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전통시대 동아시아를 지배했던 유교사상의 핵심경서

십삼경

제목
십삼경
저자
십삼경 저본,한국사사료연구소 편
발행처
한국사사료연구소
발행년도
2008-03-3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특징

총 3,435개의 목차별 내용열람 가능
각 경전별 교감 및 주석내용 등 최고의 판본을 원본으로 구성
유니코드 한자 지원을 통한 원문 낱자 검색의 지원

제품소개

13경 (十三經)은 유교의 가장 중요한 경서 13종의 총칭으로 〈주역 周易〉〈서경 書經〉〈시경 詩經〉〈주례 周禮〉〈예기 禮記〉〈의례 儀禮〉〈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춘추공양전 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 春秋穀梁傳〉〈논어 論語〉〈효경 孝經〉〈이아 爾雅〉〈맹자 孟子〉 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주역〉〈서경〉〈시경〉〈예기〉는 〈춘추〉와 함께 5경(五經)이라 부르는 것으로 전한(前漢) 때 국학(國學)으로 채택했고, 당나라 때에는 이전까지의 주(注)·소(疏)를 모아 〈오경정의 五經正義〉가 편찬되었습니다. 그리고 〈의례〉〈주례〉는 예서(禮書)이고, 〈좌씨전〉〈공양전〉〈곡량전〉은 〈춘추〉의 해석서이며, 〈논어〉〈효경〉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어록을 담은 책입니다. 〈이아〉는 고금(古今)·각지의 언어와 제도 등을 수록한 책이며, 〈맹자〉는 제자(諸子)의 하나로 취급되던 것입니다.

후한(後漢) 이후 이러한 책들이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7경·9경·12경 등으로 분류되다가 남송(南宋) 때 처음으로 13경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주석서 및 해설서로〈십삼경주소 十三經注疏〉〈십삼경유어 十三經類語〉〈십삼경의의 十三經義疑〉 등이 있습니다.

13경 (十三經)은 유교사상의 핵심경서를 모두 모아놓은 것으로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유구한 역사와 지대한 사회적 영향을 끼친 유교사상을 이해하는 중추적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께 유용한 지식콘텐츠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자소개

십삼경
논어(論語); 완원(阮元) 교각본(校刻本) 심삽경주소≪十三經注疏≫


맹자(孟子); 완원(阮元) 교각(校刻) 십삽경주소≪十三經注疏≫ (1980年 北京 中華書局 影印本)


모시(毛詩-시경); 모시정의≪毛詩正義≫ 완원(阮元) 교각(校刻), 십삼경주소 본≪十三經注疏≫本


상서(尙書-서경); 완원(阮元) 교각(校刻),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예기(禮記); 예기훈찬≪禮記訓纂≫ 청 주빈 찬(淸 朱彬 撰), (1996年 北京 中華書局, 饒欽農 點校 排印本)


의례(儀禮); 양천우 찬(楊天宇 撰), 의례역주≪儀禮譯注≫ (1994, 上海古籍出版社)


이아(爾雅); 서조화 주(徐朝華 注), 이아금주≪爾雅今注≫, 1987[1994수정판], 南開大學出版社


좌전(左傳); 양백준 편저(楊伯峻 編著), 춘추좌전주≪春秋左傳注≫ 1981, 北京 中華書局


주례(周禮); 주례금주금역≪周禮今注今譯≫ (臺灣 商務印書館)


주역(周易); 황수기(黃壽祺),장선문(張善文) 찬(撰), 주역역주≪周易譯注≫ 上海古籍出版社.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완원(阮元) 교각본(校刻本)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완원(阮元) 교각본(校刻本)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효경(孝經); 효경정의≪孝經正義≫ 완원(阮元) 교감(校勘), 심삽경주소 본≪十三經注疏≫本



한국사사료연구소
한국사 사료 연구소는 우리의 선조들이 남겨준 수 많은 사료들이 제대로 정리되고 있지 않아 국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초 사료의 전산화와 이 과정을 통한 한적자료 전산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한국사 사료 연구소는 서울대학교 중문학과 허성도 교수에 의하여 설립, 운영되었으며 國學 東洋學 硏究資料集成 입력을 마지막 사업으로 활동을 정지하였습니다. 한국사 사료 연구소가 처음 설립되었던 1980년대는 한적자료 전산화에 대한 개념도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시기로, 한적자료 입력에 따른 수 많은 난관을 헤치며 한자 코드화에 대한 성과를 일궈내는 등 민간의 후원만으로 소중한 한국사 사료의 많은 부분을 전산화하였습니다.
* 한국사 사료 연구소 소개 페이지(http://www.eoneo.com/eoneodb/hsy/)


수록내용

논어(論語)
맹자(孟子)
모시(毛詩-시경)
상서(尙書-서경)
예기(禮記)
의례(儀禮)
이아(爾雅)
좌전(左傳)
주례(周禮)
주역(周易)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효경(孝經)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