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해제번역총서] 근대 수신 교과서 3

제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해제번역총서] 근대 수신 교과서 3
저자
신해영 외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8-0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근현대
  • [KDC ] 사회과학 > 교육학

제품소개

근대 교과서를 통해 우리 근대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다 이 책은 학계와 일반 대중 누구나 접할 수 있도록 근대계몽기 수신·역사 교과서를 해제, 번역하고 원문을 영인한 것이다. 이는 자료의 학문적 인지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다. 또한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는 근대에 대한 학계의 높은 관심과 학제간적 연구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근대 교과서를 해제하고 번역한 이 책은 학계와 일반의 큰 관심과 반향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근대계몽기 교과서 연구는 교육학, 국어교육학, 국어학, 국문학, 역사학 등의 모든 분야에 걸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교과서의 지식과 언어는 규범적인 성격을 지니므로 그 교과서가 제작된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가장 정확하게 드러내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작업은 이 시기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실증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근대 수신 교과서가 보여주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소학’ 중심의 덕목과 함께 서구 근대사상에 기반한 덕목과 가치를 중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 수신 교과서 1권에 수록된 유근의 『초등소학수신서』나 안종화의 『초등윤리학교과서』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둘째, 개화기에서 대한제국으로 넘어간 뒤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 지배를 받게 되는 당시의 상황이 교과서 내용 구성 원칙의 중요한 축으로 작동하고 있다. 당대의 지식인이었던 수신 교과서 저자들은 국가와 민족의 운명이 흔들리고 있음을 수용했고, 그러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교육을 택했음을 짐작하게 하는 내용들을 수신교과서에서 발견할 수 있다. 셋째, 근대 수신서가 보여주고 있는 통합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근대 수신서는 기본적으로 사범학교나 소학교 등의 교과목으로 설정된 수신교과(修身敎科) 교과서로 편찬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 수신교과서는 유교문화권 특유의 도덕 교과서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3권에 수록된 『윤리학교과서』와 같이 경제교과서나 법 교과서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다. 넷째, 남녀차별적 전제를 여전히 떨치지 못한 채 교과서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점이다. 여성을 위한 수신서를 따로 편찬할 정도로 강한 차별 하에서 교과서가 개발되었고, 그렇게 개발된 교과서의 내용도 여성의 역할을 가정 안에 한정시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신 교과서 저자들이 유교적 덕목과 민주주의적 가치를 조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었지만, 성리학적 교육 전통 속에서 성장했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이번 번역은 직역을 원칙으로 하면서 현재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재구성하는 노력도 함께 기울였다. 현재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쳤으므로 단순한 역사적 자료로 과거 교과서를 확인하는 정도를 넘어서서 우리 역사 교육의 좌표와 지향점을 찾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번역자 개인의 문투를 존중하면서도 전문가들이 주관하는 치밀한 감수의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가독력이나 완성도 측면에서도 일정한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이번 번역본의 장점이다. 특히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역사 교육의 새로운 활로를 열 수 있는 좋은 수업 자료로 평가받을 수 있었으면 한다.

수록내용

발간사

서문

근대계몽기 교과서 해제 _ 허재영

수신서 장르 해제 _ 박병기

윤리학 교과서 권1

윤리학 교과서 권2

윤리학 교과서 권3

윤리학 교과서 권4

찾아보기

영인 - 윤리학 교과서 上

영인 - 윤리학 교과서 下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