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백두고원 탐사 보고서
백두고원

- 제목
- 백두고원
- 저자
- 김태정 저,이영준 저,한상훈 저,김태정 사진,이영준 사진,한상훈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이 책은 2000년 5월 KBS가 백두고원을 취재, 탐사한 기록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탐사에 참가했던 저자들이 각각 전문분야를 나누어 백두고원의 지질과 야생동물, 야생화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사진을 담았으며, 취재에 참가했던 KBS프로듀서가 당시의 탐사 일정과 성과, 그리고 거기서 느낀 감상을 기록하였다.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영산이라 일컬어지지만, 분단 이후에는 중국을 통해서만 오를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대원사에서 발간한 『백두산』과 다른 백두산 관련 책들은 모두 중국에서 바라본 반쪽짜리 설명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은 KBS가 북한으로부터 취재허락을 받고 남쪽에서는 최초로 백두산에서 제작한 < KBS스페셜 백두고원을 가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담은 것이다. 열악한 취재 환경과 고된 일정에도 불구하고 백두고원의 빼어난 자연 경관과 천지의 아름다움은 취재진들의 넋을 빼놓기에 충분했고, 특히 6월은 천지의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서 야생화가 군락을 이루어 피어나는 시기여서 백두산에서만 볼 수 있는 절경을 고스란히 책에 담을 수 있었다.
백두고원의 지질은 주로 화산지대라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질 구조와 형성 과정, 화성 활동, 마지막 화산 분출 시기와 그 증거물들을 꼼꼼히 분석하고 도면과 사진을 덧붙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이 탐사에서 가장 큰 아쉬움을 남긴 것은 호랑이, 곰 등 거대 포유류의 동태를 촬영하지 못한 점이다. 대신 발자국이나 배설물을 통해 이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포유류 외에 여러 종의 구성과 분포 현황을 친절하게 설명하였다.
야생화 개화 시기에 백두고원을 오르게 되어 이 분야는 학술적으로 성과가 크다. 이 책의 절반에 걸쳐 장군풀, 조선바람꽃, 풍선난초, 분홍노루발, 민산작양, 너도양지꽃 등 105종의 야생화와 식물 화보를 통해 백두고원의 식물상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백두고원의 지질은 주로 화산지대라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질 구조와 형성 과정, 화성 활동, 마지막 화산 분출 시기와 그 증거물들을 꼼꼼히 분석하고 도면과 사진을 덧붙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이 탐사에서 가장 큰 아쉬움을 남긴 것은 호랑이, 곰 등 거대 포유류의 동태를 촬영하지 못한 점이다. 대신 발자국이나 배설물을 통해 이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포유류 외에 여러 종의 구성과 분포 현황을 친절하게 설명하였다.
야생화 개화 시기에 백두고원을 오르게 되어 이 분야는 학술적으로 성과가 크다. 이 책의 절반에 걸쳐 장군풀, 조선바람꽃, 풍선난초, 분홍노루발, 민산작양, 너도양지꽃 등 105종의 야생화와 식물 화보를 통해 백두고원의 식물상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저자소개
김태정
이영준
한상훈
1942년 충청남도 부여 출생1987년 민통선 북방지역 자연생태 종합학술조사단1988년 서해 외연열도 자연실태 종합학술조사단1989년 영광 안마군도 자연생태 종합학술조사단1990년 스포츠서울 국토종단 야생화 대탐사단 단장1990년 스포츠서울 백두산 야생화 학술탐사단 단장현재 한국 야생화연수고 운영, 한국식물분류학회, 한국양봉학회 회원저서로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전5권) [쉽게 찾는 우리 꽃](전3권) [쉽게 찾는 우리 나물] [쉽게 찾는 우리 약초](전2권) [쉽게 찾는 수생식물](공저) [우리 꽃 답사기] [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 꽃 이야기] [우리식물도감] [휴전선 155마일 야생화 기행] [한국의 야생화](전12권) 등이 있다.1942년 충청남도 부여 출생1987년 민통선 북방지역 자연생태 종합학술조사단1988년 서해 외연열도 자연실태 종합학술조사단1989년 영광 안마군도 자연생태 종합학술조사단1990년 스포츠서울 국토종단 야생화 대탐사단 단장1990년 스포츠서울 백두산 야생화 학술탐사단 단장현재 한국 야생화연수고 운영, 한국식물분류학회, 한국양봉학회 회원저서로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전5권) [쉽게 찾는 우리 꽃](전3권) [쉽게 찾는 우리 나물] [쉽게 찾는 우리 약초](전2권) [쉽게 찾는 수생식물](공저) [우리 꽃 답사기] [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 꽃 이야기] [우리식물도감] [휴전선 155마일 야생화 기행] [한국의 야생화](전12권) 등이 있다.
