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8] 역주 악서 2 : 주례훈의ㆍ의례훈의ㆍ시훈의

- 제목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8] 역주 악서 2 : 주례훈의ㆍ의례훈의ㆍ시훈의
- 저자
- 진양 외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8-1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예술 > 음악
제품소개
지금으로부터 약 천 년 전인 1103년, 진양은 40여 년에 걸쳐 쓴 역작 『악서(樂書)』를 송나라 휘종에게 바친다. 200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걸작은 『예기』, 『논어』, 『맹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한 훈의(訓義) 95권과 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사항을 서술한 악도론(樂道論) 10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악도론은 12율ㆍ5성ㆍ8음과 같은 음악이론과 함께, 한족(漢族)과 중국 주변민족의 악가무 전반에 대한 정보 및 예악제도를 그림과 함께 상세히 밝혀놓았다. 권158 호부(胡部)의 가(歌) 항목에는 신라ㆍ백제ㆍ고려 등의 항목이 따로 있어 고대 한민족 음악의 편린 또한 엿볼 수 있다. 나아가 조선 세종대(1418~1450)에 아악(雅樂)을 정비할 때, 『주례』『율려신서』 등과 더불어 『악서』를 많이 참조했으므로, 이 책이 우리 음악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천년에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 역자 조남권과 김종수는 동양철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판본을 비교 분석하여 마침내 『악서』의 훈의 95권에 대한 역서를 세상에 내놓았다. 역자는 『악서』를 현대적 시각으로 마주한 『역주 악서』를 통해 예악을 대하는 진양의 경건한 마음과 철학을 생생하게 복원해내며, 세월을 거스르는 깨달음과 감동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수록내용
●주례훈의
권37 주례훈의(周禮訓義)
권38 주례훈의(周禮訓義)
권39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0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1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2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3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4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5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6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7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8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9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0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1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2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3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4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5 주례훈의(周禮訓義)
●의례훈의
권56 의례훈의(儀禮訓義) : 향음주례(鄕飮酒禮)
권57 의례훈의(儀禮訓義)
권58 의례훈의(儀禮訓義) : 향사례(鄕射禮)
권59 의례훈의(儀禮訓義)
권60 의례훈의(儀禮訓義) : 대사의(大射儀)
●시훈의
권61 시훈의(詩訓義)
권62 시훈의(詩訓義)
권63 시훈의(詩訓義)
권64 시훈의(詩訓義)
권65 시훈의(詩訓義)
권66 시훈의(詩訓義)
권67 시훈의(詩訓義)
권68 시훈의(詩訓義)
권69 시훈의(詩訓義)
권70 시훈의(詩訓義)
권71 시훈의(詩訓義)
권72 시훈의(詩訓義)
권73 시훈의(詩訓義)
권74 시훈의(詩訓義)
●부록
권37 주례훈의(周禮訓義)
권38 주례훈의(周禮訓義)
권39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0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1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2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3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4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5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6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7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8 주례훈의(周禮訓義)
권49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0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1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2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3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4 주례훈의(周禮訓義)
권55 주례훈의(周禮訓義)
●의례훈의
권56 의례훈의(儀禮訓義) : 향음주례(鄕飮酒禮)
권57 의례훈의(儀禮訓義)
권58 의례훈의(儀禮訓義) : 향사례(鄕射禮)
권59 의례훈의(儀禮訓義)
권60 의례훈의(儀禮訓義) : 대사의(大射儀)
●시훈의
권61 시훈의(詩訓義)
권62 시훈의(詩訓義)
권63 시훈의(詩訓義)
권64 시훈의(詩訓義)
권65 시훈의(詩訓義)
권66 시훈의(詩訓義)
권67 시훈의(詩訓義)
권68 시훈의(詩訓義)
권69 시훈의(詩訓義)
권70 시훈의(詩訓義)
권71 시훈의(詩訓義)
권72 시훈의(詩訓義)
권73 시훈의(詩訓義)
권74 시훈의(詩訓義)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