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원효의 번뇌론 논문체의 저술

이장의(二障義)

제목
이장의(二障義)
저자
원효 저,은정희 역주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3-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특징

번역문, 원문 구성
원효(元曉)가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을 육단(六段)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논술

제품소개

『이장의(二障義)』는 원효 윤리관의 실천적인 측면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논서 <이장의>를 번역하고 주석을 붙인 제품입니다. 원효 자신의 학설을 밝히는데 꼭 필요한 저서일 뿐만 아니라, 중국 화염종의 대표자인 법장과의 관계를 해명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닙니다. 『이장의(二障義)』는 원효의 중생의 깨달음에 목표를 두고 있는 그의 윤리관이 특히 실천적인 측면에서 가장 잘 드러나 있는 논서이며 원효사상이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생들이 왜 미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 또 어떻게 이 번뇌를 차단하여 깨달음을 얻도록 할 것인지를 상세히 논구하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원효
현재의 경북 경산군 자인면에서 설 잉파공의 손자이며 담내내말의 아들로 태어났다. 100여 종 23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내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22부 27권이다. 완본은 『대승기신론소ㆍ별기』, 『금강삼매경론』, 『이장의』 등 10권 정도가 있다.

은정희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상임연구원과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를 엮임하였다.

역서로는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서애집』, 『미수기언』(공역)이 있으며,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별기』, 『원효의 금강삼매경론』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원효의 삼세·아라야식설의 창안」, 「원효의 본체·현상 不二觀」등 다수가 있으며, 저서로는 『원효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공저), 『한국의 사상가 10인:원효』(공저)등이 있다.

수록내용

제1장 명칭을 해석함
제2장 체상을 나타냄
제3장 공능을 분별함
제4장 각각의 문이 포섭하고 있는 번뇌의 종류를 밝힘
제5장 다스려 끊음을 밝힘
제6장 총괄하여 결택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