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의 보고, 중의학 본초 총망라
중국본초도감

- 제목
- 중국본초도감
- 저자
- 중국본초도감 편찬위원회 저,동국대 한의대 본초학회 역
- 발행처
- 여강출판사
- 발행년도
- 2001-08-0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의학 - [KRpia 기본분류] 자연과학 > 의학
- [KDC ] 기술과학 > 의학 / 한의학 > 한의약학 Pharmacology
제품특징
중의학 본초 및 명대(明代) 이후의 중국 본초학의 성과 반영
실제 임상 치료시 약재의 효용과 효능, 용법에 대한 연구 수록
본초별 기원과 형태, 분포, 성분, 효능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실제 임상 치료시 약재의 효용과 효능, 용법에 대한 연구 수록
본초별 기원과 형태, 분포, 성분, 효능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제품소개
『중국본초도감』은 넓은 토양과 다양한 기후조건에서 생산되는 5만여 종의 약용자원을 가지고 있고 임상에 이용하는 약용식물만도 500가지가 넘는 중의학 본초연구를 집대성한 자료입니다. 실제 우리나라 한의학에서 쓰이는 약재의 1/3 이상이 중국에서만 산출되는 약재라는 사실과 더불어 오늘날과 같은 복잡한 환경변화와 새로운 질병의 발생으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본초자료의 확보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의학 본초 및 명대(明代) 이후의 중국 본초학의 성과가 반영되었으며 실제 임상 치료시 약재의 효용과 효능, 용법에 대한 연구가 수록되었습니다.
수록내용
식물, 동물, 광물 포함 중초약 5,000종 해설
396만 자의 텍스트
각 본초의 생태환경 및 생장상태를 담은 원색 사진 5,000점
396만 자의 텍스트
각 본초의 생태환경 및 생장상태를 담은 원색 사진 5,000점
목차
- 구멍장이버섯과
- 부처손과
- 칠지궐과
- 제개궐과
- 고란초과
- 소철과
- 소나무과
- 측백나무과
- 마황과
- 매마등과
- 후추과
- 가래나무과
- 자작나무과
- 뽕나무과
- 상과
- 쐐기풀과
- 쥐방울덩굴과
- 마디풀과
- 비름과
- 분꽃과
- 자리공과
- 쇠비름과
- 낙규과
- 석죽과
- 미나리아재비과
- 으름덩굴과
- 매자나무과
- 방기과
- 목련과
- 번려지과
- 육두구과
- 녹나무과
- 연엽동과
- 양귀비과
- 현호색과
- 풍접초과
- 돌나물과
- 범의귀과
- 조록나무과
- 두충과
- 장미과
- 콩과
- 괭이밥과
- 아마과
- 고가과
- 남가새과
- 운향과
- 멀구슬나무과
- 원지과
- 대극과
- 옻나무과
- 노박덩굴과
- 고추나무과
- 단풍나무과
- 무환자나무과
- 나도밤나무과
- 갈매나무과
- 포도과
- 아욱과
- 벽오동과
- 차나무과
- 물레나물과
- 위성류과
- 홍목과
- 제비꽃과
- 이나무과
- 시계꽃과
- 선인장과
- 보리수나무과
- 박쥐나무과
- 사군자과
- 도금랑과
- 야모란과
- 마름과
- 바늘꽃과
- 두릅나무과
- 산형과
- 층층나무과
- 노루발과
- 진달래과
- 자금우과
- 갯질경이과
- 인람과
- 감나무과
- 물푸레나무과
- 마전과
- 협죽도과
- 박주가리과
- 메꽃과
- 마편초과
- 꿀풀과
- 가지과
- 현삼과
- 능소화과
- 참깨과
- 제스네리아과
- 쥐꼬리망초과
- 꼭두서니과
- 인동과
- 마타리과
- 박과
- 초롱꽃과
- 국화과
- 벼과
- 사초과
- 종려과
- 천남성과
- 파인애플과
- 닭의장풀과
- 백합과
- 수선화과
- 구약서과
- 마과
- 파초과
- 생강과
- 홍초과
- 마란타과
- 난초과
- 해규과
- 석기사잠과
- 은판석별과
- 보패과
- 석황해우과
- 점액활유과
- 대합과
- 등호과
- 평갑충과
- 해장낭과
- 미인하과
- 사자해과
- 구해담과
- 두꺼비과
- 제호과
- 노과
- 관과
- 압과
- 치과
- 구합과
- 양조과
- 두견과
- 문작과
- 견과
- 묘과
- 마과
- 우과
- 석연자과
- 기화과
- 실고사리과
- 풀고사리과
- 고사리과
- 은행과
- 나한송과
- 목마황과
- 삼백초과
- 홀아비꽃대과
- 버드나무과
- 참나무과
- 철청수과
- 석류풀과
- 수련과
- 십자화과
- 날목과
- 돈나무과
- 쥐손이풀과
- 소태나무과
- 회양목과
- 마상과
- 감탕나무과
- 칠엽수과
- 목면과
- 오아과
- 다래나무과
- 팥꽃나무과
- 부처꽃과
- 두즙나무과
- 미나리과
- 앵초과
- 때죽나무과
- 용담과
- 지치과
- 질경이과
