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의 생생한 문화 현장을 사진과 함께 만나다
전주한옥마을

- 제목
- 전주한옥마을
- 저자
- 이병천 저,채병선 저,최상철 저,이흥재 사진,조영호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8-08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전주한옥마을에 살아 온 고결한 선비와 역사의 인물들을 만날 수 있으며, 우리 전통 문화가 살아 숨쉬는 문화 현장을 생생한 사진과 함께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책은 가보고 싶은 곳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할 때 전주한옥마을을 이해하고 느끼기에 아주 유용할 것이다.
저자소개
최상철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대 미술을 전공, 1982년부터「햄릿과 오레스테스」를 시작으로「햄릿 시리즈3ㆍ4ㆍ5」, 「Taxi, taxi」, 「라쇼몽」, 「Emperor Jones」, 「상화와 상화」, 「끽다거」등 주로 표현주의 계열의 연극 무대와「묵향」, 「비상」, 「혁명시대」, 「사랑과 죽음」등 현대 무용의 무대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91년, 1995년「프라하 콰드리엔나레」, 「’93 Asia Scenography 초대전」, 「서울 천도 600주년 기념 ’94무대 미술가 8인 초대전」에 출품한 경력이 있다. 또한「극공간에 있어 아돌프 아피아의 심미성 원리에 대하여」라는 학위 논문을 비롯하여 각종 논문 10여 편을 발표했다. 현재는 OISTAT(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Scenographers, Theatre Architects & Technicians) 한국 이사로 활동중이며 계원조형예술전문대학 조형과(공간연출 전공)의 조교수로 재직중이다.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대 미술을 전공, 1982년부터「햄릿과 오레스테스」를 시작으로「햄릿 시리즈3ㆍ4ㆍ5」, 「Taxi, taxi」, 「라쇼몽」, 「Emperor Jones」, 「상화와 상화」, 「끽다거」등 주로 표현주의 계열의 연극 무대와「묵향」, 「비상」, 「혁명시대」, 「사랑과 죽음」등 현대 무용의 무대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91년, 1995년「프라하 콰드리엔나레」, 「’93 Asia Scenography 초대전」, 「서울 천도 600주년 기념 ’94무대 미술가 8인 초대전」에 출품한 경력이 있다. 또한「극공간에 있어 아돌프 아피아의 심미성 원리에 대하여」라는 학위 논문을 비롯하여 각종 논문 10여 편을 발표했다. 현재는 OISTAT(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Scenographers, Theatre Architects & Technicians) 한국 이사로 활동중이며 계원조형예술전문대학 조형과(공간연출 전공)의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수록내용
전주한옥마을의 태동과 숨결,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유산, 전주한옥마을과 인물, 전주한옥마을과 전주음식, 역사에 스민 문화, 문화에 잠긴 한옥 등과 함께 전주한옥마을의 생생한 현장 사진 수록
- 화보
- 해찰, 전주한옥마을에 들어서는 마음
- 전주한옥마을의 태동과 숨결
- 양지 바른 곳에 펼쳐진 창호지, 전주한옥마을
- 전주한옥마을을 관통한 전주천
- 항일정신으로 터를 다진 전주한옥마을
- 전주한옥마을의 환경과 변화
- 전주한옥마을의 공간 구조
- 한옥마을 보존과 주민들의 갈등
- 한옥마을 속의 다른 풍경
- 한옥마을의 변화와 미래
-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유산
- 전주한옥마을의관문, ‘풍남문’
- 전주문명의시작, ‘경기전’
- 전주 이씨 시조 위패를 모신 ‘조경묘(肇慶廟)’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지킨 ‘전주사고(全州史庫)’
