 - 국가 생산물의 통계
- 제75편 산권수山權數 - 재화의 운용 원리
- 제76편 산지수山至數 - 재화 운용 정책
- 제77편 지수地數 - 자연자원의 이용 정책
- 제78편 규탁揆度 - 물가 조절과 정책
- 제79편 국준國准 - 국가의 균형 정책
- 제80편 경중輕重 갑甲 - 물가 조절 정책 (1)
- 제81편 경중輕重 을乙 - 물가 조절 정책 (2)
- 제82편 경중輕重 병丙 (亡)
- 제83편 경중輕重 정丁 - 물가 조절 정책 (3)
- 제84편 경중輕重 무戊 - 물가 조절 정책 (4)
- 제85편 경중輕重 기己 - 물가 조절 정책 (5)
-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