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투장과 민족 통일에 일생을 바친 참선비
심산 김창숙 평전

- 제목
- 심산 김창숙 평전
- 저자
- 김삼웅 저
- 발행처
- 시대의창
- 발행년도
- 2014-07-0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심산 김창숙 평전』은 심산의 업적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다음 그의 출생과 성장, 독립 전후의 활동상을 세밀하게 추적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까지 신념을 지켜나가는 심산 김창숙의 올곧은 선비정신을 느낄 수 있다.
저자소개
김삼웅
정치평론가이다. <민주전선> <평민신문> <민주신문> 등 진보적인 매체에서 오랫동안 일했고, 일간지 <대한매일신보(현 서울신문)>에서 주필로도 활동했다. 제7대 독립기념관장,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고,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단재 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이사를 비롯해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조사위원회 자문위원, 《친일인명사전》편찬 자문위원 등도 맡았다.
저서로《친일정치 100년사》《곡필로 본 해방 50년》《한국 필화사》《위서》《금서》《한국현대사바로잡기》《을사늑약 1905》《통일론 수난사》《일제는 조선을 얼마나 망쳤을까》《종교, 근대의 길을 묻다》《서대문형무소 근현대사》《단재 신채호 평전》《백범 김구 평전》《심산 김창숙 평전》《녹두 전봉준 평전》《안중근 평전》《약산 김원봉 평전》《장준하 평전》《죽산 조봉암 평전》등이 있다.
저서로《친일정치 100년사》《곡필로 본 해방 50년》《한국 필화사》《위서》《금서》《한국현대사바로잡기》《을사늑약 1905》《통일론 수난사》《일제는 조선을 얼마나 망쳤을까》《종교, 근대의 길을 묻다》《서대문형무소 근현대사》《단재 신채호 평전》《백범 김구 평전》《심산 김창숙 평전》《녹두 전봉준 평전》《안중근 평전》《약산 김원봉 평전》《장준하 평전》《죽산 조봉암 평전》등이 있다.
수록내용
한국의 ‘마지막 선비’ 그 저항의 불꽃, 출생과 학문의 도정, 「파리장서」 주도, 앉은뱅이 되도록 고문받아, 성균관대학을 설립하다, 이승만의 폭정에 맞서다, 고독한 선비의 길 등과 함께 32면의 화보 수록
- 화보
- 일러두기
- 책 머리에
- 제1장 한국의‘마지막 선비’그 저항의 불꽃
- ‘마지막 선비’김창숙
- 을사늑약 체결에 분노하다
- 「파리장서」사건을 주도하다
- 중국에서 벌인 항일 구국 투쟁
- 나석주 의사의 거사와 피체
- ‘단정수립반대운동’과 성균관 복원
- 노구 이끌고 반독재 투쟁 선봉에
- 조선 선비의 상징으로
- 제2장 출생과 학문의 도정
- 한미한 가정의 고집이 센 아이
- 방종한 생활 접고 학문의 길에
- 한주학파와 남명학파 세례받아
- 제3장 기우는 나라 붙들고자 발버둥
- 단연회 조직과 국채보상운동
- 역적을 치지 않는 사람도 역적이다
- 일제 헌병대에 끌려가 협박당하고
- 고향에 사립학교 세워 민중교육
- 제4장 「파리장서」주도
- 좌절과 통음의 세월
- 「파리장서」휴대하고 망명길에
- 파리행 중단하고 상해 체류
- 제5장 중국에서 독립운동과 국내 잠입활동
-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
- 제1, 2차 유림단 사건 주도
- 비밀결사 신건동맹단 조직
- 나석주 의거 주도하다
- 제6장 앉은뱅이 되도록 고문받아
- 왜경에 피체되어‘환국’
- 생사를 뛰어넘은 옥중 투쟁
- 무기 구형에 14년 징역 선고
- 대전 형무소에서 옥중 투쟁
- 『일선융화론』읽고 산산히 찢어
- 제7장 7년 만에 석방되어 시작詩作으로 울분 달래
- 백양사에서 수양
- 백양사 시절의 우국 시편
- 제8장 암흑기에 외롭게 지킨 고절
- 거대 감옥으로 변한 조선 천지
- 어머님 묘소 앞에서 3년 추상
- 창씨개명 거부하며 저항
- 선비의 길, 지절의 길
- 둘째 아들, 망명중 불귀객
- 제9장 해방은 되었지만 새 압제는 시작되고
- 암흑천지에 새날이 오다
- 그때‘그들’은 어디에 있었나?
