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별 독립운동의 전개과정을 정리하다
한국독립운동사 -해방과 건국을 향한 투쟁-

- 제목
- 한국독립운동사 -해방과 건국을 향한 투쟁-
- 저자
- 박찬승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14-09-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1910년대 국내외 독립운동의 출발,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출범, 1920년대 국내 독립운동의 좌우 분화와 상호연대, 1930년대 독립운동 진영의 재편, 중일전쟁ㆍ태평양전쟁 시기 독립운동 세력의 결집 등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기별로 독립운동의 전개과정을 정리했다
저자소개
박찬승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방문교수, 역사문화학회 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목포대학교, 충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국학연구소) 소장,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상임연구위원, 한국사학사학회 부회장, 한국사연구회 이사, 기록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편집위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용구 교수를 중심으로 한 개념사 프로젝트의 연구진으로 활동하고 있다.저서로『한국근대 정치사상사연구』(1992),『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편저, 1994),『민족주의의 시대―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2007),『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2008),『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33)(2009),『한국 근현대사를 읽는다』(편저, 2010)가 있으며 그 밖에도 다수의 논문을 국내에 발표했다.
수록내용
일본의 한국병합과 국내외 독립운동의 개시, 3·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 ‘문화정치’와 민족·사회주의운동의 분화, ‘만주사변’ 이후 독립운동 진영의 재편, 중일전쟁·태평양전쟁기 독립운동 세력의 결집, 주요사건일지 등 수록
- 발간사 :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책머리에 : 한국 독립운동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01. 일본의 한국병합과 국내외 독립운동의 개시(1910∼1919)?
- 일본의 한국병합과 조선총독부 설치
-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무단통치'
- 의병과 비밀결사로 일제에 저항하다
- 서북간도에 독립운동 근거지를 만들다
- 러시아와 미주에서 독립운동이 시작되다
- 스페셜 테마 : 일제 침략에 저항하여 자결 순국한 이들
- 02. 3ㆍ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1919∼1930)?
- 1919년, 독립만세의 함성이 메아리치다
- 민주공화제의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다
- 임시정부, 리더십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
- 국민대표회의와 민족유일당 운동
- 독립군,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대승을 거두다
- 의열단, 총독부와 동척에 폭탄을 던지다
- 03. '문화정치'와 민족ㆍ사회주의운동의 분화(1919∼1930)?
- 사이토 총독의 이른바 '문화정치'
- 문화운동'과 자치운동의 모색
- 민족협동전선으로서 신간회를 결성하다
- 사회주의운동이 시작되다
- 6ㆍ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다
- 청년ㆍ노동ㆍ농민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다
- 스페셜 테마 :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악법들
- 04. '만주사변' 이후 독립운동 진영의 재편(1931∼1936)?
- 우가키 총독의 '농촌안정'과 '자원수탈' 정책
-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혁명적 노동ㆍ농민운동
- 한인애국단, 임시정부를 구하다
- 정당 중심의 독립운동이 시작되다
- 만주에서 유격대의 무장투쟁이 전개되다
- 스페셜 테마 : 아나키스트의 독립운동
- 05 중일전쟁ㆍ태평양전쟁기 독립운동 세력의 결집(1937∼1945)?
- 미나미 총독의 황국신민화 정책
- 전시체제와 강제동원
- 국내 항일운동 세력, 해방을 준비하다
- 중국 관내 좌우파, 연합을 시도하다
- 화북ㆍ만주의 무장 세력, 후일에 대비하다
- 임시정부, 좌우 통합정부로 다시 태어나다
- 06 글을 맺으며 _ 한국 독립운동의 의의와 한계?
- 한국 독립운동의 의의
- 한국 독립운동의 한계
- 독립의 완성은 통일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발간사 :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 책머리에 : 한국 독립운동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01. 일본의 한국병합과 국내외 독립운동의 개시(1910∼1919)?
- 일본의 한국병합과 조선총독부 설치
-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무단통치'
- 의병과 비밀결사로 일제에 저항하다
- 서북간도에 독립운동 근거지를 만들다
- 러시아와 미주에서 독립운동이 시작되다
- 스페셜 테마 : 일제 침략에 저항하여 자결 순국한 이들
- 02. 3ㆍ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1919∼1930)?
- 1919년, 독립만세의 함성이 메아리치다
- 민주공화제의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다
- 임시정부, 리더십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
- 국민대표회의와 민족유일당 운동
- 독립군,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대승을 거두다
- 의열단, 총독부와 동척에 폭탄을 던지다
- 03. '문화정치'와 민족ㆍ사회주의운동의 분화(1919∼1930)?
- 사이토 총독의 이른바 '문화정치'
- 문화운동'과 자치운동의 모색
- 민족협동전선으로서 신간회를 결성하다
- 사회주의운동이 시작되다
- 6ㆍ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다
- 청년ㆍ노동ㆍ농민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다
- 스페셜 테마 :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악법들
- 04. '만주사변' 이후 독립운동 진영의 재편(1931∼1936)?
- 우가키 총독의 '농촌안정'과 '자원수탈' 정책
-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혁명적 노동ㆍ농민운동
- 한인애국단, 임시정부를 구하다
- 정당 중심의 독립운동이 시작되다
- 만주에서 유격대의 무장투쟁이 전개되다
- 스페셜 테마 : 아나키스트의 독립운동
- 05 중일전쟁ㆍ태평양전쟁기 독립운동 세력의 결집(1937∼1945)?
- 미나미 총독의 황국신민화 정책
- 전시체제와 강제동원
- 국내 항일운동 세력, 해방을 준비하다
- 중국 관내 좌우파, 연합을 시도하다
- 화북ㆍ만주의 무장 세력, 후일에 대비하다
- 임시정부, 좌우 통합정부로 다시 태어나다
- 06 글을 맺으며 _ 한국 독립운동의 의의와 한계?
- 한국 독립운동의 의의
- 한국 독립운동의 한계
- 독립의 완성은 통일
- 부록
- 주요사건일지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