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세계와 서사 원형의 보고
역주 유양잡조(譯註酉陽雜俎)

- 제목
- 역주 유양잡조(譯註酉陽雜俎)
- 저자
- 단성식 저,정환국 역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3-07-1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특징
번역문, 텍스트원문 구성
제품소개
『역주 유양잡조(譯註酉陽雜俎)』는 중국 만당 시기 문인 단성식이 찬저한 지리박물적 성격의 필기소설집 『유양잡조』의 원문을 교감하고 번역하여 주석한 것입니다. 서사 문학사에서의 의의를 보장받은 『유양잡조』로 중국 서사 발전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양잡조』는 당대(唐代) 및 그 이전 시기의 다양한 이야기와 풍속, 동식물, 기이한 현상과 인물 등을 분야별로 광범위한 시공간을 자랑하며 지리박물적 성격과 필기소설적 성격을 겸비한 학술ㆍ문예의 총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소개
단성식
정환국
단성식(段成式, 803∼863)은 만당(晩唐) 때의 문인으로 자는 가고(柯古)이다. 상서랑(尙書郞)과 길주자사(吉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박학하고 시문에도 뛰어났다. 특히 비서(秘書)에 관심이 많아 당대의 수많은 비서를 본 것으로 유명하다. 이 외에 불교에 조예가 깊어 「유양잡조」에도 불교관련 정보와 이야기를 많이 수록하고 있다. 따로 「여릉관하기(廬陵官下記)」를 지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의 시문의 편린이 「전당문(全唐文)」과 「전당시(全唐詩)」에 전한다.
정환국
정환국(鄭煥局)은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고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역주 천예록」, 「역주 신단공안」 등의 저역서를 냈다. 초기 동아시아의 형성과정과 그에 따른 서사의 면모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하객유기』를 번역하게 되었다.
그동안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역주 천예록」, 「역주 신단공안」 등의 저역서를 냈다. 초기 동아시아의 형성과정과 그에 따른 서사의 면모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하객유기』를 번역하게 되었다.
수록내용
유양잡조 권1 ~ 권20
유양잡조 속집 권1 ~ 권10
유양잡조 속집 권1 ~ 권10
목차
- 일러두기
- 해제
- 유양잡조 서문[酉陽雜俎序]
- 유양잡조 권1
- 유양잡조 권2
- 유양잡조 권3
- 유양잡조 권4
- 유양잡조 권5
- 유양잡조 권6
- 유양잡조 권7
- 유양잡조 권8
- 유양잡조 권9
- 유양잡조 권10
- 유양잡조 권11
- 유양잡조 권12
- 유양잡조 권13
- 유양잡조 권14
- 유양잡조 권15
- 유양잡조 권16
- 유양잡조 권17
- 유양잡조 권18
- 유양잡조 권19
- 유양잡조 권20
- 유양잡조 속집 권1
- 유양잡조 속집 권2
- 유양잡조 속집 권3
- 유양잡조 속집 권4
- 유양잡조 속집 권5
- 유양잡조 속집 권6
- 유양잡조 속집 권7
- 유양잡조 속집 권8
- 유양잡조 속집 권9
- 유양잡조 속집 권10
-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