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중국 전통 장편 희곡의 최고봉

도화선(桃花扇)

제목
도화선(桃花扇)
저자
공상임 지음,송용준 역,문성재 역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2-05-0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고전문학
  • [KRpia 기본분류] 문학 > 희곡
  • [KDC ] 문학 > 중국문학

제품특징

번역문, 텍스트원문 구성
난홍실본 도화선 삽화 16컷, 본문 설명 이미지 22컷 수록

제품소개

『도화선』은 명대 말기 복사(復社)의 문인 후방역(侯方域)과 진회의 명기 이향군(李香君)의 러브 스토리를 빌어 수많은 인간세계의 덕목과 가치들, 그리고 그것을 추구하던 명ㆍ청 왕조 교체기의 인간 군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역사적 사건과 등장인물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 것과는 별도로,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 군상과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건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고스란히 ‘타산지석他山之石’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이 작품이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동서를 막론하고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저자소개

공상임
산동山東 곡부曲阜 대호촌大湖村 사람으로, 자가 빙지聘之·계중季重, 호가 동당東塘·안당岸堂이며, 스스로는 운정산인雲亭山人으로 불렀다. 공자孔子의 64세손으로 젊은 시절 고향의 석문산石門山에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던 그는 강희康熙 23년(1684) 강남 시찰을 마치고 귀경하던 길에 곡부에 들른 강희제의 눈에 들어 파격적으로 국자감 박사國子監博士에 기용된 이래 호부 주사戶部主事·원외랑員外郞 등의 벼슬을 두루 거쳤다. 강희 29년(1690) 치수사업을 마치고 귀경하여 국자감 박사로 복귀한 그는 10여 년 동안 세 번이나 원고를 고치면서 심혈을 기울인 끝에 강희 38년(1699) <도화선桃花扇>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은 완성되자마자 당시의 문화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그로 하여금 극작가로서 큰 명성을 얻어 <장생전長生殿>을 지은 강남의 홍승洪昇과 더불어 “남홍북공南洪北孔”으로 불리게 해 주었다. 그에게는 이 밖에도 그가 지은 전기傳奇 <소홀뢰小忽雷>, 시문집 『호해집湖海集』, 『안당문집岸堂文集』, 『장류집長留集』, 『회심록會心錄』, 『인서록人瑞錄』 등이 있다.

문성재
1965년에 태어나 1984년 고려대 중문과 입학 후 경극京劇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을 계기로 1989년부터 서울대 대학원에서 중국 희곡을 전공하기 시작하였다. 1994년 국비로 남경대학南京大學에 유학하여 『심경 극작 연구沈璟劇作之硏究』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귀국 후 당·송·원·명대 조기백화早期白話(근대한어)로 연구분야를 확대하여 2002년에 서울대 대학원에서 「원간잡극 삼십종 동결구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대에 출강하면서 번역 및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중국 고전희곡 10선』(공역),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 『고우영 일지매』(중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원곡의 언어예술」, 「중국의 종교극 목련희」, 「근대한어의 家/價 연구」, 「명대 희곡의 출판과 유통」, 「안중근 열사를 제재로 한 중국연극」, 「원대 잡극 속의 몽골어」, 「근대중국어의 s'o'(也)似 비교구문 연구」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경본통속소설』, 『진시황은 오랑캐였다』(국역) 및 『한국의 전통연희』(중역) 등의 역서가 있다.

송용준
1952년에 태어나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 고전시가를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 중국어 교관,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과 중국사회과학원 등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중국 고전시가를 강의하고 있다. 『송시사宋詩史』(공저), 『송시선宋詩選』(공편), 『중국시율학中國詩律學』, 『소순흠시역주蘇舜欽詩譯註』, 『구북시화역해??北詩話譯解』, 『고계시선高啓詩選』, 『진관사연구秦觀詞硏究』, 『당송사사唐宋詞史』(공역), 『유영사선柳永詞選』, 『진관사선秦觀詞選』, 『중국어 어법 발전사』(공역), 『현대 중국어문법의 제문제』 등의 저역서와 「당시형성과정연구」, 「송시형성과정연구」, 「북송사론연구」, 「이색李穡시의 송시 수용과 그 극복」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수록내용

명청 전기의 역사
명청 전기의 체제
공상임과 도화선
도화선 소인
도화선 소지
도화선 본말
도화선 범례
도화선 고거
도화선 강령
도화선 서

프롤로그_마당 열기
첫 번째 대목_설서 감상
두 번째 대목_노래 수업
세 번째 대목_석전 대제
네 번째 대목_공연 염탐
다섯 번째 대목_미인 대면
여섯 번째 대목_백년 가약
일곱 번째 대목_혼수 거절
여덟 번째 대목_단오 야경
아홉 번째 대목_진중 소요
열 번째 대목_서찰 대필

열한 번째 대목_무창 입성
열두 번째 대목_남경 탈출
열세 번째 대목_황제 애도
열네 번째 대목_복왕 성토
열다섯 번째 대목_어가 영접
열여섯 번째 대목_내각 구성
열일곱 번째 대목_개가 종용
열여덟 번째 대목_적전 분열
열아홉 번째 대목_화의 중재
스무 번째 대목_황하 전출

여분의 스무 번째 대목_노변 담소
추가한 스물한 번째 대목 인생무상
스물한 번째 대목 아부 경쟁
스물두 번째 대목 바꿔치기
스물세 번째 대목 부채 그림
스물네 번째 대목 간신 질타
스물다섯 번째 대목 배우 선발
스물여섯 번째 대목 고걸 암살
스물일곱 번째 대목 선상 상봉
스물여덟 번째 대목 남경 귀환
스물아홉 번째 대목 검거 선풍
서른 번째 대목 산중 은거

서른한 번째 대목 격문 작성
서른두 번째 대목 추모 대제
서른세 번째 대목 옥중 해후
서른네 번째 대목 판기 기습
서른다섯 번째 대목 항전 맹세
서른여섯 번째 대목 야반 도주
서른일곱 번째 대목 보물 쟁탈
서른여덟 번째 대목 순국 충신
서른아홉 번째 대목 입산 구도
마흔 번째 대목 대오 각성
에필로그 망국 여담

목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