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47]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제목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47]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저자
차승기 외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8-0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이 책은 와타나베 나오키를 중심으로 2006년 봄부터 현재까지 도쿄의 무사시대학에서 계속되어 온 ‘인문평론연구회’의 결코 짧지 않은 탐구의 연구 성과이다. 수록된 글의 상당수는 일본, 캐나다에서의 학술회의와 각 저자의 연구 활동 공간에서 이미 여러 언어로 발표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성과를 번역하고 수정하여 한 자리에 모으는 일이 저자에게나 학계에 ‘식민지 말 조선문화’ 연구의 변폭들을 확인시켜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의미들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식민지 말의 문학 및 문화현상과 관련된 전체 4부 13편의 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 '전시(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에서는 주로 식민지 말의 문학 및 사상의 전체상을 조망한 글들, 특히 ‘협력의 논리 및 윤리’와 관련된 글들이다. ‘식민지 말’이라는 시대 표지는 흔히 중일전쟁 이후의 전시 체제, ‘비상사태(예외상태)’라는 비결정성/초결정성의 세계에 대한 파악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기능하곤 한다. 제2부 '세계ㆍ제국ㆍ로컬-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에서는 주로 제국문화의 위계 및 소수자문학의 네트워크를 논한 글들이다. 세계와 제국의 위계에 의해 생겨나는 번역의 정치, 인종 문제, 소수자 문학의 문제들을 논하고 있다. 제3부 '시학ㆍ정치ㆍ자본-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에는 국민문학의 기치 아래 창작된 실제적 창작물들과 그것이 유통되는 방식에 대해 논한 글들이다. 제4부 '미디어ㆍ표상ㆍ국민문화'에는 식민지 말의 프로파간다 영화 및 국민연극을 다룬 두 편의 글과 식민지기에 형성된 문화적 표상들이 후기 식민지라는 상이한 문화적 장 안으로 귀환되는 방식을 다룬 글 한 편이 실려 있다.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일본, 미국 등지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문학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연구 성과가 거듭 발표되고 있다.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지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모여 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 연구, 식민지 말 문화 현상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부 전시(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_ 차승기

최재서의 Order _ 미하라 요시아키[三原芳秋], 홍종욱 역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과 ‘만주’ : ‘협화’의 서사와 ‘재발명된 농본주의’ _ 와타나베 나오키

제2부 세계·제국·로컬―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

제국 일본과 번역(없는) 정치 : 루쉰·룽잉쭝·김사량, ‘아큐(阿Q)’적 삶과 주권 _ 황호덕

일그러진 동심 :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조이 코가와의 『오바상』에 그려진 인종차별의 문제 _ 테드 구센(Ted Goossen), 이주연 역

제국, 민족, 그리고 소수자 작가 : 식민지 사소설과 식민지인 재현 난제 _ 권나영, 정재원 역

제3부 시학, 정치, 자본―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

일제 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 시의 전개과정 _ 김응교

김종한(金鍾漢)의 전향(轉向) 과정에 대하여 _ 심원섭

일제시대 마해송의 행적과 일본잡지 : 기쿠치 간, 『모던니혼』, 조선예술상을 중심으로 _ 곽형덕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_ 이종호

제4부 미디어, 표상, 국민문화

프로파간다 영화에 나타난 젠더와 국가 : 『사무라이의 딸』과 『망루의 결사대』를 중심으로 _ 이주연

식민지 조선의 국민 연극 연구 : 조선연극문화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_ 이재명

무법과 범법, 쿠데타 이후의 주먹들 : 1960년대 한국 액션영화의 두 계열 _ 이영재

저자 ㆍ 역자 소개(게재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