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가철학 전공자들의 모임인 한국도가철학회의 첫 연구집
[노장총서 4]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 도가 철학과 서양 철학의 만남

- 제목
- [노장총서 4]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 도가 철학과 서양 철학의 만남
- 저자
- 한국도가철학회 저,한국도가철학회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6-10-3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국내 도가철학 전공자들의 모임인 한국도가철학회의 첫 연구집
''도가철학과 서양철학''이라는 주제로 1999년 가을에 열렸던 발표회에서 발표된 글들과, 비슷한 관심에서 쓰여져 여러 지면에 게재되었던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후설의 현상학적 의식에 대한 노자의 도심적 해석>, <노자와 하이데거의 ''피지스-사유''>, <노자의 도 사유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휴머니즘의 탈형이상학적 정초> 등 도가 철학과 서양 철학의 비교철학적 주제들을 다루었다.
''도가철학과 서양철학''이라는 주제로 1999년 가을에 열렸던 발표회에서 발표된 글들과, 비슷한 관심에서 쓰여져 여러 지면에 게재되었던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후설의 현상학적 의식에 대한 노자의 도심적 해석>, <노자와 하이데거의 ''피지스-사유''>, <노자의 도 사유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휴머니즘의 탈형이상학적 정초> 등 도가 철학과 서양 철학의 비교철학적 주제들을 다루었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프롤로그
도가 사상의 현대적 독법 (김형효)
1. 이중성의 도리와 ''얽힘의 평안''
2. 차이와 접목의 의타기성
3. ''현''의 사실성과 사실학으로서의 도가 사상
4. 21세기적 견분으로서의 도가 사상
손가락과 달
장자 언어관의 한 해석 (정대현)
1. 언어와 도의 표면적 긴장
2. 대상언어에 대한 장자의 긍정적 관점
3. 갈등해소적 언어관의 모색
4. 상위 언어의 장자적 구성
도와 언어 (이영철)
1. ''道可道非常道''의 역설
2. 도를 메타언어적인 것으로 보면 문제가 해결되는가?
3. 도에 대한 노장의 견해
4. 노장의 표상주의적 언어관
5. 문제에 대한 표상주의적 해결과 그 한계:비표상주의적 언어관의 가능성
6. 노장의 비표상주의적 언어관과 문제의 해소
7. 노장적 언어관의 불완전성
과연 우리는 도에 대해서 말할 수 없는가? (김영건)
1. 도와 역설
2. 실재와 내적 체험
3. 표상주의와 지향성
4. 비표상적 사유와 전체성
5. 상상력과 도덕적 실천
존재.무.도
후설의 현상학적 의식에 대한 노자의 도심적 해석 (여종현)
1. 동서양 사유의 특질
2. 현상학적 내면성과 거기에 이르는 후설의 도정들
3. 현상학적 내면성의 의미 및 후설의 한계
4. 초월론적 현상학적 내면성의 도심적 해석
5. 결론
노자와 하이데거의 ''피지스-사유'' (윤병렬)
1. 들어가는 말
2. 과학 기술 문명과 형이상학에 의한 니힐리즘
3. 형이상학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기
4. 피지스의 세계
5. 피지스와 도의 운동과 향존성
노자의 도 사유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 휴머니즘의 탈형이상학적 정초 (여종현)
1. 서론
2. 탈형이상학의 텍스트로서의 형이상학
3. 형이상학에서 탈형이상학에로
4. 결론
도와 로고스의 철학적 대안 - 하이데거의 동양적 사유 (이진우)
1. 하이데거의 서양중심주의는 동양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2. 기술 시대의 동.서양 철학적 대결의 역사적 필연성
3. 언어의 경험을 통한 철학적 대결 : 도와 로고스
4. 침묵의 언어와 철학적 대결의 해석학
제유의 우주 - 장자,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이지훈)
1. 유비와 은유
2. 환유
3. 은유와 환유 넘어서기
4. 아는 것을 모르기
5. 제유
6. 제유와 감응
