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철학총서 37] 되짚어 본 한국사상사

제목
[한국철학총서 37] 되짚어 본 한국사상사
저자
최영성 저,최영성 저
발행처
예문서원
발행년도
2017-03-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파격, 틀을 깨는 것이다. 대부분의 한국사상가들과 그 연구자들의 고질적 병폐 중의 하나로 ‘사설의 묵수’와 ‘틀에 박힌 연구태도’를 지적하며 저자는 틀 깨기를 시도한다. 저자는 변증법의 정반합 논리 가운데 ‘반’의 입장에 서서 자신의 학술활동을 해 나가겠다고 밝히고 있다. 물론 이것은 저자가 지난 연구들에서부터 꾸준히 취해 온 태도였다. 이 책에 실린 18편의 글들은 하나같이 저자의 그런 문제의식의 소산들이다. 저자에 따르면 기존의 한국사상사 연구들 가운데에는 바로잡아야 할 것, 새롭게 해석하거나 의미부여를 해야 할 것, 새로 발굴하거나 고증해야 할 것 등이 많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저자는 한국사상사 다시보기를 제안한다.

수록내용

● 책머리에

● 제1부 한국사상의 원형과 본질 탐색

제1장 진흥왕순수비의 사상적 가치

제2장 최치원의 풍류사상 이해와 그 기반

제3장 최치원의 동인(東人)의식과 동문(同文)세계

제4장 초의의순의 다도철학과 한국사상의 전통

● 제2부 도학ㆍ리학의 수용과 사상계의 변화

제1장 고려 중기 북송성리학의 수용과 그 의의

제2장 정신보와 남송성리학의 고려 전래

제3장 야은 길재와 그 문생들의 도학사상

제4장 한국사상사에서의 정도전의 위상

● 제3부 16세기 사상계의 동향과 성리학의 착근

제1장 이황 사칠리기호발론의 연원적 배경-홍치의『심학장구집주대전』과 관련하여

제2장 남명 조식의 정주학 수용 양상

제3장 이황의 조식 비판과 그 의미

제4장『석담일기』의 역사의식과 서술 방법

제5장 정여립의 생애와 반주자학적 사상

● 제4부 조선유학의 학파와 그 성격

제1장 조선중ㆍ후기 4대 학파의 철학과 현실인식

제2장 우계성혼과 우계학파의 위상

제3장 퇴계학파의 이이 성리설 수용 양상

제4장 남당학의 근본 문제와 학파의 계승 양상

제5장 한주 이잔상의 철학사상과 현실적 구현

제6장 다카하시 도루의 한국유학관 비판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