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19세기에서부터 20세기에 걸친 성리설 논쟁을 연구하다

19세기 퇴계학의 좌우파 논쟁

제목
19세기 퇴계학의 좌우파 논쟁
저자
이종우 저
발행처
역사공간
발행년도
2014-09-1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퇴계학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그 해석에 따라 분화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논쟁을 다루었다. 그 중에서도 19세기에서부터 20세기에 걸쳐 영남에서 벌어진 성리설 논쟁을 연구하였는데 퇴계학을 답습했던 정재 유치명과 답습을 넘어 변용했던 한주 이진상의 논쟁은 그 제자들로까지 이어져 오랫동안 전개되었으며, 그 오해를 푸는 과정에서 논쟁은 끊임없이 있었고, 조선시대 19세기 중반에 시작하여 무려 1백여 년간 지속되었다. 퇴계학을 그대로 답습한 우파와 심즉리(心卽理)로 주장한 좌파 이진상에 관한 논쟁을 다룬 것이다.

수록내용

좌우파 논쟁의 발생원인과 사상적 배경, 이기설 논쟁의 쟁점, 심성 논쟁의 쟁점, 사단칠정설 논쟁의 쟁점, 인물성 논쟁의 쟁점, 명덕설 논쟁의 쟁점 등 수록

- 아직도 살아있는 퇴계
- 저술의 변
- 1장 좌우파 논쟁의 발생원인과 사상적 배경
- 발생원인
- 좌파『한주집』에 대한 우파의 소각 사건
- 우파의 좌파에 대한 극단적 주리설, 주기설=이단이라고 비판
- 사상적 배경
- 주희 이기설의 이중성에 대한 이황의 극복
- 주희 사칠각발설에 대한 극복으로서 이황의 호발설
- 2장 이기설 논쟁의 쟁점
- 동정과 태극
- 동정논쟁 - 태극인가 음양인가
- 태극의 정무와 동유
- 발자리와 발지자기
- 이주기자
- 이기의 유무
- 태극동이생양
- 이생기
- 이선기후
- 이약기강
- 3장 심성 논쟁의 쟁점
- 심합이기인가 심즉리인가
- 심의 형이상과 형이하
- 『논어』종심에 대한 해석
- 『맹자』심설에 대한 해석
- 주희의 심위태극에 대한 해석
- 심과 성의 관계
- 정자 심성론에 대한 해석
- 성=태극, 심=음양
- 심의 주재
- 심통성정
- 이황의「심통성정도」에 대한 해석
- 심통성정의 통자에 대한 해석
- 심과 기의 관계
- 심의 지각
- 지각설과 주희 지각설에 대한 만년정설 논쟁
- 지각은 리인가 합이기인가
- 육왕 심즉리설 비판과 그 논쟁
- 4장 사단칠정설 논쟁의 쟁점
- 이황의 초ㆍ만년설에 대한 논쟁 : 이기호발 대 이발일도
- 퇴계학에 근거한 이익 비판
- 이황의 사단=주리, 칠정=주기에 근거한 김창협에 대한 비판
- 칠정의 중화와 대본달도 논쟁 : 이기상성인가 이발일도인가
- 5장 인물성 논쟁의 쟁점
- 기호학파 인물성론에 대한 좌우파의 비판과 그 주장
- 이진상의 인물성론에 대한 우파의 비판
- 6장 명덕설 논쟁의 쟁점
- 명덕은 합이기인가 리인가
- 몸을 주재하는 것은 명덕인가 마음인가
- 맺음말 : 퇴계학에 대한 좌우파의 해석 : 진보 대 보수
- 부록 _ 좌우파 논쟁 주요 연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