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북한 정부수립과 사회주의 건설 과정을 다루다

북한의 역사 1 -건국과 인민민주주의의 경험(1945~1960)-

제목
북한의 역사 1 -건국과 인민민주주의의 경험(1945~1960)-
저자
김성보 저,이종석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14-09-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1945년부터 1950년대 말까지 정부 수립과 전쟁, 사회주의 개조 과정을 주로다루고 있다.

수록내용

해방, 인민위원회, 소련군의 주둔,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수립과 '민주개혁'자들, 분단의 갈림길에서 인민공화국이 수립, 전쟁의 소용돌이, 전후 사회주의 건설의 노선투쟁과 권력집중, 북한식 사회주의의 형성, 주요사건일지 등과 함께 스페셜 테마 수록

- ●발간사 _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책머리에 _ 인민민주주의 단계의 북한 역사에 주목하는 이유
- ●01 해방, 인민위원회, 소련군의 주둔
- 해방의 기쁨 속에 인민위원회를 세우다
- 소련군의 진주와 인민위원회 개편
- 김일성의 등장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 조만식의 조선민주당 창당과 민공연립정치
- 스페셜 테마 _ 소련군은 왜 북한에 진주했을까?
- ●02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수립과 ‘민주개혁’
- 조선민주당의 재편과 청우당ㆍ신민당의 부상
-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 토지개혁
- 1946년 여름의 사회개혁과 건국사상 총동원운동
- 스페셜 테마 _ 북한의 친일 반민족 행위자 처벌
- 스페셜 테마 _ 경제 건설을 위해 남은 일본인 기술자들
- ●03 분단의 갈림길에서 인민공화국이 수립되다
- 북조선노동당의 창당과 북조선 인민위원회 수립
- 문화 건설과 교육개혁
- ‘민족간부’를 양성하다
- 헌법 제정에서 인민공화국 수립까지
- 스페셜 테마 _ 1947년 화폐개혁의 명암
- ●04 전쟁의 소용돌이
- 전쟁이 일어나다
- 전쟁과 권력 변동
- 전쟁의 상처와 사회경제의 변화
- 스페셜 테마 _ 신해방지구 개성, 남북교류의 공간
- ●05 전후 사회주의 건설의 노선투쟁과 권력집중
- 전후 복구에 나서다
- 농업 협동화와 사회주의 개조
-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과 권력 변동
- 스페셜 테마 _ 동독 건축가 레셀의 눈으로 본 북한
- 스페셜 테마 _ 평률리 민주선전실장의 농촌생활
- ●06 북한식 사회주의의 형성
- 천리마운동과 청산리방법
- 독자외교의 모색과 재일 조선인 귀국 사업
- 학술 논쟁의 시대 1950년대
- 사회주의 건설에 나선 문학예술인
- ●07 글을 맺으며 _ 북한의 역사에서 찾아본 열린 가능성
- 북한은 소련의 위성국가였는가?
- 북한은 어떻게 초기 경쟁에서 남한에 우위를 점했는가?
- 북한 체제는 왜 경직되기 시작했는가?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