- 옥중에서 맞은 해방의 소식
- 행정권 이양받은 여운형 만나
- 남한의 군정 수립과 신탁통치안
- 다시 만난 이승만에 실망
- 제10장 찬반탁의 격랑 속에서
- 임정 요인 위문받고 임정의 건국 노선 지지
- 정파에 초연하면서 반탁운동에 앞장서다
- 공산당 질타와 반탁 담화 발표
- 이승만과 갈등 관계 심화
- 미·소공위 관련 외로운 투쟁
- 제11장 성균관대학을 설립하다
- 유림의 친일·부패 세력 숙정
- 유림계 설득하여 유학대학 설립
- 젊어서 싹튼 교육사상
- 제12장 분단과 단정체제 굳어지고
- 이승만 단정 수립 충격 발언
- 남북협상론 제기와 한국전쟁 예언
- 북행길 김구 만나 평양회담 조언
- 제13장 이승만의 폭정에 맞서다
- 반분단 반독재 투쟁의 선봉
- 윤봉길 의사 14주기 추념사와 두 개의 정부
- 김구의 서거와‘반귀거래사’
-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 이 대통령「하야 경고문」으로 투옥
- 제14장 고독한 선비의 길
- 남들이 가지 않는 길
- 경무대에 친서 보내 이승만 질타
- 성균관대학에서 쫓겨나
- 이승만 타도에 온 몸 던져
- 청빈한 실천 유학의 표상으로
- 제15장 4월 혁명 뒤로 하고 백발청안 지사 영면하다
- 마침내 쟁취한 4월 혁명
- 꽃도 십자가도 없는 무덤
- 사회장으로 영결식 거행
- 후세 학자들의 평가
- 심산 선생 일화逸話
- 심산 선생 비문과 조가
- 연보
- 심산 관련 참고 문헌
- 화보
- 일러두기
- 책 머리에
- 제1장 한국의‘마지막 선비’그 저항의 불꽃
- ‘마지막 선비’김창숙
- 을사늑약 체결에 분노하다
- 「파리장서」사건을 주도하다
- 중국에서 벌인 항일 구국 투쟁
- 나석주 의사의 거사와 피체
- ‘단정수립반대운동’과 성균관 복원
- 노구 이끌고 반독재 투쟁 선봉에
- 조선 선비의 상징으로
- 제2장 출생과 학문의 도정
- 한미한 가정의 고집이 센 아이
- 방종한 생활 접고 학문의 길에
- 한주학파와 남명학파 세례받아
- 제3장 기우는 나라 붙들고자 발버둥
- 단연회 조직과 국채보상운동
- 역적을 치지 않는 사람도 역적이다
- 일제 헌병대에 끌려가 협박당하고
- 고향에 사립학교 세워 민중교육
- 제4장 「파리장서」주도
- 좌절과 통음의 세월
- 「파리장서」휴대하고 망명길에
- 파리행 중단하고 상해 체류
- 제5장 중국에서 독립운동과 국내 잠입활동
-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
- 제1, 2차 유림단 사건 주도
- 비밀결사 신건동맹단 조직
- 나석주 의거 주도하다
- 제6장 앉은뱅이 되도록 고문받아
- 왜경에 피체되어‘환국’
- 생사를 뛰어넘은 옥중 투쟁
- 무기 구형에 14년 징역 선고
- 대전 형무소에서 옥중 투쟁
- 『일선융화론』읽고 산산히 찢어
- 제7장 7년 만에 석방되어 시작詩作으로 울분 달래
- 백양사에서 수양
- 백양사 시절의 우국 시편
- 제8장 암흑기에 외롭게 지킨 고절
- 거대 감옥으로 변한 조선 천지
- 어머님 묘소 앞에서 3년 추상
- 창씨개명 거부하며 저항
- 선비의 길, 지절의 길
- 둘째 아들, 망명중 불귀객
- 제9장 해방은 되었지만 새 압제는 시작되고
- 암흑천지에 새날이 오다
- 그때‘그들’은 어디에 있었나?
- 옥중에서 맞은 해방의 소식
- 행정권 이양받은 여운형 만나
- 남한의 군정 수립과 신탁통치안
- 다시 만난 이승만에 실망
- 제10장 찬반탁의 격랑 속에서
- 임정 요인 위문받고 임정의 건국 노선 지지
- 정파에 초연하면서 반탁운동에 앞장서다
- 공산당 질타와 반탁 담화 발표
- 이승만과 갈등 관계 심화
- 미·소공위 관련 외로운 투쟁
- 제11장 성균관대학을 설립하다
- 유림의 친일·부패 세력 숙정
- 유림계 설득하여 유학대학 설립
- 젊어서 싹튼 교육사상
- 제12장 분단과 단정체제 굳어지고
- 이승만 단정 수립 충격 발언
- 남북협상론 제기와 한국전쟁 예언
- 북행길 김구 만나 평양회담 조언
- 제13장 이승만의 폭정에 맞서다
- 반분단 반독재 투쟁의 선봉
- 윤봉길 의사 14주기 추념사와 두 개의 정부
- 김구의 서거와‘반귀거래사’
-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 이 대통령「하야 경고문」으로 투옥
- 제14장 고독한 선비의 길
- 남들이 가지 않는 길
- 경무대에 친서 보내 이승만 질타
- 성균관대학에서 쫓겨나
- 이승만 타도에 온 몸 던져
- 청빈한 실천 유학의 표상으로
- 제15장 4월 혁명 뒤로 하고 백발청안 지사 영면하다
- 마침내 쟁취한 4월 혁명
- 꽃도 십자가도 없는 무덤
- 사회장으로 영결식 거행
- 후세 학자들의 평가
- 심산 선생 일화逸話
- 심산 선생 비문과 조가
- 연보
- 심산 관련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