- 산토끼꽃과
- 부들과
- 택사과
- 야자과
- 개구리밥과
- 백부과
- 용설란과
- 붓꽃과
- 와라과
- 굴과
- 염합과
- 오징어과
- 옥해과
- 방해과
- 와과
- 바다거북과
- 규과
- 꿩과
- 학과
- 자위과
- 후과
- 송서과
- 분류균과
- 동충하초과
- 혁균과
- 턱수염버섯과
- 무당버섯과
- 느타리과
- 송이과
- 광대버섯과
- 끈적버섯과
- 말불버섯과
- 찻잔버섯과
- 금발선과
- 석송과
- 속새과
- 나도고사리삼과
- 음지궐과
- 인시궐과
- 넉줄고사리과
- 중국고사리과
- 꼬리고사리과
- 구자궐과
- 낙우송과
- 주목과
- 느릅나무과
- 단향과
- 명아주과
- 받침꽃과
- 끈끈이귀개과
- 한련과
- 감람과
- 봉선화과
- 담팔수과
- 피나무과
- 미나무과
- 번목과과
- 베고니아과
- 공동과
- 꽃고비과
- 열당과
- 골풀과
- 의질과
- 포과
- 영라과
- 방과
- 대하과
- 루고과
- 선과
- 천우과
- 극해성과
- 호자념과
- 해룡과
- 섬여과
- 구과
- 안경사과
- 타과
- 연과
- 작과
- 웅과
- 녹과
- 포공과
- 깜부기병균과
- 목이과
- 흰목이과
- 싸리버섯과
- 아교버섯과
- 꾀꼬리버섯과
- 그물버섯과
- 주름버섯과
- 먹물버섯과
- 석예과
- 폐의과
- 매의과
- 관지의과
- 석이과
- 송라과
- 철선궐과
- 금성궐과
- 삼과
- 붓순나무과
- 포도나무과
- 석류과
- 고거태과
- 파리풀과
- 노두수과
- 흑삼릉과
- 물옥잠과
- 전복과
- 추라과
- 골라과
- 이패과
- 관공해과
- 원주과
- 휜나비과
- 자삼과
- 잉어과
- 실고기과
- 남생이과
- 뱀과
- 독수리과
- 들꿩과
- 호저과
- 애과
- 고양이과
- 사슴과
- 수산호과
- 석순과
- 송조과
- 흑분균과
- 치균과
- 지다과
- 방곡궐과
- 암궐과
- 인모궐과
- 게비자나무과
- 산용안과
- 겨우살이과
- 새모래덩굴과
- 금호미과
- 회향목과
- 지채과
- 곡정초과
- 전라과
- 파와과
- 모려과
- 진주방과
- 합리과
- 죽정과
- 잠자리과
- 저계과
- 야명과
- 산누에나방과
- 새금귀과
- 해연과
- 해아어과
- 영원과
- 섬서과
- 도마뱀부치과
- 석척과
- 살무사과
- 오리과
- 두루미과
- 후투티과
- 창서과
- 곰과
- 소과
- 비파산호과
- 맥각균과
- 안장버섯과
- 말뚝버섯과
- 방귀버섯과
- 진선과
- 오모궐과
- 사고과
- 벌레잡이풀과
- 정절화과
- 돌매화나무과
- 가래과
- 마제라과
- 아라과
- 비라과
- 소과
- 만두해과
- 전갈과
- 거미과
- 사마귀과
- 황과
- 해반차과
- 반설섬과
- 엽석과
- 수리과
- 딱다구리과
- 때까치과
- 까마귀과
- 되새과
- 코끼리과
- 말과
- 배아과
- 인과
- 탄각균과
- 국수버섯과
- 우피엽과
- 망의과
- 지전과
- 석삼과
- 연좌궐과
- 자기과
- 사라과
- 개비자나무과
- 소귀나무과
- 곤란수과
- 다수유과
- 개미탑과
- 삼엽조과
- 노린재나무과
- 자초과
- 마노라과
- 활유과
- 선패과
- 부등합과
- 현과
- 차거과
- 하하과
- 하고과
- 납거미과
- 오공과
- 희렴과
- 귀뚜라미과
- 매미과
- 흰나비과
- 물방개과
- 기름종개과
- 창복과
- 우와과
- 망사과
- 노자과
- 백로과
- 휼과
- 해구과
- 철각고사리과
- 서대궐과
- 우전등과
- 노방덩굴과
- 홍수과
- 산석류나무과
- 아지라과
- 겸합과
- 강요과
- 창오적과
- 개명하과
- 사해과
- 별렴과
- 개미땅멸구과
- 자아과
- 명나방과
- 하늘소과
- 구경천우과
- 풍뎅이과
- 꿀벌과
- 말벌과
- 메기과
- 드렁허리과
- 비둘기과
- 꾀꼬리과
- 죽서과
- 시조과
- 깜부기과
- 반균과
- 마안균과
- 지설균과
- 은이과
- 우담자균과
- 산호균과
- 벗꽃버섯과
- 산균과
- 흑산과
- 귀필과
- 회포과
- 병회포과
- 지성과
- 남양삼과
- 백화채과
- 시로미과
- 피나무과
- 금규과
- 금연목과
- 등황과
- 쇄양과
- 전총과
- 실솔과
- 호랑나비과
- 이과
- 숭어과
- 게즈치과
- 자라과
- 갈매기과
- 올빼미과
- 찌르레기과
- 개과
- 서과
- 멧돼지과
- 이엽태과
- 사태과
- 니탄선과
- 호로선과
- 제등선과
- 우선과
- 회선과
- 송엽궐과
- 해금사과
- 희궐과
- 봉미궐과
- 철선엽과
- 나자궐과
- 빈과
- 괴엽빈과
- 만강홍과
- 교양목과
- 용뇌향과
- 자치과
- 근구수모과
- 거인과
- 감과
- 진주조개과
- 장비하과
- 가게거미과
- 비렴과
- 노린재과
- 누에나방과
- 가래과
- 외과
- 학공치과
- 바다뱀과
- 편복과
- 능리과
- 날다람쥐과
- 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