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한국유학사상의 다양한 관점을 논하다 - 교육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Ⅴ - 敎育思想編 -

제목
한국유학사상대계 Ⅴ - 敎育思想編 -
저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발행년도
2014-09-12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한국유학 전반에 관한 학제간적 연구를 시도한 『한국유학사상대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유학의 다양한 측면을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관점과 쟁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5권에서는 교육사상을 살펴볼 수 있다.

수록내용

한국 유학교육의 특징과 성격,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교육사상, 고려시대 유학교육사상, 여말 학교교육개혁과 성리학의 수용ㆍ발전,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과 실제, 조선시대 여성교육론, 한말 및 일제하 유가교육사상과 동향 등 수록

- 간행사
- 일러두기
- 서장: 한국 유학교육의 특징과 성격 / 정순우
- 제1절 서언: 유학과 한국교육의 만남
- 제2절 한국 고·중세 사회에서의 유학의 수용과 교육
- 제3절 조선시대 유학교육의 전개 과정과 특성
- 1. 조선 전기 유학의 사공학적 성향과 교육
- 2. 조선 중기 유학의 도학적 성향과 교육
- 3. 조선 후기의 촌락사회와 교육
- 제4절 실학시대의 교육, 그리고 '근대성' 문제
- 1. '교육'의 맥락에서 본 성리학과 실학의 관계
- 2. 실학의 '근대성' 문제
- 제5절 제언: 마무리를 대신하여
- 1. 소농민의 교육주체로의 성장
- 2. 계층의 개별적 교육구조 획득
- 3. 교육을 매개로 한 인신적 예속관계의 약화
-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교육사상 / 안경식
- 제1절 삼국 이전의 유학교육
- 제2절 고구려의 유학교육사상
- 1. 정교이념과 인재선발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2. 학교교육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3. 사회적 가치관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제3절 백제의 유학교육사상
- 1. 정교이념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2. 대외 교류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3. 사회적 가치관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제4절 신라의 유학교육사상
- 1. 정교이념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2. 학교교육의 입장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3. 사회적 가치관의 측면에서 본 유학교육사상
- 제5절 고대 유학교육사상의 특징과 의의
- 제2장 고려시대 유학교육사상 / 고대혁
- 제1절 서론
- 1. 기존 연구의 검토
- 2. 논의의 방향과 논점
- 3. 시대 구분과 특징
- 제2절 건국 초기 사회의 성격과 유학
- 1. 고려 건국과 유교적 혁명론
- 2. 유학적 지식인의 역할과 정치권력의 형태
- 제3절 유학의 정치이념과 교육정책
- 1. 「훈요십조」와 과거제 도입: 태조, 광종
- 2. 「시무28조」와 유교적 문치주의 기반 구축: 성종
- 3. 관학 교육의 쇠퇴와 사학의 발흥: 문종
- 4. 관학 교육의 개혁과 유교적 문치주의 강화 : 예종, 인종
- 제4절 학교교육과 과거제도에 나타난 유학교육사상
- 1. 교육 목적과 정치 사회적 기능
- 2. 교육과정과 과거제도
- 3. 유학의 학풍과 학문 공동체
- 제5절 고려시대 교육의 유학사상사적 의미
- 1. 유학적 정치이념의 기반 형성과 교육
- 2. 유학 교육의 성격과 사학 12도의 교육사적 의미
- 제3장 여말 학교교육개혁과 성리학의 수용·발전 / 최광만
- 제1절 서론
- 제2절 충렬왕 시기 학교교육 상황과 흥학 정책의 기조
- 1. 학교교육 상황
- 2. 관학 진흥 정책
- 제3절 학교교육의 변화
- 1. 변화의 조짐
- 2. 성리학적 학교제도의 구축
- 3. 성리학적 학교제도의 확대
- 제4절 여말 학교교육에서의 성리학
- 1. 공민왕 교육개혁기 이전
- 2. 공민왕 교육개혁기 이후
- 제5절 결론
- 제4장 조선 초기 관학파의 교육사상 및 정책 / 정낙찬
- 제1절 문제의 제기
- 제2절 우주본체론
- 제3절 인간관
- 제4절 교육사상
- 1. 교육목적론
- 2. 교육방법론
- 제5절 교육정책
- 1. 학교교육
- 2. 관리선발
- 제5장 조선 전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 박종배
- 제1절 머리말
- 제2절 형성기 사림의 교육사상과 실천
- 1. 길재
- 2. 김숙자
- 3. 김종직
- 제3절 성숙기 사림의 교육사상과 실천
- 1. 김굉필
- 2. 정여창
- 3. 조광조
- 제4절 조선 전기 사림파 교육사상의 특징
- 제6장 조선 중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 황금중
- 제1절 교육세력으로서의 사림파의 범주와 성격
- 제2절 사림파의 교육철학 : 마음과 배움과 일상 중심의 교육
- 1. 교육적 사유의 초점 : 마음, 배움, 일상
- 2. 이황의 교육철학
- 3. 조식의 교육철학
- 4. 이이의 교육철학
- 제3절 사림파의 학교교육론
- 1. 조선 초·중기 학교체제정비의 의미와 문제
- 2. 이황의 학교교육론
- 3. 이이의 학교교육론
- 제4절 사림파의 향약교육론
- 1. 조선중기 향촌사회교화체제로서의 향약의 성립
- 2. 이황의 향약교육론
- 3. 이이의 향약교육론
- 제5절 사림파 교육사상의 특성과 교육사적 의의
- 제7장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과 실제 / 정재걸
- 제1절 머리말
- 제2절 서원과 서당의 설립 배경
- 1. 서원의 설립 배경
- 2. 서당의 설립 배경
- 제3절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
- 1. 서원의 교육이념
- 2. 서당의 교육이념
- 제4절 서원과 서당의 교육실제
- 1. 서원의 교사와 학생
- 2. 서원의 교육내용과 방법
- 3. 서당의 교사
- 4. 서당의 교육내용과 방법
- 제5절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교육이 주는 시사점
- 1. 근대교육의 종말
- 2. 유학='참나'(眞我) 교육 프로그램
- 3. 근대교육과 탈근대교육의 청사진으로서의 서당과 서원교육
- 제8장 조선시대 여성교육론 / 이숙인
- 제1절 머리말
- 제2절 여성교육의 교재와 방법
- 1. 여성 전용 교재: 『열녀전』·『여사서』·『내훈』·『계녀서』
- 2. 남녀공용의 교재: 『예기』·『소학』·『삼강행실도』·『사소절』
- 3. 교재의 성격과 교육의 방법
- 제3절 여성 정체성의 교육: 덕성·실용·섹슈얼리티
- 1. 덕성교육: 순종(順)·부드러움(柔)·화목(和)·관용(寬)
- 2. 실용교육: 의식·봉제사접빈객·치산
- 3. 섹슈얼리티 교육: 정절
- 제4절 여성교육의 의미: 관계 속의 분리
- 1. 관계적 사고의 확충
- 2. 분리주의의 강화
- 제5절 맺음말
- 제9장 조선시대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