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 살펴보는 우리나라 부엌 문화
한국의 부엌

- 제목
- 한국의 부엌
- 저자
- 김광언 저,김광언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예로부터 부엌은 조리와 난방이 이루어지는 곳이자 조왕신을 모시는 종교적 공간이었고, 작업실, 목욕간, 식당을 비롯하여 위안처와 글방 구실까지 겸하였다.
이 책은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는 부엌의 역사와 그 속에 얽힌 이야기를 비롯하여 부뚜막, 아궁이, 굴뚝 등 다양한 우리네 부엌 시설과 세간들을 보여 주고 있다. 또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의 부엌 문화를 통해 숟가락 하나에서도 앞선 생활문화를 만들어 갔던 선조들의 지혜를 엿보게 한다.
이 책은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는 부엌의 역사와 그 속에 얽힌 이야기를 비롯하여 부뚜막, 아궁이, 굴뚝 등 다양한 우리네 부엌 시설과 세간들을 보여 주고 있다. 또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의 부엌 문화를 통해 숟가락 하나에서도 앞선 생활문화를 만들어 갔던 선조들의 지혜를 엿보게 한다.
저자소개
김광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와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를 거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문화인류학 전공)를 졸업했다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농기구』, 『한국의 옛집』, 『한국의 민속놀이』,『한국농기구 고』(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한국의 주거 민속지』, 『풍수지리』, 『의 민속지』, 『한국의 부엌』, 『우리 문화가 온 길』, 『한국의 집지킴이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디딜방아연구』, 『우리생활 백년 ‘집’』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와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를 거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사회학 연구과(문화인류학 전공)를 졸업했다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농기구』, 『한국의 옛집』, 『한국의 민속놀이』,『한국농기구 고』(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한국의 주거 민속지』, 『풍수지리』, 『의 민속지』, 『한국의 부엌』, 『우리 문화가 온 길』, 『한국의 집지킴이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디딜방아연구』, 『우리생활 백년 ‘집’』 등이 있다.
수록내용
우리나라 부엌 문화 전반을 사진과 함께 소개
- 책 머리에
- 부엌의 역사
- 부엌의 민속
- 부엌 지킴이
- 부엌 시설
- 부뚜막
- 아궁이
- 굴뚝
- 솥
- 화투
- 그 밖의 부엌 시설
- 등디
- 찬장
- 살강
- 두멍
- 부엌 세간
- 반찬을 만드는 기구
- 쟁개비
- 신선로
- 번철
- 석쇠
- 뚝배기
- 자배기
- 옹자배기
- 도마
- 칼
- 강판
- 음식을 떠 옮기는 기구
- 주걱
- 국자
- 구기
- 석자
- 복자
- 용수
- 바가지
- 숟가락
- 젓가락
- 별식을 만드는 기구
- 시루
- 안반
- 떡메
- 떡살
- 떡칼
- 밀판과 방망이
- 다식판
- 겅그레
- 국스틀과 국수자루
- 소줏고리
- 기름틀
- 체, 쳇다리, 쳇도리
- 식기류
- 소반류
- 기타기구
- 조리
- 이남박
- 개수통
- 뒤웅박
- 초병
- 가마솥
- 뒤주
- 확돌
- 부엌의 구조
- 샘과 우물
- 장독대
- 지역적인 차이
- 일본에 건너간 우리 부엌 문화
- 맺음말
- 참고 문헌
- 책 머리에
- 부엌의 역사
- 부엌의 민속
- 부엌 지킴이
- 부엌 시설
- 부뚜막
- 아궁이
- 굴뚝
- 솥
- 화투
- 그 밖의 부엌 시설
- 등디
- 찬장
- 살강
- 두멍
- 부엌 세간
- 반찬을 만드는 기구
- 쟁개비
- 신선로
- 번철
- 석쇠
- 뚝배기
- 자배기
- 옹자배기
- 도마
- 칼
- 강판
- 음식을 떠 옮기는 기구
- 주걱
- 국자
- 구기
- 석자
- 복자
- 용수
- 바가지
- 숟가락
- 젓가락
- 별식을 만드는 기구
- 시루
- 안반
- 떡메
- 떡살
- 떡칼
- 밀판과 방망이
- 다식판
- 겅그레
- 국스틀과 국수자루
- 소줏고리
- 기름틀
- 체, 쳇다리, 쳇도리
- 식기류
- 소반류
- 기타기구
- 조리
- 이남박
- 개수통
- 뒤웅박
- 초병
- 가마솥
- 뒤주
- 확돌
- 부엌의 구조
- 샘과 우물
- 장독대
- 지역적인 차이
- 일본에 건너간 우리 부엌 문화
- 맺음말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