무의 감응 (정세근)
1. 동서의 무
2. 히브라와 헬라
3. 무아와 아트만
4. 무의 쓰임
5. 자연,경지, 조화 그리고 리
6. 감흥의 철학
해체론의 주변
데리다를 통해 본 노장의 사유 문법 (김형효)
1. 노자의 사유 문법
2. 장자의 사유문법
노장과 해체론 - 개방성의 기원에 대하여 (김상환/최진석)
1. 오류의 계보학에서 무명자의 기록으로 -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2. 분.형.명의 삼위일체와 그 바깥
3. 도의 의미 - 개방성의 기원 혹은 어떤 접경적 경제
도와 차연 (박원재)
1. 중심과 주변
2. 데리다로부터
3. 데리다에서 노자로
4. 해체와 선택 사이
해체에서 자연으로 (이승종)
1. 손 2. 만남 3. 새 4. 바람 5. 나비 6. 헤어짐 7. 소
장자와 로티의 잘못된 만남 (황필호)
1. 머리말
2. 로티 철학의 특성
3. 장자 해석에 나타난 오류들
4. 장자의 존재론과 로티의 인식론
5. 존재론과 인식론의 만남
수록 논문 및 필진 소개
프롤로그
도가 사상의 현대적 독법 (김형효)
1. 이중성의 도리와 ''얽힘의 평안''
2. 차이와 접목의 의타기성
3. ''현''의 사실성과 사실학으로서의 도가 사상
4. 21세기적 견분으로서의 도가 사상
손가락과 달
장자 언어관의 한 해석 (정대현)
1. 언어와 도의 표면적 긴장
2. 대상언어에 대한 장자의 긍정적 관점
3. 갈등해소적 언어관의 모색
4. 상위 언어의 장자적 구성
도와 언어 (이영철)
1. ''道可道非常道''의 역설
2. 도를 메타언어적인 것으로 보면 문제가 해결되는가?
3. 도에 대한 노장의 견해
4. 노장의 표상주의적 언어관
5. 문제에 대한 표상주의적 해결과 그 한계:비표상주의적 언어관의 가능성
6. 노장의 비표상주의적 언어관과 문제의 해소
7. 노장적 언어관의 불완전성
과연 우리는 도에 대해서 말할 수 없는가? (김영건)
1. 도와 역설
2. 실재와 내적 체험
3. 표상주의와 지향성
4. 비표상적 사유와 전체성
5. 상상력과 도덕적 실천
존재.무.도
후설의 현상학적 의식에 대한 노자의 도심적 해석 (여종현)
1. 동서양 사유의 특질
2. 현상학적 내면성과 거기에 이르는 후설의 도정들
3. 현상학적 내면성의 의미 및 후설의 한계
4. 초월론적 현상학적 내면성의 도심적 해석
5. 결론
노자와 하이데거의 ''피지스-사유'' (윤병렬)
1. 들어가는 말
2. 과학 기술 문명과 형이상학에 의한 니힐리즘
3. 형이상학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기
4. 피지스의 세계
5. 피지스와 도의 운동과 향존성
노자의 도 사유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 휴머니즘의 탈형이상학적 정초 (여종현)
1. 서론
2. 탈형이상학의 텍스트로서의 형이상학
3. 형이상학에서 탈형이상학에로
4. 결론
도와 로고스의 철학적 대안 - 하이데거의 동양적 사유 (이진우)
1. 하이데거의 서양중심주의는 동양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2. 기술 시대의 동.서양 철학적 대결의 역사적 필연성
3. 언어의 경험을 통한 철학적 대결 : 도와 로고스
4. 침묵의 언어와 철학적 대결의 해석학
제유의 우주 - 장자,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이지훈)
1. 유비와 은유
2. 환유
3. 은유와 환유 넘어서기
4. 아는 것을 모르기
5. 제유
6. 제유와 감응
무의 감응 (정세근)
1. 동서의 무
2. 히브라와 헬라
3. 무아와 아트만
4. 무의 쓰임
5. 자연,경지, 조화 그리고 리
6. 감흥의 철학
해체론의 주변
데리다를 통해 본 노장의 사유 문법 (김형효)
1. 노자의 사유 문법
2. 장자의 사유문법
노장과 해체론 - 개방성의 기원에 대하여 (김상환/최진석)
1. 오류의 계보학에서 무명자의 기록으로 -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2. 분.형.명의 삼위일체와 그 바깥
3. 도의 의미 - 개방성의 기원 혹은 어떤 접경적 경제
도와 차연 (박원재)
1. 중심과 주변
2. 데리다로부터
3. 데리다에서 노자로
4. 해체와 선택 사이
해체에서 자연으로 (이승종)
1. 손 2. 만남 3. 새 4. 바람 5. 나비 6. 헤어짐 7. 소
장자와 로티의 잘못된 만남 (황필호)
1. 머리말
2. 로티 철학의 특성
3. 장자 해석에 나타난 오류들
4. 장자의 존재론과 로티의 인식론
5. 존재론과 인식론의 만남
수록 논문 및 필진 소개