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논산 병사마을의 역사와 문화

논산 병사마을:호서3개명족노성윤씨가의옛터전

제목
논산 병사마을:호서3개명족노성윤씨가의옛터전
저자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저,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사진
발행처
대원사
발행년도
2014-03-3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지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에서 현대화가 되면서 해체되는 마을에 문제의식 가지고 2004년 ‘마을연구단’을 조직하여 충남지역 마을 9곳을 지정하여 매년 3곳씩 심층 조사하여 그 결과를 연구 논문과 ‘마을지’로 꾸미기로 하였다. 『논산 병사마을』은 8번째 마을지이다.
병사리는 예로부터 선비들이 목포에서 남원―논산―공주를 거쳐 수원―한양까지 과거시험을 보러 다녔던 일명 ‘이도령 도로’(논산―공주 간 23번 국도 옆 도로)를 끼고 있는 노성면 소재지로부터 약 3킬로미터 정도 서쪽에 위치한 농촌마을이다.
계룡산 서남쪽 논산 들판에 자리한 병사리는 16세기 후반 파평윤씨의 후손 윤창세가 부친의 묘소를 이곳 비봉산 자락에 모시고, 자신도 이곳에 들어와 살게 된 것을 계기로 형성된 마을이다. 이후 1894년 신분제 해방에 이르기까지 수백 년간 윤씨 일문(一門)과 더불어 재실과 묘소, 종학당, 신도비, 의창, 유봉영당, 그리고 갖가지 설화 등 파평윤씨와 관련된 건축물과 상징들이 마을의 물질경관을 이루고 있다. 마을 중앙에는 1950년대에 축조된 병사저수지가 자리하고 있어 병사리의 풍광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한편 접지산 아래 접지미저수지를 둘러싸고 안온하게 자리 잡고 있는 병사2리는 명문 사족 노성윤씨의 영향 아래서도 오랫동안 자신들의 삶을 가꿔나간 밀양박씨 규정공파의 종족마을이다. 병사리 마을지는 씨줄과 날줄로 엮어지는 이들의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꾸며본 것이다.

저자소개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김필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전임강사, 지리학


곽호제: 청양대학 초빙교수, 국사학


유보경: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사회학


이연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김현숙: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사학


박종익: 마을연구단 전임연구원, 국문학

수록내용

논산 병사마을의 역사와 문화

- 머리말
- 총론 : 호서 3대 명족(名族) 노성 윤씨가의 옛 터전
- 마을의 형성과 전개
- 사회관계와 생산 활동
- 종족마을의 잔영(殘影)과 변화
- 자연환경과 인문경관
- 지리적 위치
- 마을의 인문경관
- 노성파평윤씨의상징적중심: ‘병사(丙舍)’, ‘유봉(酉峯)’, ‘종학(宗學)’
- 거주지 확대와 경관의 경쟁
- 생태적 공간구성
- 마을의 지명
- 병사(丙舍)
- 유봉(酉峯)
- 접지미(덕지미, 접지산 接枝山)
- 기타
- 마을의 역사
- 마을 연혁
- 마을의 형성
- 파평윤씨 종족마을의 형성
- 접지미 밀양박씨 종족마을 형성
- 조선시대 병사리와 파평윤씨의 위상
- 파평윤씨의 문중 형성과 문중활동
- 종학(宗學)의 설립과 운영
- 노성민란과 동학농민운동
- 일제강점기 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경험
- 마을운영의 변화와 주민들의 경험
- 병사리 사람들의 항일민족운동
- 해방 후 마을의 변화
- 해방과 한국전쟁기의 경험
- 농지개혁과 주민변동
- 파평윤문의 문중재산과 영향력
- 새마을운동
- 경제활동
- 경제활동 개관
- 미작농업
- 벼농사
- 밭농사
- 특수작물의 재배와 축산
- 시설농업 : 딸기와 멜론
- 경작과정과 노동력
- 판매와 소득
- 과수
- 인삼
- 담배
- 축산
- 경제적 전망
- 사회생활과 문화
- 인구와 가족구성
- 인구구성과 변화
- 가족규모와 구성형태
- 친족관계와 문중조직
- 성씨의 구성
- 파평윤씨의 대종회
- 밀양박씨의 종중회
- 마을의 공적조직
- 마을총회와 이장
- 부녀회
- 노인회
- 청년회
- 향촌의 미풍양속을 계승하는 계(契)
- 반계(班契)
- 접지산 동중계(洞中契)
- 일심회
- 작목반
- 교육과 종교활동
- 노성초등학교
- 노성중학교
- 종교활동
- 마을의 전망
- 제례와 일상생활 속의 음식문화
- 병사마을의 제사의례
- 노종파 대종중의 시제
- 팔송 윤황종중의 불천위제
- 덕지미 밀양박씨의 제례
- 병사마을의 제례음식
- 파평윤씨 대종중의 시제음식
- 명재 윤증종중의 기제사 음식
- 덕지미 밀양박씨의 제례음식
- 병사리의 일상음식
- 파평윤씨 종가집의 먹거리?
- 병사리 음식 ‘보리풀떼기’
- 노동음식 ‘꼼뱅이’와 가용주
- 민속과 구전자료
- 병사1리의 산신제
- 세시풍속
- 혼인의례
- 제사의례
- 구전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