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별로 살펴보는 우리나라 전통 건축의 과학성
전통 과학 건축

- 제목
- 전통 과학 건축
- 저자
- 손영식 저,이응준 사진,최진연 사진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14-04-21
제품요청
원저작권자의 요청으로 개인서비스이용권 구매 시에도 열람이 불가합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건축
- [KDC ] 기술과학 > 건축공학
제품소개
선조들은 건물 하나하나에도 오랜 세월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해 온 과학적 사고를 실용적인 생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 책에서는 우리 선조들이 이룩해 놓은 생활 과학 건축물인 봉수대와 석빙고, 천문대를 주대상으로 하고 그 밖에 고분, 교량, 성곽 등을 건축적인 관점에서 소개하였다.
저자소개
손영식
이응준
최진연
공학박사,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보수과장을 거쳐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사무국 과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 성곽의 연구』 『전통 과학 건축』 등이 있고, 공저로 『한국의 문화 유산』 『북한의 문화 유산』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여러 논문이 있다.
이응준
한국사진작가협회 상업사진분과위원으로 있다. 한국도로공사, 국제관광공사 사진공모전에서 입상했고, 문화재보호사진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주요 촬영 책자로는 『문화재대관 보물편』 중ㆍ하권 『한국 고미술 진품 도록』 『문화재대관 사적편』 상ㆍ하권 등이 있다.
최진연
제6회 대한민국 사진전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영상스튜디오 대표를 맡고 있다. 1988년 ‘아메리카의 인상’이란 주제로 제1회 개인전을 가졌고 1991년 ‘한국의 옛 성곽’ 주제로 2회 개인전을 열었다. 대한사진예술가협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수록내용
봉수대, 석빙고, 천문대 등의 과학건축을 설명하고 성곽, 고분, 다리의 축조방법을 사진과 함께 해설
- 머리말
- 봉수대
- 봉수의 역사
- 고려
- 조선
- 봉수제의 운영
- 봉수군의 펀성과 신분
- 신호 방식
- 봉수의 종류
- 경봉수
- 연변 봉수
- 내지 봉수
- 봉수대의 구조
- 대표적인 봉수대
- 목벽산 봉수대
- 화성 봉수대
- 적대봉 봉수대
- 석빙고
- 역사
- 운영
- 구조
- 목빙고(木?庫)
- 석빙고(石?庫)
- 현존 석빙고
- 경주 석빙고
- 안동 석빙고
- 창녕 석빙고
- 청도 석빙고
- 현풍 석빙고
- 영산 석빙고
- 해주 석빙고
- 천문대와 관측 기구
- 역사
- 천문대와 관측의기
- 간의(簡儀)
- 혼천의(渾天儀)
- 혼상(渾象)
- 자격루(自擊漏)
- 앙부일구(仰釜日晷)
- 측우기(測雨器)
- 규표(圭表)
- 천문대의 위치
- 천문대의 구조
- 현존 천문대
- 경주 첨성대(국보 제31호)
- 고려 첨성대
- 관상감 관천대(觀象監 觀天臺, 사적 제296호)
- 관천대(觀天臺, 보물 제851호)
- 성곽
- 성곽의 종류
- 산성(山城)
- 도성(都城)
- 읍성(邑城)
- 성곽의 구조 및 형식
- 성벽(城壁)
- 성벽과 부대 시설
- 성문(城門)
- 문과 부대 시설
- 성 안팎의 시설물
- 고분
- 구분
- 현실(널방)
- 위치
- 축조 기법
- 천장의 구조 형식
- 고분의 부대 시설
- 바닥 처리
- 배수 처리
- 봉토의 보호 시설
- 다리
- 종류
- 흙다리〔土橋〕
- 나무다리〔木橋〕
- 돌다리〔石橋〕
- 형식
- 보다리〔桁橋, 板橋〕
- 구름다리〔虹橋〕
- 징검다리〔跳橋〕
- 배다리〔舟橋, 浮橋〕
- 누다리〔樓橋〕
- 매단다리〔弔橋〕
- 참고 문헌
- 머리말
- 봉수대
- 봉수의 역사
- 고려
- 조선
- 봉수제의 운영
- 봉수군의 펀성과 신분
- 신호 방식
- 봉수의 종류
- 경봉수
- 연변 봉수
- 내지 봉수
- 봉수대의 구조
- 대표적인 봉수대
- 목벽산 봉수대
- 화성 봉수대
- 적대봉 봉수대
- 석빙고
- 역사
- 운영
- 구조
- 목빙고(木?庫)
- 석빙고(石?庫)
- 현존 석빙고
- 경주 석빙고
- 안동 석빙고
- 창녕 석빙고
- 청도 석빙고
- 현풍 석빙고
- 영산 석빙고
- 해주 석빙고
- 천문대와 관측 기구
- 역사
- 천문대와 관측의기
- 간의(簡儀)
- 혼천의(渾天儀)
- 혼상(渾象)
- 자격루(自擊漏)
- 앙부일구(仰釜日晷)
- 측우기(測雨器)
- 규표(圭表)
- 천문대의 위치
- 천문대의 구조
- 현존 천문대
- 경주 첨성대(국보 제31호)
- 고려 첨성대
- 관상감 관천대(觀象監 觀天臺, 사적 제296호)
- 관천대(觀天臺, 보물 제851호)
- 성곽
- 성곽의 종류
- 산성(山城)
- 도성(都城)
- 읍성(邑城)
- 성곽의 구조 및 형식
- 성벽(城壁)
- 성벽과 부대 시설
- 성문(城門)
- 문과 부대 시설
- 성 안팎의 시설물
- 고분
- 구분
- 현실(널방)
- 위치
- 축조 기법
- 천장의 구조 형식
- 고분의 부대 시설
- 바닥 처리
- 배수 처리
- 봉토의 보호 시설
- 다리
- 종류
- 흙다리〔土橋〕
- 나무다리〔木橋〕
- 돌다리〔石橋〕
- 형식
- 보다리〔桁橋, 板橋〕
- 구름다리〔虹橋〕
- 징검다리〔跳橋〕
- 배다리〔舟橋, 浮橋〕
- 누다리〔樓橋〕
- 매단다리〔弔橋〕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