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정치이념의 중심지
경복궁

- 제목
- 경복궁
- 저자
- 이강근 저,이강근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경복궁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경복궁의 배치 계획을 역사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각 건물의 내용과 형식의 변천, 궁궐 건축의 설계와 조선왕조의 궁정 문화와 양반 관료 문화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소개
이강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예술학과에서 미술사를 전공,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이며 한국미술사학회 이사이다. 저술로『한국의 궁궐』과 주요 논문으로「경복궁에 관한 건축사적 연구」「경희궁의 역사」「동문선과 고려시대의 건축」「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전기까지의 건축」「17세기 불전의 장엄에 관한 연구」「조선왕조의 신전 종묘」「화엄사의 불전과 17세기의 재건역」「불국사의 불전과 18세기의 재건역」「조선 후기 불교건축의 전통과 신조류」등 여러 편이 있다.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예술학과에서 미술사를 전공,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이며 한국미술사학회 이사이다. 저술로『한국의 궁궐』과 주요 논문으로「경복궁에 관한 건축사적 연구」「경희궁의 역사」「동문선과 고려시대의 건축」「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전기까지의 건축」「17세기 불전의 장엄에 관한 연구」「조선왕조의 신전 종묘」「화엄사의 불전과 17세기의 재건역」「불국사의 불전과 18세기의 재건역」「조선 후기 불교건축의 전통과 신조류」등 여러 편이 있다.
수록내용
궁궐 건축의 설계와 조선왕조의 궁정 문화와 양반 관료 문화의 성격
- 머리말
- 창건 경복궁
- 추정 배치안
- 배치의 원리와 사상
- 법궁 체재의 완성
- 태종 대의 보완
- 세종 대의 완비
- 법궁의 발전과 소실
- 법궁의 발전
- 명종 대의 소실과 중건
- 임진왜란에 의한 소실
- 중건
- 고종 이전의 중건 논의
- 중건 이전의 경복궁 현황
- 문헌 기록으로 본 모습
- 궁궐 그림으로 본 모습
- 고종 대의 중건
- 중건 과정
- 전각 구성과 배치 형식
- 전각 구성
- 배치 계획과 원리
- 형식적 특징
- 경복궁의 수난
- 발굴과 복원
- 조선총독부 청사의 철거
- 복원 계획과 시행
- 발굴 과정과 앞선 시기의 유구
- 경복궁의 건축
- 고종조 중건 경복궁의 각 영역
- 치조
- 정전 일곽
- 편전 일곽
- 경회루 일곽
- 동궁 일곽
- 연조
- 침전 일곽
- 자전 일곽
- 후궁 일곽
- 외조
- 별전
- 진전
- 혼전
- 빈전
- 내명부와 내시부
- 원유
- 과학 시설
- 궁성, 궁성문, 각루
- 맺음말
- 머리말
- 창건 경복궁
- 추정 배치안
- 배치의 원리와 사상
- 법궁 체재의 완성
- 태종 대의 보완
- 세종 대의 완비
- 법궁의 발전과 소실
- 법궁의 발전
- 명종 대의 소실과 중건
- 임진왜란에 의한 소실
- 중건
- 고종 이전의 중건 논의
- 중건 이전의 경복궁 현황
- 문헌 기록으로 본 모습
- 궁궐 그림으로 본 모습
- 고종 대의 중건
- 중건 과정
- 전각 구성과 배치 형식
- 전각 구성
- 배치 계획과 원리
- 형식적 특징
- 경복궁의 수난
- 발굴과 복원
- 조선총독부 청사의 철거
- 복원 계획과 시행
- 발굴 과정과 앞선 시기의 유구
- 경복궁의 건축
- 고종조 중건 경복궁의 각 영역
- 치조
- 정전 일곽
- 편전 일곽
- 경회루 일곽
- 동궁 일곽
- 연조
- 침전 일곽
- 자전 일곽
- 후궁 일곽
- 외조
- 별전
- 진전
- 혼전
- 빈전
- 내명부와 내시부
- 원유
- 과학 시설
- 궁성, 궁성문, 각루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