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9] 역주 악서 3 : 상서훈의ㆍ춘추훈의ㆍ주역훈의ㆍ효경훈의ㆍ논어훈의ㆍ맹자훈의

제목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9] 역주 악서 3 : 상서훈의ㆍ춘추훈의ㆍ주역훈의ㆍ효경훈의ㆍ논어훈의ㆍ맹자훈의
저자
진양 외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5-08-1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지금으로부터 약 천 년 전인 1103년, 진양은 40여 년에 걸쳐 쓴 역작 『악서(樂書)』를 송나라 휘종에게 바친다. 200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걸작은 『예기』, 『논어』, 『맹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한 훈의(訓義) 95권과 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사항을 서술한 악도론(樂道論) 10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악도론은 12율ㆍ5성ㆍ8음과 같은 음악이론과 함께, 한족(漢族)과 중국 주변민족의 악가무 전반에 대한 정보 및 예악제도를 그림과 함께 상세히 밝혀놓았다. 권158 호부(胡部)의 가(歌) 항목에는 신라ㆍ백제ㆍ고려 등의 항목이 따로 있어 고대 한민족 음악의 편린 또한 엿볼 수 있다. 나아가 조선 세종대(1418~1450)에 아악(雅樂)을 정비할 때, 『주례』『율려신서』 등과 더불어 『악서』를 많이 참조했으므로, 이 책이 우리 음악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천년에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 역자 조남권과 김종수는 동양철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판본을 비교 분석하여 마침내 『악서』의 훈의 95권에 대한 역서를 세상에 내놓았다. 역자는 『악서』를 현대적 시각으로 마주한 『역주 악서』를 통해 예악을 대하는 진양의 경건한 마음과 철학을 생생하게 복원해내며, 세월을 거스르는 깨달음과 감동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수록내용

●상서훈의

권 75 상서훈의(尙書訓義)

권 76 상서훈의(尙書訓義)

권 77 상서훈의(尙書訓義)

권 78 상서훈의(尙書訓義)

권 79 상서훈의(尙書訓義)

권 80 상서훈의(尙書訓義)

●춘추훈의

권 81 춘추훈의(春秋訓義) : 은공(隱公)ㆍ장공(莊公)ㆍ문공(文公)ㆍ선공(宣公)ㆍ소공(昭公)

●주역훈의

권 82 주역훈의(周易訓義) : 수(需)ㆍ사(師)ㆍ예(豫)ㆍ비(比)

권 83 주역훈의(周易訓義) : 감(坎)ㆍ이(離)ㆍ췌(萃)ㆍ승(升)ㆍ기제(旣濟)ㆍ계사(繫辭)

●효경훈의

권 84 효경훈의(孝經訓義) : 삼재(三才)ㆍ기효행(紀孝行)ㆍ광요도(廣要道)

●논어훈의

권 85 논어훈의(論語訓義) : 팔일(八日)

권 86 논어훈의(論語訓義) : 팔일(八日)ㆍ술이(述而)ㆍ태백(泰伯)

권 87 논어훈의(論語訓義) ; 태백(泰伯)ㆍ선진(先進)

권 88 논어훈의(論語訓義) : 선진(先進)ㆍ자로(子路)ㆍ헌문(憲問)

권 89 논어훈의(論語訓義) : 위령공(衛靈公)ㆍ계씨(季氏)ㆍ양화(陽貨)

권 90 논어훈의(論語訓義) : 양화(陽貨)ㆍ미자(微子)

●맹자훈의

권 91 맹자훈의(孟子訓義) : 양혜왕 상ㆍ하(梁惠王上下)

권 92 맹자훈의(孟子訓義) : 양혜왕 하(梁惠王下)

권 93 맹자훈의(孟子訓義) : 이루 상(離婁上)

권 94 맹자훈의(孟子訓義) : 이루 하(離婁下)ㆍ만장 상(萬章上)ㆍ만장 하(萬章下)

권 95 맹자훈의(孟子訓義) : 고자(告子)ㆍ진심 상(盡心上)ㆍ진심 하(盡心下)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