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서원 건축과 함께 보는 성리학 정신

서원 건축

제목
서원 건축
저자
김봉렬 저,김봉렬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기술과학 > 건축공학

제품소개

성리학적 이상을 실현할 인물을 배출하는 곳인 동시에 선현을 봉안하고 있는 서원은 사림과 성리학적 정신 세계를 가장 잘 반영한 건축물이다. 순수하고 청정한 학문적 분위기가 흐르는 강학 공간과 경건하고 엄숙한 제향 공간이 건축물의 배치와 구성에 따라 어떻게 분리되고 어우러지는지 소수서원을 비롯하여 20여 개의 서원을 통해 살펴본다.

저자소개

김봉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시절에는 건축연구소 아키반과 삼정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와 문화관광부 문화재전문위원, 김수근 문화재단 전문위원, 한국건축역사학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한국의 건축-전통 건축편』『법주사』『한국 건축과 만남』(전3권) 등이 있고, 한국 건축에 관한 30여 편의 연구 논문과 다수의 현대 건축 비평들이 있다.

수록내용

성리학적 정신과 서원 건축, 서원 건축의 입지와 배치 형식 등

- 서원, 성리학 그리고 사림파
- 사림파의 형성과 성리학적 거대 구조
- 서원 발전의 사회적 원인
- 성리학적 정신과 서원 건축
- 엘리트의 종교, 소수를 위한 공간
- 절검 정신, 그릇으로서의 건축
- 유형학적 원형에 대한 향수
- 경과 성의 공간
- 서원 건축의 입지와 배치 형식
- 서원의 입지
- 서원 건축의 배치 구성
- 서원의 기능과 건물
- 교육 시설로서의 서원
- 강당, 당과 재의 복합 건물
- 재실, 동재와 서재
- 누각, 휴양 장소
- 장판각과 장서각, 출판실과 도서실
- 종교 시설로서의 서원
- 사당, 최고의 위계
- 전사청과 고직사
- 의례용 시설물들
- 서원 건축의 역사
- 시창기의 건축 형식
- 급증기의 건축 형식
- 정비기와 복원기의 건축 형식
- 서원 건축 순례
- 시창기의 서원들
- 소수서원(紹修書院)
- 남계서원(濫溪書院)
- 서악서원(西岳書院)
- 금오서원(金烏書院)
- 옥산서원(玉山書院)
- 도산서원(陶山書院)
- 도동서원(道東書院)
- 병산서원(屛山書院)
- 급증기의 서원들
- 흥암서원(興巖書院)
- 옥동서원(玉洞書院)
- 돈암서원(遯巖書院)
- 노강서원(魯岡書院)
- 필암서원(筆巖書院)
- 무성서원(武城書院)
- 창절서원(彰節書院)
- 파산서원(坡山書院)
- 자운서원(紫雲書院)
- 우저서원(牛渚書院)
- 심곡서원(深谷書院)
- 용연서원(괟淵書院)
- 덕봉서원(德峯書院)
- 소중한 건축 자산, 서원
- 참고 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