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문학을 통해 살펴본 구한말 우리 민중의 삶과 의식

변혁주체와 한국문학 - 소설로 보는 근현대사 (1894-1989)

제목
변혁주체와 한국문학 - 소설로 보는 근현대사 (1894-1989)
저자
임헌영 외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12-10-26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구한말에서 현재까지 우리 민중은 어떤 민족사적 과제 속에서

자신들의 삶과 의식을 발전시켜왔는가.

우리는 역사·사회과학만이 아닌 문학을 통해서도 이를 살필 수 있다.

문학은 현실의 반영이며 동시에 현실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국문학사가 각 시기에 민족의 현실과 변혁주체를 어떻게 형상화해 냈으며,

그 해결과제에 대해 얼마나 성실히 답변하려 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훼손·단절된 한국 문학사를 복원하고,

동시에 급격히 고조되고 있는 근현대사에 대한 일반의 관심에 보다 친밀히 부응하려 한다.

- 책 본문 중 발췌 -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좌담 - 변혁주체와 한국문학 : 4·19 이후의 변혁운동과 문학

동학농민전쟁과 역사소설 _ 이상경

신소설을 통해 본 개화파의 변혁주체로서의 한계 _ 양문규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 : 3·1운동을 전후한 민족부르주아지의 활동 _ 김철

일제하 노동운동과 노동소설 _ 김재용

1930년 전후의 농민운동과 그 소설적 형상화 : 『농민소설집』·『고향』·『사하촌』을 중심으로 _ 김명인

해방공간 소설의 현실인식과 그 전망 _ 서경석

분단과정의 소설적 표현 _ 황광수

보론 - 민족해방운동 주체세력의 문학적 형상화 _ 오현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