- 전주의존재이유, ‘이목대(梨木臺) 오목대(梧木臺)’
- 한국최초의순교지, ‘전동성당’
- 숫자로 풀어보는 ‘전주향교’
- 문향(文香) 그윽한터전,‘ 양사재(養士齋)’
- 전주천최고의경승지, ‘남천교’
- 풍운을 잠재운 ‘전주동헌’
- 삼대를 잇는 효맥 ‘학인당(學忍堂)’
- 전주 최씨 종대(全州崔氏宗垈)
- 물안개피어나는곳, ‘한벽당’
- 전주한옥마을과 인물
- 전주한옥마을에서 가문을 연 ‘전주 이씨’
- 완산 아이 ‘견훤’
- 목조 ‘이안사’
- 오목대에서 부른 「대풍가」, ‘이성계’
- 장독에도 쓰던 이름, ‘이삼만’
- 비빔밥에서 깨친 대동사상, ‘전봉준’
- 전주한옥마을에 선비정신을 심은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그의 제자 ‘삼재’
- 강암은 역사다, ‘강암 송성용’
- 가람 ‘이병기’
- 「혼불」의 작가 ‘최명희’
- 전주한옥마을과 전주음식
- 전주비빔밥
- 콩나물국밥
- 오모가리탕
- 한정식과 백반
- 전주 막걸리
- 전주 이강주(梨薑酒)
- 전주만의 5대 음식
- 역사에 스민 문화, 문화에 잠긴 한옥
- 어진 박물관
- 전통술 박물관
- 완판본 문화관
- 부채 문화관
- 전주전통한지원
- 최명희 문학관·고하 문예관
- 국립무형유산원
- 강암 서예관
- 교동 아트센터
- 목우헌(木遇軒)
- 동학혁명 기념관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 전주한옥마을에 수여된 훈장들
- 한국관광의별
- 국제슬로시티
- 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
- 《미슐랭가이드》최고평점
- 부록 한상 가득, 멋과 맛
- 전주의 축제
- 전주 전통문화 체험
- 전주의 전통 숙박 시설
- 전주한옥마을 개요
- 해찰을 마치며
- 화보
- 해찰, 전주한옥마을에 들어서는 마음
- 전주한옥마을의 태동과 숨결
- 양지 바른 곳에 펼쳐진 창호지, 전주한옥마을
- 전주한옥마을을 관통한 전주천
- 항일정신으로 터를 다진 전주한옥마을
- 전주한옥마을의 환경과 변화
- 전주한옥마을의 공간 구조
- 한옥마을 보존과 주민들의 갈등
- 한옥마을 속의 다른 풍경
- 한옥마을의 변화와 미래
-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유산
- 전주한옥마을의관문, ‘풍남문’
- 전주문명의시작, ‘경기전’
- 전주 이씨 시조 위패를 모신 ‘조경묘(肇慶廟)’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지킨 ‘전주사고(全州史庫)’
- 전주의존재이유, ‘이목대(梨木臺) 오목대(梧木臺)’
- 한국최초의순교지, ‘전동성당’
- 숫자로 풀어보는 ‘전주향교’
- 문향(文香) 그윽한터전,‘ 양사재(養士齋)’
- 전주천최고의경승지, ‘남천교’
- 풍운을 잠재운 ‘전주동헌’
- 삼대를 잇는 효맥 ‘학인당(學忍堂)’
- 전주 최씨 종대(全州崔氏宗垈)
- 물안개피어나는곳, ‘한벽당’
- 전주한옥마을과 인물
- 전주한옥마을에서 가문을 연 ‘전주 이씨’
- 완산 아이 ‘견훤’
- 목조 ‘이안사’
- 오목대에서 부른 「대풍가」, ‘이성계’
- 장독에도 쓰던 이름, ‘이삼만’
- 비빔밥에서 깨친 대동사상, ‘전봉준’
- 전주한옥마을에 선비정신을 심은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그의 제자 ‘삼재’
- 강암은 역사다, ‘강암 송성용’
- 가람 ‘이병기’
- 「혼불」의 작가 ‘최명희’
- 전주한옥마을과 전주음식
- 전주비빔밥
- 콩나물국밥
- 오모가리탕
- 한정식과 백반
- 전주 막걸리
- 전주 이강주(梨薑酒)
- 전주만의 5대 음식
- 역사에 스민 문화, 문화에 잠긴 한옥
- 어진 박물관
- 전통술 박물관
- 완판본 문화관
- 부채 문화관
- 전주전통한지원
- 최명희 문학관·고하 문예관
- 국립무형유산원
- 강암 서예관
- 교동 아트센터
- 목우헌(木遇軒)
- 동학혁명 기념관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 전주한옥마을에 수여된 훈장들
- 한국관광의별
- 국제슬로시티
- 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
- 《미슐랭가이드》최고평점
- 부록 한상 가득, 멋과 맛
- 전주의 축제
- 전주 전통문화 체험
- 전주의 전통 숙박 시설
- 전주한옥마을 개요
- 해찰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