이영준
1963년 부산에서 태어나 1986년 고려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였다. 구조지질학을 전공하여 1991년 미국 뉴욕주립대학(Albany)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텍사스 A&M대학교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에서 연구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상훈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동경농대를 거쳐 북해도대학에서 동물학을 전공해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환경부 자연보전국 생태조사단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한국자연환경과학정보연구센터의 대표를 맡고 있다. 또한 사단법인 한국환경정보연구센터 자연생태분과위원장, 야생동물연합 상임의장, 국제자연보존연맹 종보존위원회 두루미전문가그룹의 한국위원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지구상에 사라진 동물들』『한반도의 자연 환경과 야생동물』등이 있다.
수록내용
북한의 백두고원을 탐사해 동·식물들을 촬영한 진귀한 자료
- 머리말
- 백두고원 탐사기
- 취재 준비
- 현장 취재와 촬영
- 백두고원 취재의 성과와 한계
- 백두고원의 지질
- 백두고원의 형성
- 현무암 용암대지의 형성
- 백두산 및 주요 화산체의 형성
- 백두산에서의 폭발성 화산 분출
- 백두산 심부단열대와 화산 분출
- 백색 부석
- 탄화목과 매몰목
- 천지
- 천군바위와 리명수폭포
- 살아 있는 백두고원
- 백두고원의 야생동물
- 포유동물
- 조류
- 파충류
- 장지뱀아목
- 뱀아목
- 양서류
- 어류
- 천지의 물고기 방류 사업
- 무척추동물
- 딱정벌레목 반날개상과 송장벌레과
- 백두고원 지역의 거미
- 지네류
- 통거미류
- 백두고원의 야생화
- 탐사 일정과 성과
- 백두고원의 식물 생태
- 백두산 지역의 수목 우점종
- 백두고원의 식물상
- 좀다람쥐꼬리
- 다람쥐꼬리
- 포태면마
- 잎갈나무(이깔나무)
- 좀잎갈나무(좀이깔나무)
- 눈측백(누운측백)
- 개감채
- 민솜대
- 나도옥잠화
- 땅나리
- 날개하늘나리
- 큰원추리
- 박새
- 난장이붓꽃
- 타래붓꽃
- 털개불알꽃
- 풍선난초
- 물황철나무
- 콩버들
- 매자잎버드나무(매자잎버들)
- 긴잎매자버들
- 눈산버들
- 사스레나무
- 자작나무
- 삼
- 장군풀(왕대황)
- 긴개싱아(긴개승아)
- 나도수영
- 호범꼬리
- 나도개미자리
- 산미나리아재비
- 조선바람꽃
- 바람꽃
- 바이칼바람꽃
- 금매화
- 하늘매발톱
- 바이칼꿩의다리
- 산꿩의다리
- 가는돌쩌귀
- 민산작약
- 두메양귀비
- 흰두메양귀비
- 애기냉이
- 두메냉이
- 자주장대나물
- 돌꽃
- 가지돌꽃
- 바위돌꽃
- 둥근바위솔
- 구름범의귀
- 흰바위취
- 물참대
- 담자리꽃나무
- 은양지꽃
- 좀양지꽃
- 너도양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흰땃딸기
- 붉은인가목
- 긴잎산조팝나무
- 두메자운
- 흰두메자운
- 개황기
