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말할 수 없었던 그리고 아무도 묻지 않았던 전쟁미망인의 삶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 구술로 풀어 쓴 한국전쟁과 전후 사회

제목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 구술로 풀어 쓴 한국전쟁과 전후 사회
저자
이임하 저
발행처
책과함께
발행년도
2013-03-06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한국현대사와 여성'이라는 주제에 10년 넘게 천착해온 역사학자 이임하의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이 책은 '전쟁미망인'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과정에서 탄생한 전쟁미망인은 '국가적 차원의 전쟁'이 '개인의 일상'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낼 뿐 아니라, 전쟁 후 국가가 어떻게 개인에게 전쟁의 책임을 전가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저자 이임하는 인터뷰를 통해 전쟁미망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그 구술 내용을 토대로 그들의 삶을 복원하고 분석했다. 그 대상은 전쟁미망인(군경미망인, 피학살자미망인, 상이군인미망인)과 그 자녀 45명이다(인권 보호 차원에서 책에 실린 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으로 처리했다).

이들은 인터뷰를 통해 자신들(또는 자신의 어머니)이 전쟁과 전후(戰後)를 어떻게 살았는지를 있는 그대로 증언한다. 전쟁 당시 남편을 잃게 된 경위, 피난 과정, 전후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 가장이 되어 사회로 진출한 정황, 국가의 전쟁미망인 서열화 정책 등이 그들의 입을 통해 서술된다. 저자는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주류가 아닌 소수자의 시선을 중시하고 행위자를 중심으로 역사를 구성하였다.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_한국전쟁과‘전쟁미망인’

1. 전쟁, 그 뒤로도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남긴 상처

2. 왜 ‘전쟁미망인’인가?

3. 어떻게 들을 것인가?

4. 누구를 만났는가? - ‘전쟁을 맞으며 살아온 여성들'

●1부 전쟁과 집 밖 세상

1. 군경미망인의 전쟁 경험

남편과의 이별 그리고 전사 통지서

집 밖 세상으로의 피난

2. 피학살자 미망인의 전쟁 경험

끌려간 남편 그리고 학살

남편 찾아다니기

3. 상이군인미망인의 전쟁 경험

상이군인과 결혼하기

전쟁의 상흔을 안고 살아가기

●2부 낯선 세상에서 생존하는 길

1. 농업 노동과 가사 노동

2. 행상과 좌판

3. 여성 전문직, 바느질

4. 정규직, 공장노동자

5. 전쟁미망인 노동의 특징

●3부 가부장과‘아직 죽지 아니한 아내'

1. 결혼하기

2. 일상의 감시와 통제

'며느리' 만들기

'아내' 감시하기

●4부 여성 가장과 새로운 공간의 창출

1. 공간 만들기와 전략들

분가남편의 집을 나와 새로운 공간을 만들다

의지할 곳을 찾아 나선 피학살자미망인

출산으로 존재 확인하기

2. 여성 가장이 만든 가족

‘강한’ 어머니

아버지의 영역과 부재

3. 전쟁미망인과 ‘여성 가장’이라는 여성 주체

전쟁미망인의 법률적 지위

살아가는 법

●5부 봉쇄된 균열

1. 국가 폭력과 침묵하게 하기

개인의 슬픔을 초월하기

금지된 추모와 기념

2.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

모성애인가, 이성애인가

재혼에 대한 담론

전쟁미망인의 몸은 시가의 소유

3. 전후 처리에서 선택된 여성과 배제된 여성

전쟁미망인들을 위계화하기

전쟁 피해자, 2만 명뿐인가?

위계화의 효과

●에필로그_전쟁과 트라우마 - ‘전쟁은 없어야 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