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

- 제목
- [현대문학]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
- 저자
- 김양선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5-23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지도도 제대로 못 읽는 사람이 책의 제목을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이라 붙였다. 1930년대에 산출된 작품들을 연구한 글들만 골라 엮었고, 작품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전지구적으로 그 어느 지역보다도 압축적으로 하지만 열광적으로 '근대'를 경험했던 1930년대가 남긴 공과가 무엇인지를 얘기해 보려 했다. 하지만 우리 문학사의 큰 물줄기, 그 한 지류인 1930년대의 아주 작은 물살만을 건드리고 만 듯하다. 책을 내면서 처음으로 10여 년 공부길 밖에 서 보니 비로서 그런 생각이 든다. - 머리말 중에서
수록내용
책머리에
1부 1930년대 후반 소설과 미적 근대성의 지형
제1장 1930년대 후반이라는 문제 설정
제2장 근대에 대한 반응과 미학화의 제(諸)양상
제3장 맺음말
2부 식민주의, 근대성, 젠더의 역학
제1장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영화기법: 근대성의 체험 및 반응을 중심으로
제2장 식민주의 담론과 여성 주체의 구성:『여성』지를 중심으로
제3장 젠더의 프리즘으로 형상화한 식민지 현실:강경애론
3부 염상섭 문학의 근대성
제1장 염상섭의 『만세전(萬歲前)』연구: 플롯 구성원리와 양가적(兩價的)문체를 중심으로
제2장 식민지적 근대성의 한 양상: 염상섭의 『삼대』와 『무화과』를 중심으로
제3장 염상섭의 『광분(狂奔)』 자세히 읽기
제4장 염상섭의 『취우(驟雨)』론: 욕망의 한시성과 텍스트의 탈이념적 성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1부 1930년대 후반 소설과 미적 근대성의 지형
제1장 1930년대 후반이라는 문제 설정
제2장 근대에 대한 반응과 미학화의 제(諸)양상
제3장 맺음말
2부 식민주의, 근대성, 젠더의 역학
제1장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영화기법: 근대성의 체험 및 반응을 중심으로
제2장 식민주의 담론과 여성 주체의 구성:『여성』지를 중심으로
제3장 젠더의 프리즘으로 형상화한 식민지 현실:강경애론
3부 염상섭 문학의 근대성
제1장 염상섭의 『만세전(萬歲前)』연구: 플롯 구성원리와 양가적(兩價的)문체를 중심으로
제2장 식민지적 근대성의 한 양상: 염상섭의 『삼대』와 『무화과』를 중심으로
제3장 염상섭의 『광분(狂奔)』 자세히 읽기
제4장 염상섭의 『취우(驟雨)』론: 욕망의 한시성과 텍스트의 탈이념적 성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