- 긴잎나비나물
- 가는등갈퀴
- 털쥐손이
- 우단쥐손이
- 설령쥐오줌풀
- 개감수
- 참졸방제비꽃
- 흰갑산제비꽃
- 왜졸방제비꽃
- 사동미나리
- 분홍노루발
- 호노루발
- 노랑만병초
- 만병초
- 좀참꽃
- 담자리참꽃나무
- 백산차(白山굮)
- 좁은잎백산차
- 가솔송
- 월귤
- 들쭉나무
- 좀설앵초
- 명천봄맞이꽃
- 털개회나무
- 구슬봉이(구슬붕이)
- 비로용담
- 왜지치
- 산속단
- 구름송이풀
- 털질경이
- 개질경이
- 딱총나무
- 자주초롱꽃
- 구름국화
- 산민들레
- 서양민들레(약민들레)
- 산솜방망이
- 개머위
- 귀박쥐나물
- 곰취
- 더위지기
- 백두고원 탐사팀
- 참고 문헌
- 머리말
- 백두고원 탐사기
- 취재 준비
- 현장 취재와 촬영
- 백두고원 취재의 성과와 한계
- 백두고원의 지질
- 백두고원의 형성
- 현무암 용암대지의 형성
- 백두산 및 주요 화산체의 형성
- 백두산에서의 폭발성 화산 분출
- 백두산 심부단열대와 화산 분출
- 백색 부석
- 탄화목과 매몰목
- 천지
- 천군바위와 리명수폭포
- 살아 있는 백두고원
- 백두고원의 야생동물
- 포유동물
- 조류
- 파충류
- 장지뱀아목
- 뱀아목
- 양서류
- 어류
- 천지의 물고기 방류 사업
- 무척추동물
- 딱정벌레목 반날개상과 송장벌레과
- 백두고원 지역의 거미
- 지네류
- 통거미류
- 백두고원의 야생화
- 탐사 일정과 성과
- 백두고원의 식물 생태
- 백두산 지역의 수목 우점종
- 백두고원의 식물상
- 좀다람쥐꼬리
- 다람쥐꼬리
- 포태면마
- 잎갈나무(이깔나무)
- 좀잎갈나무(좀이깔나무)
- 눈측백(누운측백)
- 개감채
- 민솜대
- 나도옥잠화
- 땅나리
- 날개하늘나리
- 큰원추리
- 박새
- 난장이붓꽃
- 타래붓꽃
- 털개불알꽃
- 풍선난초
- 물황철나무
- 콩버들
- 매자잎버드나무(매자잎버들)
- 긴잎매자버들
- 눈산버들
- 사스레나무
- 자작나무
- 삼
- 장군풀(왕대황)
- 긴개싱아(긴개승아)
- 나도수영
- 호범꼬리
- 나도개미자리
- 산미나리아재비
- 조선바람꽃
- 바람꽃
- 바이칼바람꽃
- 금매화
- 하늘매발톱
- 바이칼꿩의다리
- 산꿩의다리
- 가는돌쩌귀
- 민산작약
- 두메양귀비
- 흰두메양귀비
- 애기냉이
- 두메냉이
- 자주장대나물
- 돌꽃
- 가지돌꽃
- 바위돌꽃
- 둥근바위솔
- 구름범의귀
- 흰바위취
- 물참대
- 담자리꽃나무
- 은양지꽃
- 좀양지꽃
- 너도양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흰땃딸기
- 붉은인가목
- 긴잎산조팝나무
- 두메자운
- 흰두메자운
- 개황기
- 긴잎나비나물
- 가는등갈퀴
- 털쥐손이
- 우단쥐손이
- 설령쥐오줌풀
- 개감수
- 참졸방제비꽃
- 흰갑산제비꽃
- 왜졸방제비꽃
- 사동미나리
- 분홍노루발
- 호노루발
- 노랑만병초
- 만병초
- 좀참꽃
- 담자리참꽃나무
- 백산차(白山굮)
- 좁은잎백산차
- 가솔송
- 월귤
- 들쭉나무
- 좀설앵초
- 명천봄맞이꽃
- 털개회나무
- 구슬봉이(구슬붕이)
- 비로용담
- 왜지치
- 산속단
- 구름송이풀
- 털질경이
- 개질경이
- 딱총나무
- 자주초롱꽃
- 구름국화
- 산민들레
- 서양민들레(약민들레)
- 산솜방망이
- 개머위
- 귀박쥐나물
- 곰취
- 더위지기
- 백두고원 탐사팀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