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성 담론의 중심
부인ㆍ신여성(婦人ㆍ新女性)

- 제목
- 부인ㆍ신여성(婦人ㆍ新女性)
- 저자
- 케포이북스 편집부 편저
- 발행처
- 케포이북스
- 발행년도
- 2013-09-0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근대 여성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어주는 『부인ㆍ신여성(婦人ㆍ新女性)』. 근대 초기에 등장한 신여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으로 높아졌습니다. 문화, 젠더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전근대 시대와 결정적으로 삶의 양식을 달리하는 신여성에 대한 연구의 바탕이 되는 것은 천도교 청년회에서 여성 독자를 겨냥해 내놓은 잡지 '신여성'입니다. 일제 시대인 1920~30년대에 발간된 대표적 잡지 '신여성'의 창간호는 물론, 원본 발굴호의 영인본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신여성'뿐 아니라, 그의 전신으로 알려져 왔으나 실체를 보기 어려운 '부인'을 함께 발굴하여 영인했으며, 신여성 연구의 새로운 전망과 가능성을 내다보게 될 것입니다.
수록내용
1권 婦人 1922.6~1922.12
2권 婦人 1923.1~1923.8
3권 新女性 1923.9~1924.5
4권 新女性 1924.6~1924.11
5권 新女性 1924.12~1925.4
6권 新女性 1925.5~1925.10
7권 新女性 1925.11~1926.4
8권 新女性 1926.5~1926.9
9권 新女性 1926.10~1931.7
10권 新女性 1931.8~1932.1
11권 新女性 1932.2~1932.6
12권 新女性 1932.7~1932.11
13권 新女性 1932.12~1933.4
14권 新女性 1933.5~1933.9
15권 新女性 1933.10~1934.6
2권 婦人 1923.1~1923.8
3권 新女性 1923.9~1924.5
4권 新女性 1924.6~1924.11
5권 新女性 1924.12~1925.4
6권 新女性 1925.5~1925.10
7권 新女性 1925.11~1926.4
8권 新女性 1926.5~1926.9
9권 新女性 1926.10~1931.7
10권 新女性 1931.8~1932.1
11권 新女性 1932.2~1932.6
12권 新女性 1932.7~1932.11
13권 新女性 1932.12~1933.4
14권 新女性 1933.5~1933.9
15권 新女性 1933.10~1934.6
목차
- 해제 『부인』에서 『신여성』까지
- 통권 제1호[제1권 제1호 1922년 6월호1922.6]
- 통권 제2호[제1권 제2호 1922년 7월호 1922.7]
- 통권 제3호[제1권 제3호 1922년 8월호 1922.8]
- 통권 제4호[제1권 제4호 1922년 9월호 1922.9]
- 통권 제5호[제1권 제5호 1922년 10월호 1922.10]
- 통권 제6호[제1권 제6호 1922년 12월호 1922.12]
- 통권 제8호[제2권 제2호 1923년 2월호 1923.2]
- 통권 제11호[제2권 제5호 1923년 5월호 1923.5]
- 통권 제12호[제2권 제6호 1923년 6월호 1923.6]
- 통권 제1호[제1권 제1호 1923년 9월호 1923.9]
- 통권 제2호[제1권 제2호 1923년 11월호 1923.10]
- 통권 제3호[제2권 제3호(제2권 제1호) 1924년 2월호 1924.2]
- 통권 제4호[제2권 제3호(제2권 제2호) 1924년 3월호 1924.3]
- 통권 제5호[제2권 제5호(제2권 제3호) 1924년 5월호 1924.5]
- 통권 제7호[제2권 제5호 1924년 7월호 1924.7]
- 통권 제8호[제2권 제6호 1924년 9월호 1924.8]
- 통권 제9호[제2권 제8호(제2권 제7호) 1924년 10월호 1924.10]
- 통권 제10호[제2권 제10호(제2권 제8호) 1924년 11월호 1924.11]
