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작품과 함께 살피는 우리나라 복식사
복식

- 제목
- 복식
- 저자
- 조효순 저,조효순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의류
- [KDC ]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제품소개
복식의 풍속은 식생활이나 주생활과 함께 기층 문화의 알맹이일뿐만아니라 예의나 의식을 보여 주는 문화 현상이다. 이 책에서는 복식사는 단순한 역사적인 규명보다는 그 속에 흐르는 민중 의식이나 복식 심리를 살려봄으로써 좀더 근본적인 복식의 변천 원리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견해을 밝히고 있다.
저자소개
조효순
명지대학교 가정학과, 국제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세종대학교에서 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교수로 있다 「한국복식 풍속사연구」를 냈다.명지대학교 가정학과, 국제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세종대학교에서 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교수로 있다 「한국복식 풍속사연구」를 냈다.
수록내용
조선시대 복식, 관혼상제의 복식 등 수록
- 한국 복식의 기원과 전통
-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복식
- 관모(冠帽)
- 절풍(折風)
- 책(?)
- 변(弁)
- 건귁(巾?)
- 갓(笠)
- 금속관(金屬冠)
- 저고리
- 바지(袴)
- 치마(裳)
- 두루마기(袍)
- 대(帶)
- 버선(襪)
- 신(履)
- 조선 시대의 복식
- 남자 복식
- 왕복과 왕세자복
- 백관복(百官服)
- 서민복
- 수복(首服)
- 관모
- 저고리와 바지
- 두루마기(周衣)
- 대(帶)
- 신(履)
- 여자 복식
- 수복
- 궁중 여복
- 일반 여복
- 유아복
- 평상복
- 명절복
- 기녀복
- 조선 시대의 기녀
- 기녀의 복식 사치
- 기녀의 사치한 복식이 미친 영향
- 관혼상제의 복식
- 관례
- 혼례
- 상례
- 제례
- 옷 짓는 풍속
- 길쌈
- 바느질 도구
- 옷 관리의 풍속
- 궁중의 복식
- 한국 복식의 기원과 전통
-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복식
- 관모(冠帽)
- 절풍(折風)
- 책(?)
- 변(弁)
- 건귁(巾?)
- 갓(笠)
- 금속관(金屬冠)
- 저고리
- 바지(袴)
- 치마(裳)
- 두루마기(袍)
- 대(帶)
- 버선(襪)
- 신(履)
- 조선 시대의 복식
- 남자 복식
- 왕복과 왕세자복
- 백관복(百官服)
- 서민복
- 수복(首服)
- 관모
- 저고리와 바지
- 두루마기(周衣)
- 대(帶)
- 신(履)
- 여자 복식
- 수복
- 궁중 여복
- 일반 여복
- 유아복
- 평상복
- 명절복
- 기녀복
- 조선 시대의 기녀
- 기녀의 복식 사치
- 기녀의 사치한 복식이 미친 영향
- 관혼상제의 복식
- 관례
- 혼례
- 상례
- 제례
- 옷 짓는 풍속
- 길쌈
- 바느질 도구
- 옷 관리의 풍속
- 궁중의 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