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구로 살펴보는 우리나라 농경 문화
농기구

- 제목
- 농기구
- 저자
- 박대순 저,김종섭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화 > 민속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원시적인 농경이 시작된 이후 농업은 국가 경제의 근간이 되었지만, 산업 구조가 도시 중심의 상공업 체계로 이행해가면서 그 비중이 약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와 함께 재래의 전통적인 농기구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책에서는 그런 까닭에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농기구를 사진과 글로 농기구의 형태와 기능 등을 남겨 놓고자 했다.
저자소개
김종섭
박대순
대원사 사진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박대순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 전시과장을 거쳐 현재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으로 있다. 논문으로 ‘조선시대 관례의 사적 연구’ 외 여러 편이 있다.
수록내용
우리나라의 농기구를 사진과 글로 농기구의 형태와 기능 등 수록
- 머리말
- 농경 문화의 시원과 그 영향
- 한국 농경 문화의 연원
- 한국 농경의 기원과 발전
- 농경 문화의 한반도 전래
- 선사시대의 농기구
- 갈이용 농기구
- 수확용 농기구
- 조리용 농기구
- 선사시대 농기구의 의의
- 한국 농기구의 현황
- 농기구의 종류
- 농기구의 형태와 기능, 사용법
- 농작물 파종을 위한 연장(갈기, 삶기, 씨뿌리기)
- 농작물 성장 관리를 위한 연장(김매기, 거름주기, 물대기)
- 농작물 수확, 갈무리를 위한 연장(거두기, 알곡털기, 고르기, 말리기, 갈무리)
- 농산물을 알곡내고 찧거나 가루내기 위한 연장(주로 방아의 기능)
- 농작물 운반을 위한 연장
- 가축을 치는 연장
- 농산 제조 연장(짜는 연장)
- 기타 연장
- 농기구의 지역별 특성
- 참고 문헌
- 머리말
- 농경 문화의 시원과 그 영향
- 한국 농경 문화의 연원
- 한국 농경의 기원과 발전
- 농경 문화의 한반도 전래
- 선사시대의 농기구
- 갈이용 농기구
- 수확용 농기구
- 조리용 농기구
- 선사시대 농기구의 의의
- 한국 농기구의 현황
- 농기구의 종류
- 농기구의 형태와 기능, 사용법
- 농작물 파종을 위한 연장(갈기, 삶기, 씨뿌리기)
- 농작물 성장 관리를 위한 연장(김매기, 거름주기, 물대기)
- 농작물 수확, 갈무리를 위한 연장(거두기, 알곡털기, 고르기, 말리기, 갈무리)
- 농산물을 알곡내고 찧거나 가루내기 위한 연장(주로 방아의 기능)
- 농작물 운반을 위한 연장
- 가축을 치는 연장
- 농산 제조 연장(짜는 연장)
- 기타 연장
- 농기구의 지역별 특성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