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의 상차림 소개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 제목
-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 저자
- 한복려 저,한복려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화 > 음식
- [KDC ] 기술과학 > 생활과학 / 식품과 음료 > 한국요리 Korean cookery
제품소개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최상급인 궁중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을 설명하고 사대부가 모여 살았던 서울지역의 음식문화를 고찰했다.
저자소개
한복려
서울시립대학 원예과와 일본 조리사 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식량개발대학원 식품공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요 무형 문화재 38호 국가 전수 장학생을 이수했다.
현재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며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강상이다.서울시립대학 원예과와 일본 조리사 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식량개발대학원 식품공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요 무형 문화재 38호 국가 전수 장학생을 이수했다.
현재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며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강상이다.
현재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며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강상이다.서울시립대학 원예과와 일본 조리사 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식량개발대학원 식품공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요 무형 문화재 38호 국가 전수 장학생을 이수했다.
현재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며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강상이다.
수록내용
궁중음식의 종류와 요리법 설명
- 궁중 음식과 서울 반가 음식
- 궁중의 조리인
- 궁중의 식생활과 조리인
- 궁녀의 생활과 임무
- 궁녀의 임무
- 궁녀의 생애
- 나인이 하는 일
- 궁중의 일상식
- 상과 기명
- 반배법
- 시중들기
- 궁중 음식 조리법
- 숙회
- 궁중상추쌈 차림
- 장똑똑이
- 밥
- 골동반(비빔밥)
- 오곡반
- 떡
- 물호박떡
- 두텁떡
- 각색편
- 삼색단자
- 죽
- 장국죽
- 김치ㆍ장과
- 장김치
- 오이갑장과
- 구이ㆍ적ㆍ전
- 너비아니
- 화양적
- 김치적
- 내장전
- 찜ㆍ선
- 사태찜
- 대하찜
- 오이선
- 두부선
- 호박선
- 채ㆍ초
- 구절판
- 어채
- 삼합장과
- 면ㆍ만두
- 난면
- 미만두(규아상)
- 탕ㆍ전골ㆍ감정
- 신선로(열구자탕)
- 석류탕
- 쇠고기 전골
- 도미면
- 오이감정
- 게감정
- 기타
- 율란
- 조란
- 생란
- 유자 화채
- 원소병
- 제호탕
- 송화밀수
- 서울 양반의 음식
- 서울 음식의 배경과 특징
- 서울 양반의 음식
- 반가 상차림
- 상차림
- 미음상
- 양집상
- 자리 조반상(初朝飯床)
- 반상
- 어른 생신상
- 조리법
- 참고 문헌
- 궁중 음식과 서울 반가 음식
- 궁중의 조리인
- 궁중의 식생활과 조리인
- 궁녀의 생활과 임무
- 궁녀의 임무
- 궁녀의 생애
- 나인이 하는 일
- 궁중의 일상식
- 상과 기명
- 반배법
- 시중들기
- 궁중 음식 조리법
- 숙회
- 궁중상추쌈 차림
- 장똑똑이
- 밥
- 골동반(비빔밥)
- 오곡반
- 떡
- 물호박떡
- 두텁떡
- 각색편
- 삼색단자
- 죽
- 장국죽
- 김치ㆍ장과
- 장김치
- 오이갑장과
- 구이ㆍ적ㆍ전
- 너비아니
- 화양적
- 김치적
- 내장전
- 찜ㆍ선
- 사태찜
- 대하찜
- 오이선
- 두부선
- 호박선
- 채ㆍ초
- 구절판
- 어채
- 삼합장과
- 면ㆍ만두
- 난면
- 미만두(규아상)
- 탕ㆍ전골ㆍ감정
- 신선로(열구자탕)
- 석류탕
- 쇠고기 전골
- 도미면
- 오이감정
- 게감정
- 기타
- 율란
- 조란
- 생란
- 유자 화채
- 원소병
- 제호탕
- 송화밀수
- 서울 양반의 음식
- 서울 음식의 배경과 특징
- 서울 양반의 음식
- 반가 상차림
- 상차림
- 미음상
- 양집상
- 자리 조반상(初朝飯床)
- 반상
- 어른 생신상
- 조리법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