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주역공부의 필독서

주역점의 이해(周易占의 理解)

제목
주역점의 이해(周易占의 理解)
저자
고형 지음,이경지 지음,용조조 지음,김상섭 편역
발행처
지호출판사
발행년도
2013-05-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주역점의 이해(周易占의 理解)』는 주역점에 대해서 고형高亨, 이경지李鏡池, 용조조容肇祖 등 중국학자들이 쓴 네 편의 걸출한 논문을 골라 우리글로 옮긴 것입니다. 그 가운데 「주역」 점법에 대한 것이 한 편, 「좌전左傳」과 「국어國語」 중의 점친 사례에 대한 것이 한 편, 「주역」의 점글에 대한 것이 한 편, 점복占卜의 역사에 대한 것이 한 편이 있습니다. 이 논문들은 근대에 들어 「주역」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단초를 제공한 귀중한 논문들입니다. 이 논문들로 인해서 우리는 「주역」의 본디 면모를 새로이 인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주역」은 후대에 점술에서 철학으로 변모하고 성리학에 의해 덧칠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주역」은 고려 말 성리학이 수입된 이후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주로 정이程?의 「역전易傳」과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의 테두리 안에서 해석되었고 이해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색채를 조금도 가미하지 않고 본래의 「주역」 그 자체를 연구한 이 네 편의 훌륭한 논문을 통하여 우리는 점책인 「주역」 본래의 면목에 객관적으로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저자소개

고형
고형(高亨1900∼1986)은 현대 중국의 고문자학자이자 고대문화사가이며 중국 고증역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청화淸華대학 연구원을 졸업하고, 산동山東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 서남사범학원 연구원, 길림사범전과학교, 산동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경학經學, 자학子學, 사학史學과 금석갑골문자金石甲骨文字에 조예가 깊으며, [시경], [상서], [주역]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주역]에 대한 저서에는 [주역고경금주周易古經今注]와 [주역대전금주周易大傳今注]가 있다.

김상섭
1953년 포항시 흥해읍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국립 대만대학 철학 연구소에 유학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역학계몽』(1994), 『고형의 주역』(1995), 『태극기의 정체』(2001), 『내 눈으로 읽은 주역: 역경편』(2006), 『바르게 풀어쓴 주역점법』(2007), 『주역점의 이해』(2009) 등을 펴내었고, 국내외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부경대학교에서 「동양의 도와 지혜 강의로 최우수 강사로 선정되었고(2006), 계명대학교에서 「철학과 삶, 「철학의 이해 강의로 우수 강사 그룹에 선정되었다(2008).

지금은 계명대에 교양 한자한문을 출강하고 있다. 서울의 독서대학 르네21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주역』을 강의하였고, 계명대학 한학촌과 창녕에 있는 성씨 고택에서 『주역』을 강의하고 있다.

용조조
용조조(容肇祖1897∼?)는 현대 중국의 저명한 고전철학 연구가이자 민속학자이며 민간 문예학자이다.

북경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북경 보인대학 등 여러 대학 교수를 거쳐 북경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위진 시대의 자연주의魏晉的自然主義], [한비자고증韓非子考證], [이탁오평전李卓吾評傳], [명대사상사明代思想史], [선진법가先秦法家]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였다.

수록내용

『주역』 점법의 새로운 고증[周易筮法新考]
『좌전』과 『국어』 중의 주역점에 대한 연구[左國中易筮之硏究]
『주역』의 점글에 대한 연구[周易筮辭考]
점복의 원류[占卜的源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