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우리 옛 아름다운 전통 문양

한국의 문양

제목
한국의 문양
저자
임영주 저,남권희 저,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저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2-04-0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예술일반
  • [KDC ] 예술 > 예술

제품특징

전통문양그림 및 사진 972컷 수록

제품소개

『한국의 문양』은 『한국의 전통문양』, 『능화판』의 총 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품입니다. 『한국의 전통문양』은 문양의 뜻과 생성배경에 대해 소개하고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생활 속에 베풀어진 갖가지 문양을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크게 새와 동물, 꽃과 곤충, 십장생, 길상문자로 구분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문양의 종류를 세분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능화판』은 경북대학교 남권희 교수의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 고서 등 4,000여 점을 대상으로 하여, 표지 문양의 상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남권희
저서로는 [능화판 (양장본)] 등이 있다.

임영주
1943년에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한국전통공예미술관장을 지냈고, 시각환경조형연구소 대표, 홍익대 미술대학 목조형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현재 문화재전문위원 및 경기도 문화재위원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판화(古版畵) 능화판'(1992)과 중요무형문화재 기능조사보고서인 '옥공장(玉工匠) 장주원'(1995), 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인 '조선장(造船匠)'(1996), '칠장(漆匠)'(1996), '나전장(螺鈿匠)'(1997), '석연장(石硯匠)'(1997)이 있고, 지은 책으로 (1983), (1985), (1999), , (2000)이 있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1년 8월에 설립되었다. 우리 문화콘테츠의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총괄지원기관으로, '창작기반조성'과 '수출지원', 그리고 '전문인력양성'과 '콘텐츠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문화콘텐츠산업 관련협회와 학외 등 전문가 단체와의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지역별로 특화된 문화산업을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기업과도 긴밀한 협업체제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저서로는 [만화 콘텐츠 비즈니스], [캐릭터 비즈니스], [조선의 과학기술],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역사] 등이 있다.

수록내용

한국의 전통문양
능화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