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기록관리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제목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저자
곽건홍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기록이 없으면 역사가 없다

공공기록관리법이 제정된 직후인 1999년 공공기록관리법의 탄생과 함께 역사학계에는 '기록학' 혹은 '기록(보존)관리학'이라는 분과학문이 생겨났다.

이 책은 막 3년여의 역사를 지난 우리 기록학계의 국가기록 관련 첫 단행본으로 기록될 연구 성과를 모은 책이다.

정부보존기록소에 몸담고 있는 저자가 공공기록관리법이 존재하는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역사연구자와 한국사회 구성원들에게 이 법을 소개하며 기록관리 현장에서 느끼고 고민했던 문제들, 국가기록관리에 대한 최소한의 원칙을 표현하고, 그것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수록내용

목차
책을 내면서
들어가는 말

제1장 역사기록관에 '기록이 없다'
1. '기록관' 없는 기록관리
2. 기록의 '조직적' 폐기구조
보존 기간 책정의 비전문성
기록생산기관의 '자의적'인 기록 폐기

제2장 공공기록관리법은 '개혁적'인가
1. 공공기록관리법 제정과정
2. 공공기록관리법의 개혁성
역사적 가치평가를 위한 새로운 진전
기록의 등록과 생산의무
지방역사기록관·기록관 등 기록관리기관의 설립
기록관리전문가의 배치 의무
3. 공공기록관리법의 한계: 미완성의 개혁입법
'변화하지 않은' 정부기록보존소의 위상
'특수'와 예외의 인정

제3장 정부기록보존소 변혁을 위한 원칙들
1. 전문성: 기록관리전문가 조직으로의 전환
2. 독립성: 기록관리정책 기관으로의 발전과 '국가기록관리위원회'
3. 주체성: 한국적 기록관리의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제4장 지방의 기록문화는 기록관리기관 설립에서 시작된다
1. 지방의 역사가 사라지고 있다
2. 기록문화의 뿌리: 지방역사기록관과 기록관
지방역사기록관(Archives)의 설립방향
지역적 특성을 갖는 기록관(Records Center)의 설립방향
3. 지방역사기록관 설립을 위한 기록문화운동을 전개하자

제5장 기록유산의 창조자 아키비스트
1. 기록관리전문가를 공공기관에 배치해야 한다
2. 아키비스트 윤리의 주체적 확립과 실천

제6장 우리시대 기록의 상징이 필요하다
1. 대통령기록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대통령기록 관리의 역사적 전개
공공기록관리법상 대통령기록 관리규정과 그 특징
대통령비서실과 '대통령비서실 기록관'의 기록관리
중앙기록물관리기관 산하 '대통령기록관'의 기록관리
제15대 대통령기록 이관문제 검토
2. '내용을 갖춘' 회의록을 남기자
왜 회의록인가
회의 기록 없는 관행의 재생산구조
공공기록관리법과 회의록 생산실태
3. 대통령기록·회의록 등 중요 기록의 비공개 문제
4. 전자기록도 공공기록이다
전자기록의 생산과 관리방식
전자기록 관리의 원칙과 방향

맺음말 - 새로운 국가기록 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하여

부록
북한의 기록관리업무
북한
철저한 국정기록과 적극적인 정보공개를 촉구하는 역사연구자 및 교사 선언
공공기록물관리법의 완전한 시행을 촉구하는 학계 선언문
국가기록의 과학적 관리를 촉구하는 학계 선언
'대전·충남 기록문화 발전을 위한 포럼' 창립 취지문
「아키비스트 규약」
「아키비스트 윤리규약과 논평」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5709호)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