- 통권 제11호[제2권 12월호(제2권 제9호) 1924년 12월호 1924. 12]
- 통권 제12호[제3권 제1호 1925년 1월호 1925. 1]
- 통권 제13호[제3권 제2호 1925년 2월호 1925. 2]
- 통권 제15호[제3권 제4호 1925년 4월호 1925. 4]
- 통권 제16호[제3권 제5호 1925년 5월호 1925.5]
- 통권 제17호[제3권 제6호 1925년 6월호 1925.6]
- 통권 제18호[제3권 제8호(제3권 제7호) 1925년 8월호 1925.8]
- 통권 제19호[제3권 제9호(제3권 제8호) 1925년 9월호 1925.9]
- 통권 제20호[제3권 제10호(제3권 제9호) 1925년 10월호 1925.10]
- 통권 제21호[제3권 제11호(제3권 제10호) 1925년 11월호 1925.11]
- 통권 제22호[제4권 제1호 1926년 1월호 1926.1]
- 통권 제23호[제4권 제2호 1926년 2월호 1926.2]
- 통권 제24호[제4권 제3호 1926년 3월호 1926.3]
- 통권 제25호[제4권 제4호 1926년 4월호 1926.4]
- 통권 제27호[제4권 제6호 1926년 6월호 1926.6]
- 통권 제28호[제4권 제7호 1926년 7월호 1926.7]
- 통권 제29호[제4권 제8호 1926년 8월호 1926.8]
- 통권 제30호[제4권 제9호 1926년 9월호 1926.9]
- 통권 제31호[제4권 제10호 1926년 10월호 1926.10]
- 통권 제32호[제5권 제1호 1931년 1월호 1931.1]
- 통권 제34호[제5권 제3호 1931년 3월호 1931.3]
- 통권 제35호[제5권 제4호 1931년 4월호 1931.4]
- 통권 제36호[제5권 제5호 1931년 6월호 1931.6]
- 통권 제38호[제5권 제7호 1931년 8월호 1931.8]
- 통권 제40호[제5권 제9호 1931년 10월호 1931.10]
- 통권 제41호[제5권 제10호 1931년 11월호 1931.11]
- 통권 제42호[제5권 제11호 1931년 12월호 1931.12]
- 통권 제43호[제6권 제1호 1932년 1월호 1932.1]
- 통권 제44호[제6권 제2호 1932년 2월호 1932.2]
- 통권 제45호[제6권 제3호 1932년 3월호 1932.3]
- 통권 제46호[제6권 제4호 1932년 4월호 1932.4]
- 통권 제47호[제6권 제5호 1932년 5월호 1932.5]
- 통권 제48호[제6권 제6호 1932년 6월호 1932.6]
- 통권 제49호[제6권 제7호 1932년 7월호 1932.7]
- 통권 제50호[제6권 제8호 1932년 8월호 1932.8]
- 통권 제51호[제6권 제9호 1932년 9월호 1932.9]
- 통권 제52호[제6권 제10호 1932년 10월호 1932.10]
- 통권 제53호[제6권 제11호 1932년 11월호 1932.11]
- 통권 제54호[제6권 제12호 1932년 12월호 1932.12]
- 통권 제55호[제7권 제1호 1933년 1월호 1933.1]
- 통권 제56호[제7권 제2호 1933년 2월호 1933.2]
- 통권 제57호[제7권 제3호 1933년 3월호 1933.3]
- 통권 제58호[제7권 제4호 1933년 4월호 1933.4]
- 통권 제59호[제7권 제5호 1933년 5월호 1933.5]
- 통권 제60호[제7권 제6호 1933년 6월호 1933.6]
- 통권 제61호[제7권 제7호 1933년 7월호 1933.7]
- 통권 제62호[제7권 제8호 1933년 8월호 1933.8]
- 통권 제63호[제7권 제9호 1933년 9월호 1933.9]
- 통권 제64호[제7권 제10호 1933년 10월호 1933.10]
- 통권 제66호[제7권 제12호 1933년 12월호 1933.12]
- 통권 제67호[제8권 제1호 1934년 1월호 1934.1]
- 통권 제68호[제8권 제2호 1934년 2,3월합호 1934.3]
- 통권 제69호[제8권 제3호 1934년 4월호 19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