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구술사례를 통해 해방 후 한인 귀한의 실상을 설명하다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

제목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
저자
장석흥 외 저
발행처
역사공간
발행년도
2014-09-1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현대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근현대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는 한인 귀환의 과제, 강제동원과 귀환의 실상 등 한인 귀환이 남긴 역사적 과제와 구술사례를 통한 귀환의 실상 등을 다룬다.

저자소개

장석흥
1956년 충남 공주출생국민대 국사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고 현재 국민대 국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주요 저서로는 '안중근의 생애와 구국운동(1992)', '6.10만세운동연구(1995)', '한국민족운동사연구(공저, 2003)',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집성촌과 사족(공저, 2004)', '동암 차리석과 대한민국임시정부(2000)', '해방직후 상해지역의 한인사회와 귀환(2004)' 외 다수가 있다.

수록내용

한인 귀환의 과제, 강제동원과 귀환의 실상, 귀환 생존자의 구술 사례 등과 도판 수록

- 머리말
- 1부 한인 귀환의 과제
- 해외 이주의 강제성과 귀환 문제
- 한인 해외 이주의 강제성
- 해방과 해외 한인의 귀환
- 해외 한인의 미귀환과 과제
- 귀환 연구의 성과와 과제
- 귀환 연구의 범주와 역사성
- 귀환 연구의 성과와 검토
- 귀환 연구의 과제와 전망
- 해방 후 재일 한인의 지위와 귀환
- 해방 후 재일 한인의 지위
- 재일 한인의 귀환
- 재외동포법과 재중 한인의 법적 지위
- 재중한인의 이주사와 중국 국적 취득과정
- 재외동포법의 제정과 주요 내용
- 재외동포법과 향후 대책
- 사할린 억류한인의 국적귀속과 법적 제 문제
- 사할린 거주 일본인의 귀환
- 사할린 한인의 국적문제
- 사할린 한인의 법적 제 문제
- 한인 포로감시원의 BC급 전범 처리와 문제점
- 포로감시원이 된 과정과 역할
- 태평양전쟁 종결과 전범재판
- 2부 강제동원과 귀환의 실상
- 강제동원 한인노무자들의 '노예노동' - 차별ㆍ혹사ㆍ굶주림 속에 보낸 청춘
- 강제동원의 역사적ㆍ사회적 배경
- 강제동원의 실상
- 전남지역 한인의 강제동원과 귀환
- 구술조사 과정
- 조사 내용
- 귀환 과정
- 전남지역으로 귀환한 해외한인의 실상
- 전남에서의 해외이주
- 전남의 군별 귀환 실태
- 귀환자 정착을 위한 활동
- 귀환 생존자의 구술 사례 - 전남 함평ㆍ장성 지역을 중심으로
- 조사 과정 및 내용
- 구술자료의 활용
- 귀환 사례
- 인천지역의 '전쟁동포' 구호활동 - 『대중일보』기사를 중심으로
- 전재동포의 인천 귀환
- 귀환 전재동포에 대한 구호
- 귀환 전재동포 단체의 등장과 활동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